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f Relation between Supply Criteria of Public Facilities and Residents' Satisfaction for the Community Revitalization in the Apartments

공동주택 내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주민공동시설 설치기준과 주민 만족도와의 관계 분석

  • Received : 2011.09.30
  • Accepted : 2011.12.15
  • Published : 2011.12.31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n the supply of community facilities based on the supply criteria of present welfare facilities. Analyzing satisfaction of residents about community facilities based on physical supply criteria. The study sets up the concept and proposed trend of the related studies and distinction through the examination of previous researches. Next, the present systematical supply criteria, was used to make indication in order to propose the promotion of improvement on supply criteria for community facilities. Multi dimensional analyzing system and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community facility was us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The direction of policy improvement according to the analysis is as per the following. First, it is necessary to improve supply criteria of household to guarantee the minimal amount of space. Second, specification of the minimum distance of community facility to residential area in the complex is needed. Also, the presentation of bottom boundary line of the formation area size to expand the size up to minimal level of size is needed. Third, resident exercise facility supply criteria among the community facility supply criteria need to be improved from the number of household base to the size for each household base. Forth, resident resting facility criteria among the community facility supply criteria should be changed from the present criteria of one facility per five hundred households.

Keywords

References

  1. 강병서, 김계수(2009), (SPSS 17.0)사회과학 통계분석, 한나래출판사.
  2. 김수미(2005), 공공임대 아파트의 옥외부대복리시설 기준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 김수미, 심우갑(2004), 호수밀도를 고려한 옥외부대복리시설 기준과 옥외공간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20권8호, pp. 107-116.
  4. 김용선, 송명규, 이경진(2010), 공동주택 커뮤니티시설의 유형화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2권1호, pp.161-181.
  5. 김혜근(2004), 임대아파트 공적공간의 계획방향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권태규, 최상헌(2009), 공동주택 커뮤니티 시설 활성화를 위한 거주자 및 관리자 의식조사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25권11호, pp.69-78.
  7. 노형진(1999). 한글 SPSSWIN에 의한 조사방법 및 통계분석, 형설출판사.
  8. 박수화, 이원근(2009), 공동주택 단지내 외부공간의 실태분석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발전학회논문집 34집2호, pp.163-185.
  9. 서수정, 백혜선(2004), 공동주택단지 내 부대복리시설의 공간변용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20권11호, pp.219-230.
  10. 성기수(2009), 공동주택 적주성 지표에 관한 연구: 부대복리시설의 통합 지표화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1. 송명규(2009), 단지 유형별 아파트 거주자들의 커뮤니티시설 이용 및 수요도에 관한 연구: 용인동백지구를 사례로, 부동산학연구 15집2호, pp.167-183.
  12. 연태경, 심연섭(2005), 관리자 면담을 통한 공동주택 부대복리시설 관리 및 사용실태 분석: 시설 현황 및 공간변용과 관리상 문제점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지 21권10호, pp. 121-130.
  13. 최임주(2006), 평형별 구성비에 따른 아파트단지 부대.복리시설 공급의 적정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22권4호, pp. 159-168.
  14. 최혜진, 신경주(2008), 공공주택 단지 내 커뮤니티시설의 설치기준과 경향, 한국생활과학연구 28집1호, pp.64-70.
  15. Hillery Jr., George A.(1955), Definition of Community: Areas of Agreement, Rural Sociology, 20.
  16. Gerald Porterfield(2001), Community By Design: New Urbanism for Suburbs and Small Communities, McGraw-Hi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