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Educational Contents Authoring in a Project-Based Learning using NetLogo for Pre-service Teachers' Creativity

PBL 기반의 NetLogo를 이용한 교육용 콘텐츠 저작이 예비중등교사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 김진영 (순천대학교 과학정보융합학과 박사과정) ;
  • 박홍준 (순천대학교 교수학습개발센터) ;
  • 전영국 (순천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Received : 2011.03.31
  • Accepted : 2011.07.01
  • Published : 2011.07.31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he analysis of the effects of educational contents authoring in a PBL using NetLogo Pre-service teachers' creativity. With utilization of the analysis, we attempted to draw implications on the factors considered in instructional design. To compare their creativity before and after class, we have done pre-service teachers test for each Pre- and Post- TTCT and LCT. Based on the analysis, as a result, there has been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ir creativity, most especially in the 'fluency' subcategory.

본 연구에서는 예비 중등 교사들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용 콘텐츠 저작 수업에 콘텐츠 저작 도구로 NetLogo를 활용하는 방안에 초점을 두었다. 동시에 수업 모델로 프로젝트 기반 학습(PBL)을 적용하여 NetLogo를 활용한 교육용 콘텐츠 저작이 예비중등교사에게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수업 설계시 고려해야 할 요소들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프로그램의 적용이 학습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창의성검사(TTCT)와 학습집중력검사(LCT)를 각각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학습집중력에 있어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으나, 창의성 검사의 경우는 수업에 참여하였던 예비중등교사들의 창의성이 유의미하게 차이를 보였다. 특히 창의력 하위 요소인 유창성에서는 큰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대현 외(1999). 프로젝트 학습의 운영, 학지사.
  2. 김계영(1998). 교사의 창의성 수준에 따른 유아의 창의성 발달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 김성현(2006). 학습 집중력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상담학연구, 7(4): 1039-1054
  4. 김종순(2001). 프로젝트 활동이 초등학교 학생의 문제해결력 및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영재교육연구, 11(2): 1-21
  5. 김희필(2007). TRIZ 기법을 적용한 발명 교육 절차 모형 구안 및타당도 검증.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0(1): 61-83
  6. 겐리흐 알트슐러(2005). 트리즈 그러자 갑자기 발명가가 나타났다, 도서출판 인터비젼.
  7. 남승권 ․ 최완식(2006). 트리즈 40가지 발명 원리 적용이 학습자의 창의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1(2): 203- 232
  8. 남현정(2004). 트리즈를 적용한 창의적 디자인 발상 능력 신장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연구.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노영희 ․ 김재철 ․ 김호(2007). HLM을 이용한 교사창의성과 유아창의성 간의 관계 분석, 열린 유아교육연구, 12(2): 403-420
  10. 박덕자(2002). 트리즈 기법이 영재아의 창의적 사고 능력과 특성에 미치는 효과.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박형호(2004). TRIZ에 근거한 창의적 상상력 계발(CID) 프로그램의 적용이 초등학생의 창의성 신장에 미치는 영향.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양희선 ․ 홍진구 ․ 심규철(2008). 프로젝트 수행 활동을 통한 영재들의 창의성 신장에 대한 연구. 영재교육연구. 18(1): 111- 137
  13. 이창희(2005). TRIZ에 기초한 발명 프로그램이 초등학생들의 창의력에 미치는 효과.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조석희(2003). 영재판별을 위한 간편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교육, 30(1): 259-296
  15. 최미정(2005). 창의성 교육을 위한 교사교육프로그램의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0: 263-286
  16. 최미정(2006). 창의성 교육을 위한 교사연수 교육과정 개발. 대한사고개발학회, 2(2): 87-115
  17. 최병연(2008). 영재 담당교사와 일반교사의 창의성 비교. 영재와 영재교육, 7(2): 5-19
  18. 최송림(1998). 프로젝트 접근법이 아동의 사회.정서 발달과 창의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최유현 외(2011). 주니어 공학 팀 미션 프로젝트 교육프로그램 및 교재 개발과 적용 효과. 한국공학교육학회, 15(3): 15-24
  20. Cooper, E.(1991). A Critique of six measures for assessing creativity.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25(3): 194-204. https://doi.org/10.1002/j.2162-6057.1991.tb01370.x
  21. Gulford, J. P.(1952). Creativity. American Psychoogist, 5: 449-454.
  22. Torrance, E. P.(1972). Can we teach children to think creativity.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6(2): 114-143. https://doi.org/10.1002/j.2162-6057.1972.tb00923.x
  23. Scott, G., Leritz, L. E., & Mumford, M. D.(2004). The effectiveness of creativity training: A quantitative review. Creativity Research Journal, 16(4): 361-388. https://doi.org/10.1080/104004104095345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