Exploration of Creativity Construction Components in Computer Science

정보과학 창의성의 구성 요소 탐색

  • 윤선희 (한국교원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 김영식 (한국교원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Received : 2010.12.14
  • Accepted : 2011.01.11
  • Published : 2011.01.30

Abstract

Creativity is a fine ability among major values of human resource in knowledge-based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omponents of the informatics creativity based on domain-specificity and confluence theory. To explore these components, a three-round, classical Delphi process was administered with an expert panel of 31 individuals. All members of the expert panel initially responded to open-ended questions, and the qualitative results were analyzed. The subsequent two rounds of the Delphi required quantitative responses in which the expert panel was asked to indicate the level of importance using a five point Likert scale associated with specific items. As a result of the Delphi survey, total of 32 items were selected as three core areas such as congnitive, affective and environmental components of informatics creativity.

5차 교육과정에서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교육의 주요 목표로 강조되고 있는 창의성 계발을 위한 교육과정과 내용, 교재, 교수 학습 방법 등을 개발하는 데에는 창의성의 개념과 구성 요인, 교육 방향에 대한 학문적 합의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문 영역마다 고유의 창의성이 존재하며 다른 영역으로 전이되지 않는다는 영역특수성과 일반적인 창의적 사고 기술에 더불어 영역 특수적 기술, 환경의 촉진이나 방해 등이 창의성 발현에 모두 요구된다는 합류 이론에 기반하여 정보과학 교과에 적합한 창의성의 구성 요소를 델파이 방법으로 탐색해 보았다. 개방형 문항으로 구성된 1차 델파이 조사 결과를 내용 분석하여 항목화한 2차 델파이 조사에서는 항목의 중요도를 리커트 5점 척도로 표시하도록 하였다. 3차 델파이 조사 결과 정보과학 창의성의 인지적, 정의적, 환경적 영역에서 전체 32개의 중요 항목들이 선정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