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ymbolism of Circle, Square and Triangle Inherent in the Prototype Drafting Method for Traditional Hanbok

전통한복 원형제도법에 내재된 원(圓).방(方).각(角)의 상징성

  • Jung, Ok-Im (Department of Home Economics, Chosun University)
  • 정옥임 (조선대학교 가정교육과)
  • Received : 2011.02.25
  • Accepted : 2011.04.08
  • Published : 2011.05.30

Abstract

The basic framework of traditional Korean clothing construction consists of circle, square and triangle. This composition principle has been presumed to be associated with the Cheonbu concept of the Dangun era wherein nature and human being are considered united. The Cheonbu concept is represented by circle, square and triangle which constitute Cheonbuin, the images and meanings of heaven. It contains profound philosophy wherein a circle symbolizes heaven and represents number one, a square symbolizes earth and represents the number two, and a triangle symbolizes human beings and represents the number three. Circles, squares and triangles have been used as various symbolic meanings both in the east and west and constitute the framework of Hanbok construction while connoting the Cheonbu concept and symbolism of the Cosmo-tree. From this point of view, the unity of human beings and heaven in Cheonbugyeong is symbolically inherent in Hanbok. Therefore, Hanbok with the basic framework of circles, squares and triangles can be considered a positive creation that created a composition principle of body-nature-clothing.

Keywords

References

  1. 고광림(1990). 한국의 冠服. 서울: 화성사.
  2. 권계순(1965). 우리 옷 변천과 발달. 서울: 수학사.
  3. 김민자(2004). 복식미학 강의I. 서울: 교문사.
  4. 김용옥(1987). 여자란 무엇인가. 서울: 통나무.
  5. 김치수, 김성도, 박민철, 박일우(2002). 현대기호학의 발전.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6. 류승국 (2010. 2. 24). 休心井, 한겨레신문 . (출 처 : http://www. hani.co.kr)
  7. 류중위(2008). 천부경'과 도교우주론의 비교연구. 임태현(역). 仙道文化. 4집. 147.
  8. 문화여자대학 피복구성학 연구실 편(1987). 박혜숙(역). 피복 구성학(이론편), 서울: 경춘사.
  9. 박제상(1986). 부도지. 김은수(역). 서울: 한문화. (419년 원저 발간)
  10. 박홍(1982). 실내의 치수계획. 서울: 세진사.
  11. 백선기(2004). 대중문화, 그 기호학적 해석의 즐거움.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12. 백영자(1992). 한국의 복식. 서울: 경춘사.
  13. 신영선(1998). 복식의 정신문화. 서울: 교문사.
  14. 양재혁(1998). 동양철학 서양철학과 어떻게 다른가. 서울: 소나무.
  15. 우실하(2006). 천부경, 삼일신고의 수리체계와 3수 분화의 세계관. 선도문화, 1집, 47.
  16. 유송옥, 이은영, 황선진(2004). 복식문화. 서울: 교문사.
  17. 유희경, 김문자(2000). 한국복식문화사. 서울: 교문사.
  18. 이능화(1978). 조선여속고. 김상억(역). 서울: 대양서적. (1927년 원저발간)
  19. 이도학(1997). 새로 쓰는 백제사. 서울: 푸른 역사.
  20. 이해영, 김문자(1990). 우리나라포의 유형 및 원류에 관한 연구. 복식, 4(15), 77.
  21. 임승국(1986). 한단고기. 서울: 정신세계사.
  22. 임채우(2008). 왕필 易哲學의 도가학적 위상. 원불교 사상과 종교문화, 40집, 237.
  23. 장석향(1971). 여자치마의 역사적 고찰.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정옥임(2002a). 남자저고리 원형제도법, (특허 0352707).
  25. 정옥임(2002b). 여자저고리 원형제도법, (특허0352708).
  26. 정옥임(2002c). 바지원형 제도법, (특허 0352706).
  27. 정옥임(2002d), 天.地.人우리옷구성. 서울: 수학사.
  28. 정옥임(2004). 상복에서의 상징성 연구. 복식, 54(4), 57-59.
  29. 정옥임(2007). 한복 여자두루마기 원형설계의 표준화를 위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5(3), 11-21.
  30. 정옥임(2010a). 한복치마원형 제도법 개발을 위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8(2), 75-83.
  31. 정옥임(2010b). 한복두루마기 원형제도법 개발을 위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8(4). 71-81.
  32. 정옥임, 김경희(2003). 남자 한복바지 구성의 상징성 연구. 복식문화, 11(3). 372.
  33. 정재승(1992). 천부경의 비밀과 백두산족문화. 서울: 정신세계사.
  34. 정혜경, 권영숙(1991). 易을 통하여 본 深衣의 상징성. 복식, 4(16), 80.
  35. 조하선(1999). 베일 벗은 천부경. 서울: 물병자리.
  36. 쥐시(2008). 천부경사상과 현대의의. 임태현(역). 仙道文化. 4집. 107.
  37. 천종숙(1998). 패턴설계의 기초. 서울: 수학사.
  38. 최동환(2000). 천부경. 서울: 지혜의 나무.
  39. 한석우(1991). 입체조형. 서울: 미진사.
  40. Barthes, R.(1994). Systeme de la Mode. Paris: Editions du seuil. 유행과 문자의상체계. 한명숙(역). 서울: 경춘사. (1963년 원저발간)
  41. Cooper, G.(2000). Illustrated encyclopaedia of traditional symbols. London: Thames and Hudson. 그림으로 보는 세계문화 상징사전. 이윤기(역). 서울: 까치글방. (1992년 원저발간)
  42. Crow, D.(2005). Visible Signs: an introduction to Semiotics. New york: Crans-Pres-Celigny. 기호학으로 읽는 시각디자인. 박영원(역). 서울: 안그라픽스. (2003년 원저발간)
  43. Eliade, M.(2006). Histoire des croyances et des idees religieuses. Paris: Payot. 세계종교사상사. 이용주(역). 서울: 이학사. (1956년 원저발간)
  44. Endres, F. C., & Shimmel, A. M.(1996). Mysterium der Zahl. Munchen: Hugendube. 수의 신비와 마법. 오석균(역). 서울: 고려원미디어. (1935년 원저발간)
  45. Fontana, D.(2001). The Secret language of Symbols. San Francisco: Chronicle Book. 상징의 비밀. 최승자(역). 서울: 문학동네. (1993년 원저발간)
  46. Iconography(2010. 11. 10). Encyber. http://www.naver.com
  47. Kaemmerling, E.(2005). Ikonographie und Ikonologie. German: Koln Du Mont. 도상학과 도상해석학. 이한순, 노상두, 박지형, 송혜영, 홍진경(공역). 서울: 사계절. (1979년 원저발간)
  48. Nataf, G.(1990). Symboles Signes el Marques. Paris: Berg. 상징.기호.標識. 김정란(역) 서울: 열화당 미술선서 59. (1981년 원저발간)
  49. Pedretti, C.(2006). Leonardo. The Machines. Italy: Giunti.
  50. Panofsky, E.(2002). Studies in iconology. United States: West view Press. 도상해석학 연구. 이한순(역). 서울: 시공사. (1939년 원저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