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emperament and Social Support in Relation to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 of Institutionalized Children

시설보호 아동의 기질 및 사회적 지지와 긍정적.부정적 정서의 관계

  • Received : 2010.11.26
  • Accepted : 2011.02.16
  • Published : 2011.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temperament, social support and positive, as well as negative emotions of institutionalized children. The participants were 198 children aged from 10 to 13 years old. They were recruited from 20 childcare facilities in Seoul. Data were analyzed using Cronbach alphas, factor analyses, frequencies, percentiles, t-test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on average, girls showed higher emotionality in temperament compared to boys. Girls reported greater support of school teacher than boys. Boys experienced significantly higher positive emotions than girls, while girls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negative emotions than boys. 2) Positive emotions were influenced by the support of the institutionalized family as well as school teachers. Negative emotions were influenced by the support of the institutionalized family.

Keywords

References

  1. 강경미(2008). 한국의 가족변화에 따른 아동양육시설(보육원)의 실태와 기독교상담의 역할. 성경과 신학, 46, 219-234.
  2. 김경진(2003). 사회복지 시설아동의 정서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대전지역 시설아동을 중심으로. 목원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명소, 김혜원, 차경호, 임지영, 한영석(2003). 한국성인의 행복한 삶의 구성요인 탐색 및 척도개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8(2), 415-442.
  4. 김명숙(1995). 아동의 사회적 지지와 부적응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김민희, 민경환(2004). 노년기 정서경험과 정서조절의 특징.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3(2), 1-21.
  6. 김보람, 이경숙, 박진아, 이지성(2008). 시설보호아동의 인성과 정서 및 행동문제: 성차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3(1), 43-61.
  7. 김용희(2009). 아동의 부모 분리개별화와 애착이 긍정 정서 및 부정 정서에 미치는 영향: 행동적 자율성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4(1), 107-124.
  8. 김진주, 구자영, 허성용, 서은국(2007). 정서 경험의 긍정성 비율과 번영.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1(3), 89-100.
  9. 김진희(2003). 원가족 접촉에 따른 시설보호 아동의 행동문제 비교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노혜련, 장정순(1998). 육아시설아동의 심리사회적 문제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34(4), 45-67.
  11. 박영준(1997). 육아시설아동의 생활환경요인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개발연구, 3(2), 133-155.
  12. 박용택(1994). 시설아동의 양육환경과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한국아동복지학, 2, 205-225.
  13. 보건복지부(2003). 아동복지시설 생활아동 복지증진방안 연구. 정책보고서 2003-89.
  14. 안정하, 조옥귀(2002). 아동이 지각한 중요한 타인의 기대, 아동의 공격성 및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 인문논총, 15, 55-74.
  15. 유미숙(1980). 보호시설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의 성격특성 비교: MMPI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유안진, 민하영, 권기남(2001). 시설 아동의 자아정체감과 심리, 사회적 적용: 학령기 아동과 청소년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9(3), 135-149.
  17. 유안진, 한유진, 최나야(2002). 시설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의 사회적 지지 지각과 공격성 간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40(3), 67-82.
  18. 이은경(2006). 아동용 정서경험 척도 개발 연구: 긍정적 정서와 부정적 정서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이은경, 이양희(2006). 아동용 정서경험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긍정적 정서와 부정적 정서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9(4), 93-115.
  20. 장은혜, 임혜진, 이영창, 정순철, 손진훈(2005). 긍정정서와 부정정서에 따른 아동의 안면근육반응 차이. 한국감성과학회지: 감성과학, 8(2), 161-167.
  21. 정선욱(2006a). 시설보호 아동의 보육사 관계 경험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21, 115-144.
  22. 정선욱(2006b). 시설보호 아동의 시설 생활 경험연구 -비혈연 형제관계를 중심으로. 아동권리연구, 10(2), 151-183.
  23. 정선욱(2009). 시설보호 청소년이 경험하는 시설 생활의 의미. 한국청소년연구, 20(3), 193-219.
  24. 한덕웅, 표승연(2002). 정서경험에 따른 주관안녕, 건강지각 및 신체질병의 예측.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7(3), 403-427.
  25. 한미현(1996). 아동의 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 지각과 행동문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6. 한세영(1996). 아동과 어머니의 기질적 부조화에 따른 어머니의 일상적 양육 스트레스.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한지현, 이진숙(2007). 시설보호아동과 일반아동의 내외통제소재와 스트레스 대처행동 및 우울의 관계. 아동학회지, 28(6), 155-168.
  28. Blennow, I. P., & McNeil, T. F.(1980). Questionnaire for measurement of temperament in one-and two yearold children. Development and standardization.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21, 37-46. https://doi.org/10.1111/j.1469-7610.1980.tb00014.x
  29. Buss, A. H., & Plomin, R.(1984). Temperament: Early developing personality traits. Hillsid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30. Cohen, S., & Hoberman, H.(1983). Positive events and social as buffers of life stres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33, 99-125.
  31. Diener, E.(1984).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95, 542-575. https://doi.org/10.1037/0033-2909.95.3.542
  32. Diener, E., Suh, E., Lucas, R., & Smith, H.(1999). Subjective well-being: Three decades of progress. Psychological Bulletin, 125, 276-302. https://doi.org/10.1037/0033-2909.125.2.276
  33. Dubow, E. F., & Ulman, D. G.(1989). Assessing social support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survey of children's social support.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18(1), 52-64. https://doi.org/10.1207/s15374424jccp1801_7
  34. Feingold, A.(1994). Gender differences in personality: A meta-analysis. Psychological Bulletin, 116, 429-456. https://doi.org/10.1037/0033-2909.116.3.429
  35. Fredrickson, B. L.(2001). The role of positive emotions in positive psychology: The broaden-and-build theory of positive emotions. American Psychologist, 56, 218-226. https://doi.org/10.1037/0003-066X.56.3.218
  36. Gauvain, M., & Fagot, B. L.(1995). Child temperament as a mediator of mother-toddler problem solving. Social Development, 4, 257-276. https://doi.org/10.1111/j.1467-9507.1995.tb00065.x
  37. Haring, M., Stock, W. A., & Okun, M. A.(1984). A research synthesis of gender and social class as correlates of subjective well-being. Human Relations, 37, 645-657. https://doi.org/10.1177/001872678403700805
  38. Hunter, F., & Youniss, J.(1982). Changes in function of three relations during adolescence. Developmental Psychology, 18(6), 806-811. https://doi.org/10.1037/0012-1649.18.6.806
  39. Lazarus, R. S.(1991). Emotion and adaptati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40. Lazarus, R. S., & Lazarus, B. N.(1994). Passion & Reason: Making sense of our emotions.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41. Meehl, P. E.(1975). Hedonic capacity: Some conjectures. Bulletin of the Menninger Clinic, 39, 295-307.
  42. Quamma, J., & Greenberg, M.(1994). Children's experience of life stress: The role of family social support and social problem-solving skills as protective factors.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23, 295-305. https://doi.org/10.1207/s15374424jccp2303_7
  43. Sandler, I. N.(1980). Social support resources, stress and maladjustment of poor children.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8, 285-302. https://doi.org/10.1007/BF00894343
  44. Suh, E., Diener, E., & Fujita, F.(1996). Events and subjective well-being: Only recent events matter.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5), 1091-1102. https://doi.org/10.1037/0022-3514.70.5.1091
  45. Thomas, A., & Chess, S.(1977). Temperament and development. New York: Brunner/Mazel.
  46. Turner, R. J.(1981). Social support as contingency in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22(4), 357-367. https://doi.org/10.2307/2136677
  47. Vorria, P., Rutter, M., Pickles, A., Wolkind, S., & Hobsbaum, A.(1998). A comparative study of Greek children in long-term residential group care and in two parent families: II. Possible mediating mechanisms. The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39, 225-236. https://doi.org/10.1017/S0021963097001996
  48. Watson, D., & Tellegen, A.(1985). Toward a consensual structure of mood. Psychological Bulletin, 98, 219-235. https://doi.org/10.1037/0033-2909.98.2.219
  49. Wood, W., Rhodes, N., & Whelan, M.(1989). Sex differences in positive well-being: a consideration of emotional style and marital status. Psychological Bulletin, 49, 1169-11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