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Respiration and Oral Motor Training based on Musical Elements and Singing on Voice of Healthy Elderly

음악요소와 노래 부르기를 활용한 호흡 및 구강훈련이 정상노인의 음성에 미치는 영향

  • 전희운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음악치료학과) ;
  • 김수지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음악치료학과)
  • Received : 2011.07.18
  • Accepted : 2011.09.21
  • Published : 2011.10.28

Abstract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usic-combined respiration and oral motor training on the voice of healthy elderly. 27 women attending a senior center in Seoul participated and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n = 16) and the control group (n = 11). Subjects attended music program(25 minutes per session) once a week for 4 weeks. For both groups, Fundamental Frequency (F0), Maximum Phonation Time (MPT) and Sequential Motion Rates (SMR) were measured using the Praat speech analysis program before and after the training. The results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in scores of intensity, F0, MPT, and SMR in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only intensi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control group. Considering that, the increasing life expectancy and growing number of older adults, their quality of life has been important. So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respiration and oral motor training would be effectively incorporated into training and services for this population.

본 연구는 음악요소와 노래 부르기 중심의 호흡 및 구강운동 훈련이 정상노인 음성개선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연구 대상은 서울 소재 노인 기관에서 노래 부르기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65세~80세 노인 27명을 대상으로 실험군 11명, 통제군 16명을 무작위 분류하여 선정하였으며, 훈련은 4주 동안 25분씩 4회의 그룹치료 형태로 실시되었다. 연구 결과는 두 집단의 사전 사후 결과를 Praat(음성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으며, 측정된 결과는 평균을 산출한 후 SPSS 19.0으로 통계처리를 하였다. 연구 결과에서 실험군은 강도(p < .001), 기본주파수(p < .01), 최대발성지속시간(p < .05), 일련운동속도(p < .001)가 유의미하게 향상을 보였으며, 통제군은 강도만 유의미한 차이로 감소를 보이고(p < .05), 나머지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감소를 보였다. 따라서 음악요소와 노래 부르기를 활용한 호흡 및 구강훈련은 노화로 인한 정상 노인의 음성 기능 개선에 치료적 효과를 나타내며, 이후 음성 장애를 예방하는 음성 훈련프로그램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고민석, 임병도, 김학준, 정의식, 조성진, 노호상, 김상현, 이혁우, "폐경기 여성의 음성 및 청력변화에 대한고찰", 대한산부인과학회지, 제44권, 제8호, pp.1522 -1526, 2001.
  2. 강수균, 김도연, 석동일, 조홍중, 최경희, "노인성 질환자의 삶의 질 제고를 위한 의사소통 문제 연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제40권, 제2호, pp.109-134, 2001.
  3. 김기웅, 최윤식, 김성권, 김성연, 심영수, 이광우, 이동영, 노인의 건강과 임상 검사, 서울대학교출판부, 2004.
  4. 한태륜, 방문석, 재활의학(제 3판), 군자출판사, 2008.
  5. M. L. Andrews, Manual of voice treatment (2nd ed.), Singular, 1999.
  6. 황여진, 유재연, 정옥란, 음성과 음성치료, 시그마프레스, 2007.
  7. 김영호, "노인성 음성", 대한음성언어의학회, pp.205-207, 2003.
  8. 김성태, 후두보정기법이 노인성 음성장애환자의 음성개선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9. 남도현, 최홍식, 호흡과 발성, 군자출판사, 2007.
  10. P. Torre III and J. A. Barlow, "Age related changes in acoustic characteristics of adult speech",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Vol.42, pp.324-333. 2009. https://doi.org/10.1016/j.jcomdis.2009.03.001
  11. 최재남, 성대마비와 성대구증의 호흡, 성문면적 파형 및 발성 특성 비교,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12. N. Roy, J. Stemple, R. M. Merrill, and L. Thomas, "Epidemiology of voice disorders in the elderly: Preliminary findings", Laryngoscope, Vol.117, No.4, pp.628-633, 2007. https://doi.org/10.1097/MLG.0b013e3180306da1
  13. R. Turley and S. Cohen, "Impact of voice and swallowing problems in the elderly", Otolaryngology Head and Neck Surgery, Vol.140, pp.33-36, 2009. https://doi.org/10.1016/j.otohns.2008.10.010
  14. I. M. Verdonck-de Leeuw, and H. F. Mahieu, "Vocal aging and the impact on daily life: A longitudinal study", Journal of Voice, Vol.18, No.2, pp.193-202, 2004. https://doi.org/10.1016/j.jvoice.2003.10.002
  15. S. Gorman, B. Weinrich, L. Lee, and J. C. Stemple "Aerodynamic changes as a result of vocal function exercises in elderly men", The Laryngoscope, Vol.118, No.10, pp.1900-1903, 2008. https://doi.org/10.1097/MLG.0b013e31817f9822
  16. T. Mau, B. H. Jacobson, and C. G. Garrett, "Factors associated with voice therapy outcomes in the treatment of presbyphonia", The Laryngoscope, Vol.120, No.6, pp.1181-1187, 2010.
  17. 강영애, LSVT에 의한 파킨슨병 환자의 음성장애치료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18. 김우아, Lee Silverman Voice Treatment(LSVT)프로그램이 특발성 파킨슨병환자의 자발화 말명료도에 미치는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19. 추인숙, LSVT 수정프로그램의 적용이 특발성파킨슨병의 환자들의 음성 및 어음명료도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7.
  20. 김선우, 노인여가생활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연구, 건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21. 한유미, 노래 부르기 활동을 통한 뇌졸중 노인의 조음 정확도 증진에 관한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22. 정현주, 음악치료학의 이해와 적용,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5.
  23. 백대웅, 인간과 음악, 어울림, 1993.
  24. L. M. Carroll and M. Phil, "Application of singing techniques for the treatment of dysphonia", Voice Disorders and Phonosurgery, Vol.33, No.5, pp.1003-1015, 2000.
  25. 이석원, 음악심리학, 문성인쇄, 2000.
  26. 장기연, 우희순, 여성노인에게 적용한 낙상예방 작업치료가 균형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3호, pp.232-240, 2010. https://doi.org/10.5392/JKCA.2010.10.3.232
  27. 전희숙, 김효정, 신명선, 장.노년기 성인의 유창성 특성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3호, pp.318-326,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3.318
  28. E. W. Gerdin, S. Einarson, M. Jonsson, K. Aronsson, I. Johansson, "Impact of dry mouth conditions on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older people", Gerodontology, Vol.22, No.4, pp.219-226, 2005. https://doi.org/10.1111/j.1741-2358.2005.00087.x
  29. D. W. Matear, D. Locker, and M. Stephens, H. P. Lawrence, "Association between xerostomia and health status indications in the elderly", The Journal of the Royal Society for the Promotion of Health, Vol.126, No.2, pp.79-85, 2006. https://doi.org/10.1177/1466424006063183
  30. K. Ikebe, T. Nokubi, and H. Sajima, S. Kobayashi, K. Hata, T. Ono, R. L. Ettinger, "Perception of dry mouth in a sample of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in Japan", Special Care Dentistry, Vol.21, No.2, pp.52-59, 2001. https://doi.org/10.1111/j.1754-4505.2001.tb00225.x
  31. R. Jong-Lyel, S. K. Hyo, and K. Ah-Young, "The effect of acute xerostomia on vocal function", Archives of Otolaryngology Head and Neck Surgery, Vol.132, No.5, pp.542-546, 2006. https://doi.org/10.1001/archotol.132.5.542
  32. M. D. Turner, and J. A. Ship, "Dry mouth and its effect on the oral health of elderly people", The Journal of the American Dental Association, Vol.138, No.1, pp.15S-20S, 2007. https://doi.org/10.14219/jada.archive.2007.03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