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racteristics of Housing Preference for Each Aging Situation before and after Providing Information of Aging Society

고령화사회 관련 정보제공 전·후의 노후상황별 주거선호 특성

  • 이연숙 (연세대학교 주거환경학과) ;
  • 신화경 (상명대학교 소비자주거학과) ;
  • 이동주 (밀레니엄환경디자인연구소) ;
  • 윤혜경 (밀레니엄환경디자인연구소) ;
  • 이준민 (상명대학교 주거환경학과) ;
  • 유혜정 (연세대학교 주거환경학과)
  • Received : 2011.06.15
  • Accepted : 2011.10.25
  • Published : 2011.10.31

Abstract

The aging population has been increasing in Korea so that it is difficult for people to understand the change of the future society.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preliminary retiree's alternative housing preference by providing an accurate information about residential current issues and the seriousness brought by the aging society. It explained the visual information about the aspect of the residential change due to the aging society to 104 preliminary retirees who live in the apartment in Seoul. It survey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lternative housing preference following 4 situations of the Old age type(couple/healthy, couple/ill, single/healthy, single/ill). It analyzed the difference of housing preference before and after providing inform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 previous apartment is not enough to prepare the aging society and UIBS(unit insertion building system) for the elderly was expected to be a great help to the frail after 2026. Second, the preference of UIBS was increased after providing information of the aging society. Third, in the case of the illness, a big city with medical facilities was preferred not to move in the suburb. Fourth, after providing information, a small size of apartment was preferred but the preferred change of housing ownership was not founded. Last, there was considerable difference before and after providing information under 4 situation of Old age type. These results showed the feasibility of coping with more accurate future society only if a survey should be taken with providing sufficient information about the aging society.

Keywords

References

  1. 황선혜(2010).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상황변화에 다른 주거환경 선호에 관한 연구. 연세대 석사학위 논문
  2. 김혜연(2010). 베이비붐 세대가 은퇴 후 선호하는 주거환경 특성에 관한 연구, 연세대 석사학위 논문
  3. 권문일(1996). 노인의 퇴직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대 박사학위 논문
  4. 오찬옥(1992). 중년층의 선호성향을 통해 본 노인주거모델. 연세대 박사학위 논문
  5. 고성룡(1990). 노인을 위한 공동주택 주거환경계획연구. 서울대 박사학위 논문
  6. 황선혜(2010).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 후 주거이동계획 패턴 연구; 생애상황을 중심으로.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논문집, 제 10권 5호
  7. 황선혜(2008). 주거환경개선지구 다가구주택 환경 개선 방안에 관한 임차인 요구 조사연구, 한국주거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2
  8. 김다해(2008). 다가구 임대주택의 디자인 증진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 10권 2호
  9. 이연숙 외(2007). 노인주택의 개념과 유형화 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논문집, 제7권 1호
  10. 이연숙(2007), 노인주택 개념과 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논문집
  11. 김혜연(2005). 맞벌이 부부가계의 은퇴계획:남편과 부인의 은퇴예상연령 및 관련변인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제9권 1호
  12. 곽인숙(1998), 노인의 취업여부와 건강상태에 따른 주거선호, 대한가정학회지 129.
  13. 박태환(1990). 한국의 노년층 주거개발과 주거환경 조성방안.
  14. 이연숙(1993). 고령화사회의 노인주택 정책 및 개발방향 설정. 한국노인문제연구소
  15. 통계청(2009). 한국의 사회동향(Korean Social Trends) 2009
  16. 이연숙(2010).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녹색성장 국가주요연구 사업단 네트워크포럼. 사람과, 생태계와 더불어 함께 사는 공생형 미래 아파트 디자인전
  17. 이연숙(1993). 한국형 노인주택. 서울:경춘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