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지배하는 이성'과 '배려하는 이성'이라는 개념 쌍을 통해 본 영화 <피아노>

Analysis of Jane Campion's <The Piano> by the Double Concept, the Ruling Reason vs. the Caring Reason

  • 투고 : 2011.07.20
  • 심사 : 2011.09.15
  • 발행 : 2011.10.28

초록

제인 캠피온의 <피아노>에서 에이다의 남편인 스튜어트는 근대인들과 마찬가지로 자연에 대한 무한한 정복욕과 소유욕을 드러낸다. 그러나 베인즈는 뉴질랜드 원주민과의 인간적 유대를 지니고 있으며, 자기땅에 대한 소유욕과 정복욕을 갖고 있지 않다. 스튜어트가 자기 아내의 욕망을 무시하고 자기의 욕망에 따라서만 행동한다는 점에서 근대인의 지배하는 이성을 대변해준다면, 베인즈는 에이다의 피아노에 대한 열망을 충족시켜 주고 그녀의 내면세계를 함께 공유하기 위해 그녀의 피아노와 자기의 땅을 교환하자는 거래를 제시한다. 이처럼 베인즈는 에이다의 목적에 맞게 그녀를 배려하고, 동시에 자기의 욕망 또한 배려한다는 점에서 배려하는 이성을 대변한다고 할 수 있다.

In Jane Campion's Stewart, Ada's husband, as like modern people, manifests the infinite lust of conquest. But Banes has a humanistic relation with the New Zealand's tribe and doesn't have a deep attachment of his own land. Stewart represents the ruling reason in that he disregards his wife's desire and acts only for his desire to possess and conquest. In contrast with him, in order to satisfy her desire of the piano and hold her own inner world in common, Banes proposes the extraordinary deal, that is to say, to exchange her piano and his land and to learn playing the piano from her. Like this Banes represents the caring reason in that he regards Ada's desire and cares her in according to her purpose and himself.

키워드

참고문헌

  1. Keller and Evelyn Fox, A Feeling for the Organism : The Life and Work of Barbara McClintock, Freeman, 1장, 1983.
  2. V. Plumwood, "Ethics and strumentalising Self," in Feminism and mastery of Nature, Routhlege, 6장, 1993.
  3. J. C. Tronto, "Beyond Gender Difference to a Theory of Care," in An Ethic of care : Feminist and Interdisciplinary Perspectives, Larrabee, M. pp.143-156, 1993.
  4. Blum and Lawrence, "Kant's and Hegel's Moral Rationalism : A Feminist Perspective", in Canadian Journal of Philosophy 13, No.2, pp.287-302, 1982.
  5. 이정국, "코엔 형제의 연출 스타일 분석 : 범죄 영화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6호, p.244, 2010. https://doi.org/10.5392/JKCA.2010.10.6.236
  6. 김선아, "<피아노>와 <울란도> : 여성성과 양성성 사이", 김소영 책임편집, 시네-페미니즘, 대중영화 꼼꼼히 읽기, 과학과 사상, p.205, 1995.
  7. 박덕춘, "TV 드라마의 내용상의 장르와 영상표현기법의 상관성",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10호, p.165, 2009. https://doi.org/10.5392/JKCA.2009.9.10.1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