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Global Gravitational Models based on measured gravity data

육상 중력자료 기반의 전 지구 중력장 모델 분석

  • 최광선 (부산대학교 과학교육학부 지구과학교육) ;
  • 이영철 (부산대학교 지질재해.산업자원연구소)
  • Received : 2011.07.12
  • Accepted : 2011.09.01
  • Published : 2011.09.30

Abstract

In this study, Global Gravitational Model EGM2008, EGM96 and 16,786 gravity points measured on land were compared and analyzed. On the assumption that land gravity data is most accurate, the correlation coefficient, differences, MSE and difference variance along the height were computed between land gravity data and EGM2008, EG96. The correlation coefficient, land gravity data and EGM2008, was computed most largely with 0.824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with EGM96 was computed with 0.538. The standard deviation of differences between land gravity and EGM2008, EGM96 were 13.196 magl, 18.685 mgal respectively. Also the difference variance scope of EGM2008 was smaller than EGM96. There was no large variance of free-air anomaly differences between land gravity data and EGM2008 along the height however free-air anomaly differences with EGM96 varied along the height changes. Consequently EGM2008 nicely expresses Korea gravity field more than EGM96.

본 연구에서는 전 지구 중력장 모델 EGM2008, EGM96을 우리나라 육상에서 측정한 16,786 지점의 중력 자료와 비교 평가 하였다. 육상 중력자료가 가장 정확하다는 가정 하에 육상 중력자료와 EGM2008, EGM96 간의 상관계수(correlation coefficient), 차이, 차이의 평균제곱오차(MSE), 표고에 따른 차이의 변화 등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육상중력과 EGM2008 간의 상관계수는 0.824, EGM96 간의 상관계수는 0.538로 계산되었다. 육상중력과 EGM2008, EGM96 간의 차이에 대한 표준편차는 각각 13.196 mgal, 18.685 mgal로 계산되었으며, 차이의 변화폭 역시 EGM2008이 EGM96 보다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육상 중력과 전 지구 중력장 모델의 표고에 따른 고도이상 차이는 역시 EGM2008은 큰 변화가 없었으나 EGM96의 경우 고도 변화에 따라 고도이상의 차이가 큰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EGM2008이 EGM96에 비하여 우리나라의 중력장을 잘 표현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부산대학교

References

  1. 박필호, 박종욱, 강준묵, "GPS 실용화를 위한 우리나라 측지계와 WGS84의 좌표변환(1)", 한국측지학회지, 11권, 17호, pp 331-338, 1993.
  2. 원지훈, "중력과 GPS 자료에 의한 한반도 남부 및 인근 해역의 정밀 지오이드 연구", 박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4.
  3. 이석배, "중력학적 방법 및 위성측지 방법에 의한 지오이드 모델링에 관한 연구", 한국측량학회지, 제18권, pp 359-367, 2000.
  4. 이석배, 김진수, 김철영, 권재현, "1, 2등 수준노선에서 GPS 측량에 의한 기하학적 지오이드의 계산", 한국측량학회, 제27권 제2호, pp 213-223, 2009.
  5. 최광선, 이영철, "수치 지형자료를 이용한 중력의 지형보정", 지질학회지, 37 권, 1 호, pp 133-142, 2001.
  6. 지능형국토정보기술혁신사업단, "정밀 지오이드 모델 개발 제1, 2차년도 연구보고서", 167p, 2008.
  7. 신영홍, "한반도 남부의 지체구조구별 중력특성 연구", 지질학회지, 42권, 3호, pp 397-411, 2006.
  8. 최광선, "한반도 남부의 중력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이학박사 학위 논문, 110p, 1986.
  9. 최광선, 박필호, 신영홍, "GPS를 이용한 중력측정, 한국지구과학회지", 19 권, 2 호, pp 120-126, 1998.
  10. 최재화, 윤홍식, 이석배, 서용운, 심정민, "GPS/leveling을 이용한 지오이드 평가에 관한 연구", 연구보고서, 건설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 1998.
  11. Lemoine, F. G., Kenyon, S. C., Factor, J. K., Trimmer, R. G., Pavlis, N. K., Chinn, D. S. Cox, C. M., Klosko, S. M., Luthche, S. B.,Torrence, M. H.,Wang, Y. M., Williamson, R. G., Pavlis, E. C., Rapp, R. H., and Olson, T. R., "The Development of the Joint NASA GSFC and the National Imagery and Mapping Agency (NIMA) Geopotential Model EGM96", NASA/T P-1998-206861, 575p, 1998.
  12. Pavlis, N.K., Holmes, S.A., Kenyon, S.C. and Factor, J.k., "An Earth Gravitational Model to Degree 2160: EGM2008", presented at the 2008 General Assembly of the European Geosciences Union, Vienna, Austria, pp. 13-18, 2008.
  13. Choi, K. S., Kim, J. H. and Yang, C. S., "PNU95 Geoid". Korean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v.25, pp 1-13, 1997.
  14. Choi, K.S., Yang, C.S., Shin, Y.H. and Ok, S.S., "On the improvement of precision in gravity surveying and correction, and a dense Bouguer anomaly in and around the Korean Peninsula".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4(3), pp 205-215, 2003.
  15. Yun, H. S., Precision geoid determination by spherical FFT in and around the Koean peninsula, Earth Planets Space, Vol. 51, pp 13-18, 1999. https://doi.org/10.1186/BF03352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