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nfluence of Perception of Physical Attractiveness on Health Promoting Behavior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신체매력 지각이 건강증진행동 및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 Lee, Eun-Sil (Department of Beauty Design, International University of Korea)
  • 이은실 (한국국제대학교 미용예술학과)
  • Received : 2011.04.01
  • Accepted : 2011.06.17
  • Published : 2011.07.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perception of physical attractiveness and demographic variables on health promoting behavior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This study used a questionnaire. The participants were 325 adult wome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s they were younger, their perception of physical attractiveness was more positive, and they were a tendency to manage their appearance with clothing, makeup, skin care, and hair style more active. As they were older, they perceived higher in the mental and physical health promoting behavior. The higher perception of physical attractiveness people had, the higher awareness of mental health promoting behavior they had. Finally,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such as clothing, cosmetics, and body care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physical health promoting behavior.

Keywords

References

  1. 강혜원(1995). 의상사회심리학. 서울: 교문사.
  2. 김선희(2003).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와 외모관리행동에 대한 연구: 20대 여성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1(5), 99-108.
  3. 김선희(2010). 중.장년층의 라이프스타일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김성남, 이숙경(2007). 20-40대 여성의 외모관심도에 따른 외모관리행동. 패션비즈니스, 11(4), 29-41.
  5. 김수경, 한동조(2008). 남녀고등학생들의 신체만족도에 따른 외모관리행동 양상분석: 피부관리, 메이크업을 중심으로. 조형미디어, 11(4), 39-44.
  6. 김신정, 안은숙(1997). 여대생의 건강개념과 건강행위. 대한간호학회지, 27(2), 264-274.
  7. 김윤, 황선진(2008). 사회문화적 압력과 대상화된 신체의식이 성인여성의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복식, 58(10), 112-122.
  8. 김은주(2001). 여대생의 외모관리행동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재숙, 이미숙, 김은정, 이혜원(2000). 신체이미지가 체중조절 및 외모관리 행동과 의복행동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충남생활과학연구지, 12, 20-36.
  10. 김향숙(2007). 실업계 고등학생의 건강증진행위 및 피부건강 관리 인식에 대한 연구. 중앙대학교 의약식품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김희숙(1993). 20세기 서구여성 hair style 변천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류은정, 김영희(2008). 남자 대학생의 신체이미지에 따른 외모관리 행동과 동기. 대한가정학회지, 46(1), 63-72.
  13. 문희정(2010). 중년여성의 외모지향성 및 외모평가와 피부건강관리태도에 대한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박보윤(2008). 중년여성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박재순(1996). 중년후기 여성의 건강증진행위모형구축. 여성건강간호학회지, 2(2), 257-284.
  16. 백경신, 최연희(2003). 여대생의 건강증진행위와 삶의 만족 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0(2), 127-147.
  17. 서연옥(1996). 중년여성의 건강증진 생활방식, 강인성 성역할 특성의 관계. 여성건강간호학회지, 2(1), 119-134.
  18. 신주동, 최종명(2008). 여대생의 신체 만족도와 이미지에 따른 외모관리행동과장신구착용. 복식문화연구, 16(2), 305-318.
  19. 심정은(1996). 청소년기의 자의식 및 제중조절행동과 의복행동과의 관련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윤복연, 유왕근, 고경숙(2006). 미용실 근무자들의 건강증진 행위에 관한 연구. 한국미용학회지, 12(2), 11-24.
  21. 이명희, 이미연(2004). 여성 외모의 대인매력 평가 연구. 복식, 54(6), 101-114.
  22. 이부희, 고애란, 김양진(1996). 남녀 중고등학생의 심리적 특성과 의복행동과의 관계: 자아중심성.자의식.신체만족도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4(5), 131-144.
  23. 이수경, 고애란(2006). 외모향상추구행동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0(1), 59-70.
  24. 이숙자, 박은숙, 박영주(1996). 한국 중년 여성의 건강증진 행위 예측 모형 구축. 대한간호학회지, 26(2), 320-336.
  25. 이지영(1999). 여대생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화장품 소비행동.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이현옥, 구양숙(2009). 사회적 자기효능감, 외모관심, 외모만족, 외모관리행동에 관한 계층적 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1(2), 271-277.
  27. 임경복(2009). 사회적 자아와 신체이미지가 외모관리 행동에 미치는 영향: 남녀 대학생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7(6), 67-77.
  28. 임숙자(1992). 여대생의 의복행동에 관한 연구: 의복행동변인과 사회심리 변인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9. 임희경, 최인려(2010). 중.노년층 여성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외모관리효과에 관한 연구: 피부관리효과를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18(4), 670-686.
  30. 전연숙, 김향숙(2008). 건강증진행위, 피부건강관리 및 외모 관리행동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미용학회지, 14(3), 985-991.
  31. 전현진, 정명순(2010).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와 객체화된 신체의식이 20-30대 여성들의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미용학회지, 16(2), 590-601.
  32. 정덕조(2006). 여대생들의 비만정도가 체중조절 행위, 신체상, 자기 효능감, 건강증진 행위 및 정신건강 증진 행위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 15(4), 365-376.
  33. 정명선(2003). 성인 여성의 신체적 매력성 자아지각이 자존심과 외모관리 행동에 미치는 영향. 복식, 53(3), 165-179.
  34. 정명선, 김재숙(2001). 얼굴 매력성과 의복 적절성이 특질 판단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39(2), 131-146.
  35. 차진희(1994). Body Image, Genderlogy, 의복성정체감 사이의 상관관계 연구: 대전, 충남북 지역의 남녀 대학생을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황윤정, 유태순(2008).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 자아존중감, 신체매력 지각이 얼굴 및 헤어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복식, 58(6), 85-95.
  37. 황진숙, 김윤희(2006). 외모관리행동에 따른 신체이미지 및 심리적 안녕감. 복식, 56(3), 13-55.
  38. Brucker, B. H.(1983). Health promotion: A linguistic analysis. Advances in Nursing Science, 5(3), 1-14.
  39. Cash, T. F., Dawson, K., Davis, P., Bowen, M., & Galumbeck, C.(1989). The effects of cosmetics use on the physical attractiveness and body image of college women.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129, 349-356. https://doi.org/10.1080/00224545.1989.9712051
  40. Cash, T. F., & Prunzinsky, T.(2000). Body image: Development, deviance, and change. New York: Guilford Press. 바디이미지. 임숙자, 이미현, 이승희, 신효정(공저). 서울: 교문사. (1990년 원저발간)
  41. Cox, C. L., & Glick, W. H.(1986). Resume evaluations and cosmetics use: When more is not better. Sex Roles, 14, 52-58.
  42. Kaiser, S. B.(1997). The social psychology of clothing. New York: Fairchild Pub.
  43. Lee, M.(1997). Relationship of body image, acculturative stress, and self-esteem among Korean female collage students. Ohio State University Master's Thesis.
  44. Walker, S. N., Sechrist, K. R., & Pender, N. J.(1987). The health-promoting lifestyle profile: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Nursing Research, 36(2), 76-81.

Cited by

  1. The effects of self-assertiveness and appearance satisfaction on psychological well-being vol.22, pp.5, 2014, https://doi.org/10.7741/rjcc.2014.22.5.728
  2. A Study on Body Image, Self-esteem, and Family Strengths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vol.2, pp.2, 2014, https://doi.org/10.15205/kschs.2014.2.2.90
  3. The Influence of Expected Values for Appearance Management on Interest in Make-up and Cosmetics Evaluation Criteria vol.18, pp.1, 2014, https://doi.org/10.12940/jfb.2014.18.1.22
  4. 일 지역 성인여성의 미용문신 경험실태와 미용문신 경험유무에 따른 건강관심도, 건강실천행위 비교 vol.28, pp.1, 2017, https://doi.org/10.12799/jkachn.2017.28.1.69
  5. A Study on the Elements Composing of the Career Women’s Social Attractiveness and Impression Management Behavior vol.69, pp.7, 2011, https://doi.org/10.7233/jksc.2019.69.7.034
  6. The Mediating Effect of Life Satisfaction on Relation between Perceived Physical Attractiveness and Health-Promoting Lifestyle in Korean Adults vol.18, pp.15, 2011, https://doi.org/10.3390/ijerph181577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