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Local Gum-Mu and Dancing Costumes

향제 검무와 복식에 관한 연구

  • 황혜영 (중앙대학교 대학원 패션디자인학과) ;
  • 소황옥 (중앙대학교 패션디자인)
  • Received : 2010.12.01
  • Accepted : 2011.05.25
  • Published : 2011.07.31

Abstract

This study is on dancing dresses of the costumes of Gum-Mu(劍舞, sword dance) in southern, central, and northern region of Korea, focusing on the origin, characteristics and the way of dance. The reason why the Gum-Mu is full of local color is that royal Korean Gisaeng(妓生) and local Gisaeng returned to their hometown and propagated this dance to each regional Kyobang. They combined court sword with each local dance and music and formed the present style of regional Gum-Mu. Dance and music native to area, which has formed today's regional Gum-Mu. The composition of current dancing costume of the sword dance is Jeogori, Chima, Jeondae(戰帶), Jeonrib(戰笠), Kwaeja(快子) Also, The complement colors harmonizing with color of Yin-Yang & Five Elements. which are yellow, blue, white, red, and black, are usually used. And the masculinity in dance were expressed withmore use of blue, and red in the opposite but if a sword dance takes on masculine character, blue color is more used, if feminie character, reddish colors, such as pink and red, are used. Thus, JinJu, Honam, Haeju, Pyeongyang dancing Suit of Gum-Mu feature blue color, Tongyeong, Kyeonggi, Court(seoul)dancing Suit of Gum-Mu feature reddish color.

Keywords

References

  1. 이영진 (2000), 문화 관광 자원의 이해를 위한 문화재조사 연구 입문, 서울: 학문사, p. 137.
  2. 남후선 (1997), 검기무복식에 관한연구, 복식문화연구, 12, pp, 442-450.
  3. 남미화 (2002), 조선후기 기록화에 나타난 검기무복식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윤지원 (2007), 劍舞服飾의 연원과 변천양상에 관한 연구, 복식, 57(7), pp. 84-97.
  5. 윤지원 (2005), 中國巾舞服飾에 나타난 이국적 취향에 대한 연구 :漢代부터 隋唐代를 중심으로, 복식, 55(8), pp. 48-56.
  6. 최윤희 (2010), 조선시대 궁중검기무 복식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이경진 (2003), 조선시대 정치 사회상에 나타난 궁중검무의 변화에 관한 연구, 수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2-24.
  8. 임수정 (2006), 한국 여기검무의 예술적 형식과 지역적 특성 연구, 용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27.
  9. 윤지원 (2007), 劍舞服飾의 연원과 변천양상에 관한 연구, 복식, 57(7), pp. 95.
  10. 김영희 (2009), 한국 근대 춤에서 검무 변화의 연구. 한국 무용사학, 10, pp. 165-166.
  11. 박민일 (2008), 기생 100년 엽서 속의 기생읽기. 서울: 국립민속박물관, p. 57.
  12. 최승일 (1937), 최승희 자서전, 서울: 이문당, p. 15.
  13. 최승희조선무용기본보존회, "최승희검무", 자료검색일 2010. 9. 8, http://cafe.naver.com/sis1229
  14. "최승희 여사의 무용을 보고" 1938. 2. 10, 신한민보, 제1570호
  15. 국립국악원 편 (1981), 韓國音樂叢書三進饌儀軌, 傳統音樂硏究會.
  16. 최남선 (1948), 조선상식 풍속편, 서울: 동명사, p. 125.
  17. 최윤희 (2010), 조선시대 궁중검기무 복식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49.
  18. 남후선 (1997), 검기무복식에 관한연구, 복식문화연구, 12, p. 448.
  19. 신경섭 (2000), 한국의 鳥羽冠과 중국의 할冠비교연구, 복식, 50(4), pp. 89-102.
  20. 국랍국악원 (2002), 조선시대 음악풍속도 I, 서울: 민속원, p. 184.
  21. 국립국악원 (2000), 조선시대 진연진찬진하병풍, 서울: 태학사, p. 33.
  22. 국립국악원 (2000), 조선시대 진연진찬진하병풍, 서울: 태학사, p. 105.
  23. 성무경 (2002), 교방가요, 서울: 보고사, p. 13.
  24. 김홍도, 조선시대 풍속화, 고려대학교박물관 소장.
  25. 신윤복, 쌍검대무, 간송미술관.
  26. 작자미상, 신관도임연회도, 고려대학교박물관 소장
  27. 금기숙 (1994), 조선복식미술, 서울: 열화당, p. 43.
  28. 다음 백과사전, "한삼", 자료검색일 2010, 11. 10, http://enc.daum.net/dic100/contents.do?query1=b24h2911a
  29. 네이버 백과사전, "오방색", 자료검색일 2010, 11.10, http://100.naver.com/100.nhn?docid=775590
  30. 박은미 (2010), 한삼에 관한 고찰, 대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791.
  31. 이주희 (2006), 경기검무 춤사위구조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9.
  32. 남후선 (2003), 朝鮮後期宮中舞踊服飾의 服色思想(II)에 關한 硏究: 佳人剪牧丹.高句麗舞.公莫舞.萬壽舞를 중심으로,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5(1), p. 93.
  33. 배계영 (2010), 승전무 통영검무와 통영북춤에 내재된 미적 특성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4.
  34. 임수정 (2006), 한국 여기검무의 예술적 형식과 지역적 특성 연구, 용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55.
  35. 배계영 (2010), 승전무 통영검무와 통영북춤에 내재된 미적 특성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5.
  36. 정미선 (2010), 호남검무에 관한 연구, 숙명여대대학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32-35.
  37. 채향순 (2010), 승무의 상징적 표현에 나타난 한국적 정서,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107-128
  38. 금기숙 (1994), 조선복식미술, 서울: 열화당, p. 61.
  39. 임수정 (2006), 한국 여기검무의 예술적 형식과 지역적 특성 연구, 용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61-62.
  40. 문화원형백과사전, "진주검무의 무복", 자료검색일 2010. 9. 10, http;//culturedic.daum.net
  41. 임수정 (2006), 한국 여기검무의 예술적 형식과 지역적 특성 연구, 용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55-67.
  42. 김석훈 (2008. 10. 20), "여수전국국악경연, 전통'호남검무' 진수 첫 공개", 여수 까치 정보, 자료검색일 2010. 3. 7, http://www.iyosu.com
  43. 임수정 (2006), 한국 여기검무의 예술적 형식과 지역적 특성 연구, 용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68-69.
  44. 김영희 (2002), <조선음악무용연구회>의 활동에 대한 연구, 대한무용학회지, 통권(32), p. 19.
  45. 이주희 (2006), 경기검무 춤사위구조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30.
  46. 임수정 (2006), 한국 여기검무의 예술적 형식과 지역적 특성 연구, 용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71-72.
  47. 임수정 (2006), 한국 여기검무의 예술적 형식과 지역적 특성 연구, 용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59.
  48. 임수정 (2006), 한국 여기검무의 예술적 형식과 지역적 특성 연구, 용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73-74.
  49. 황지윤 (2005), 평양검무 춤사위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윈논문, pp. 31-33.
  50. 임수정 (2006), 한국 여기검무의 예술적 형식과 지역적 특성 연구, 용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76-77.
  51. 이주희 (2006), 경기검무 춤사위구조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8.
  52. 임수정 (2006), 한국 여기검무의 예술적 형식과 지역적 특성 연구, 용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78-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