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nfluences of Parents'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and Adolescents' Self-Discrepancies on Academic Achievement Motivation

부모의 성취압력과 청소년의 자기불일치가 학업적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

  • 정소희 (인하대학교 소비자아동학) ;
  • 양성은 (인하대학교 소비자아동학)
  • Received : 2010.11.08
  • Accepted : 2011.01.26
  • Published : 2011.04.30

Abstract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influences of achievement pressure from parents and the discrepancy of real self and ideal self on the academic achievement motivation among adolescent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1140 students including 559 middle school students in second grade and 581 high school students in second grade in Seoul and Gyeonggi-do.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male students were more effected by the achievement pressure from parents than female students and the ideal discrepancy of self-discrepancies had a greate effects on academic achievement motivation regardless of gender. In conclusion, higher achievement pressure and lower ideal discrepancy represented higher academic achievement motivation.

Keywords

References

  1. 강영철(2003).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아동의 학업자아 및 부모의 학업성취압력에 대한 태도와의 관계.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강혜선(1988). 아버지의 양육태도가 딸의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구현경(2008). 어머니의 성취압력 및 정서적 지지가 남녀 청소년의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구혜영(2006). 청소년기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및 부모화합도가 성취동기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권형자(1993). 학습동기, 귀인성향, 학습시간과 학업성적과의 관계 및 이 변인들이 종속성취기대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기철현(2002). 공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학업동기와 학업성취도와의 상관관계.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경옥(1992). 부모의 성취압력이 학생의 정의적 행동특성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기정(1984). 학업성취와 지각된 양육태도가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김도윤(2009). 화교청소년과 한국청소년의 학업적 성취동기에 관한 비교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보경(2001). 이혼가정의 학교-가정관계, 아동의 성취동기 및 학교생활적응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김종서(1983). 비행학생과 학습우수학생의 성격분석: 서울시내 남자고등학교 학생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김향림(2001). 고등학생들의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행동 및 건강문제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김희수(2003). 가정의 과정환경과 학업동기 및 학업성취도의 관계.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문은식(2002).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 관련변인의 탐색적 고찰. 교육개발논집, 23(1), 153-167.
  15. 민숙정(1990).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른 청소년기의 성취동기.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박석철(2007). 부모의 교육참여와 중.고등학생 자녀의 학업 동기간의 관계.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박영신, 김의철, 정갑순(2004). 한국 청소년의 부모자녀관계와 성취에 대한 종단연구: 자기효능감과 성취동기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10(3), 37-59.
  18. 박영신, 김의철, 탁수연(2002). IMF 이후 한국 학생과 성인의 성공에 대한 의식.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8(1), 103-139.
  19. 박현정, 이경님(2005). 어머니의 자기효능감과 양육행동 및 아동의 성취동기가 아동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14(4), 547-555.
  20. 박현주(2003). 고등학생의 자기불일치와 우울, 불안 및 자기 효능감간의 관계.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박현희(2006). 자기불일치 및 자기통제력이 대학생의 시험불안 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서수균(1996). 자기집중적 주의, 실제 자기개념 및 자기안내자 선호성을 고려한 자기불일치와 우울 및 불안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소연희(2008). 학교 급별에 따른 지각된 사회적지지,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성취동기 및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경로모형을 중심으로. 아동교육, 17(2), 49-64.
  24. 손낙주(1997). 가정환경, 아동의 자아평가와 학습된 무력감간의 인과관계.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5. 신민희, 강문희(2005). 소년원 수용 비행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의 자기불일치 및 우울 수준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12(1), 183-205.
  26. 신혜린(2002). 성취관련 자기불일치와 자의식에 따른 성적하락과 시험불안의 관계모형 검증.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양연숙(2006). 학교생활 부적응 관련 제 변인 연구. 탐라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유영숙(2001). 학업성취동기 훈련프로그램이 중학생의 학습태도, 학업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이경님(2006). 개인변인과 부모변인이 아동의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5), 161-174.
  30. 이수진, 조상철, 허일범(2008). 부모의 학업성취압력이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목표지향성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29(3), 289-301.
  31. 이은진(2007). 사회적 지지와 자기효능감이 아동의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임은미(1998). 학업동기 및 부모행동과 학업성취도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3. 임일모, 조용래, 김학렬(1995). 자기불일치와 정서적 불편감의 관계-자기불일치 이론의 경험적 검증. 신경정신의학, 34(5), 1416-1431.
  34. 임종석(2000). 부모의 학업압력과 아동의 성취불안 및 대처방식에 관한 연구.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임진, 김은정(2008). 청소년의 실제-이상자기불일치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수치심과 반추적 반응양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 2008년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578-579.
  36. 정갑순(2002). 부모-자녀관계와 자기효능감, 성취동기, 학업 성취간의 관계에 대한 종단적 분석.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7. 정계숙(1992). 도시와 농촌 초등학교 아동의 성취동기 발달. 유아교육논총, 2, 49-63.
  38. 정지선(2007). 초등학교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성취압력과 자기효능감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정혜종(1986). 자아불일치와 상태-특성불안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40. 조용래, 김선태, 표경식(1996). 신경증적 증상 환자들의 자기 불일치와 정신병리의 관계: 자기불일치 이론의 임상적 적용가능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신경정신의학, 35(3), 664-677.
  41. 최정원(1996). 실제자기 수준, 이상적 자기 수준 및 자기불일치 수준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2. 홍은자(2001). 어머니 성취압력과 학원.학습지 이용이 유아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3. 황혜연(2006). 교사효능감 및 부모자녀관계변인과 고등학생의 학습동기, 학습전략,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4. Baker, D. P., & Entwisle, D. R.(1987). The influence of mothers on the academic expectations of young children: A longitudinal study of how gender differences arise. Social Forces, 65, 670-694. https://doi.org/10.1093/sf/65.3.670
  45. Bandura, A.(1986).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46. Betz, N. E., & Fitzgerald, L. F.(1987). The career psychology of women. Orlando, FL: Academic Press.
  47. Erikson, E. H.(1963). Childhood and society.(2nd ed.). New York: Norton.
  48. Field, W. F.(1951). The effects on thematic apperception of certain experimentally aroused needs. Unpublished PH. D. thesis Univ. of Maryland.
  49. Harter, S.(1983). Developmental perspectives on the self-system. In P. H. Mussen (Ed.),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4, 275-385. New York: Wiley.
  50. Harter, S.(1990). Developmental Difference in the Nature of Self- Representations : Implication for the Understanding, Assessment and Treatment of Maladaptive Behavior.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14(2), 113-142. https://doi.org/10.1007/BF01176205
  51. Higgins, E. T.(1987). Self-discrepancy: A theory relating self and affect. Psychological Review, 94(3), 319-340. https://doi.org/10.1037/0033-295X.94.3.319
  52. Higgins, E. T., Bond, R. N., Klein, R., & Strauman, T. J.(1986). Self discrepancies and emotional vulnerability. How magnitude, accessibility, and type of discrepancy influence affec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1), 5-15. https://doi.org/10.1037/0022-3514.51.1.5
  53. McClelland, D. C.(1961). The achieving society. Prinseton, NJ: D. Van Nostrand.
  54. Osgood, C. E., Suci, G. J., & Tannenbuam, P. H.(1957). The measurement of meaning. Urbana, IL: The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55. Rosenberg, M.(1986). Self-concept from middle childhood through adolescence. In J. Suls & A. G. Greenwald (Ed.), Psychological perspective on the self, 3, 182-205, Hillsdale, NJ: Erlbaum.
  56. Shaffer, D. R.(2000). Development Psychology(5th). California, CA: Brooks/Cole. 발달심리학 . 송길연, 김수정, 이지연, 양돈규(공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1999년 원저발간)
  57. Steil, J.(1997). Marital equality: Its relationship to the well-being of husbands and wives. Thousand Oaks, CA: Sage.
  58. Stein, A. H., & Bailey, M. M.(1973). The socialization of achievement orientation in females. Psychological Bulletin, 80(5), 345-366. https://doi.org/10.1037/h0035261
  59. Weiner, B.(1985). An attributional theory of achievement motivation and emotion. Psychological review, 92, 548-573. https://doi.org/10.1037/0033-295X.92.4.5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