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전자책에 대한 도서관의 학부모 이용자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arents' Perception about E-books in Libraries

  • 정연경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
  • 투고 : 2011.08.17
  • 심사 : 2011.09.06
  • 발행 : 2011.09.30

초록

본 연구는 도서관 이용자인 학부모들의 전자책에 대한 인식과 도서관의 전자책 서비스 만족도를 살펴보고, 향후 도서관의 전자책 서비스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5개 도서관의 초등학생을 둔 학부모 150명을 대상으로 도서관 이용, 컴퓨터 이용, 전자책 이용 행태, 도서관 전자책 서비스 이용 행태, 어린이 전자책 선정 등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123명으로부터 설문 응답을 받았다. 이를 바탕으로 도서관의 전자책 서비스 개선 방안을 보다 적극적인 도서관 전자책 서비스 홍보와 이용 교육, 이용하기 편리한 전자책 이용 과정, 도서관의 인적 물적 지원을 통한 전자책 서비스의 인지, 전자책 전담 사서와 전문 교육과정의 준비, 도서관 전자책 서비스 자체 평가를 통한 지속적인 서비스 개선으로 제시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f parents about e-books and to suggest ways to improve library e-book services. A user survey of one hundred twenty parents is carried for library use, computer use, and e-book user / non user behavior, library e-book service evaluation, selection of children's e-books and so on. Based upon the results, proactive library e-book service promotion such as public relations and e-book user education, easy access to e-book collections, recognition of e-book services at libraries, positions for e-book librarians and their professional continuing education, and self-evaluation of library e-book services.

키워드

참고문헌

  1. 구모니카. 2011. 전자도서관 서비스 정책에 관한 연구: 전자책 유통 정책 수립의 필요성을 중심으로. .
  2. 김현희, 강다혜. 2008. 초등학생 독서교육을 위한 멀티미디어 전자책의 효용성 평가. 한국도서관 ․ 정보학회지, 39(1): 245-264.
  3. 김효선. 2008. 공공도서관의 전자책 서비스에대한 이용자 만족도와 충성도 연구. 석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4. 남영준, 최성은. 2011. 대학도서관 전자책 서비스 이용자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5(1): 287-310.
  5. 남태우, 김진아. 2003. 대학도서관 전자책 서비스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연구, 34(2): 25-53.
  6. 배경재. 2011. 전자책에 대처하는 도서관의 자세. 도서관문화, 52(6): 33-37.
  7. 성동규, 박상호. 2005. 전자책 이용활성화를 위한 이용행태 조사 연구: 수용자 의견 조사를 중심으로. 한국출판학연구, 49: 93-119.
  8. 신정환. 2011. 전자책, 새로운 희망의 문 앞에서다. 도서관문화, 52(6): 28-32.
  9. 아이티투데이. 2011. 국내 전자책 시장, 예상보다 빠른 성장, [cited 2011.8.8]. .
  10. 이경아. 2010. 국내 어린이도서관 전자책 서비스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숙명여대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11. 이용준. 2010. 한국전자책 시장에 대한 수용자 인식 연구. 한국출판학연구, 36: 213-250.
  12. 이재현. 2010. 출판과 미디어의 변신. 전자책의 충격. 사사키 도시나오 지음, 한석주 옮김.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13. 이정혜. 2011. 서울특별시교육청 통합 전자도서관 운영사례. 도서관문화, 52(6): 22-27.
  14. 장기영. 2011. 전자책 충격 이제 시작일 뿐이다. 도서관문화, 52(6): 16-21.
  15. 장혜란. 2006. 대학생의 웹기반 전자책 이용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3(4):233-256.
  16. 정연경. 2011. 전자책: 새로운 지식생태계의 확장에 관하여. Research Front, 1: 5-27.
  17. 정종원. 2010. 대학생의 e-Book 이용실태의 변화에 대한 연구. 한국출판학연구, 58: 161-186.
  18. 정진한. 2009. 대학도서관 전자책서비스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대출 기록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3(1): 113-133.
  19. 정진한, 박일종. 2007a. 도서관에서의 전자책 관리와 서비스 방안에 관한 연구: 대구 ․ 경북 지역 도서관을 중심으로. 정보관리연구, 38(3): 31-58.
  20. 정진한, 박일종. 2007b. 도서관을 통한 어린이 전자책 서비스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4(4): 323-344.
  21. 황금숙. 2006. 전자책의 독서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종이책과의 비교를 통하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7(1): 47-62.
  22. Chief Officers of State Library Agencies. 2010. COSLA: eBook Feasibility Study for Public Libraries. Final report. [cited 2011.6.30]. .
  23. Hellman, Eric. 2010. Libraries, Ebooks, and Competition. Library Journal, [cited 2011.8.15]. .
  24. Library Journal. 2010. LJ Survey of Ebook Penetration & Use in U.S. Public Libraries. .
  25. Miller, Claire Cain and Julie Bosman. 2011. E-Books Outsell Print Books at Amazon. New York Times, [cited 2011.5.19]. .
  26. Thibaut, Kyle. 2010. Nicholas Negroponte: The Physical Book is Dead in 5 Years. TechCrunch, [cited 2011.8.6]. .
  27. Wilkert, Joe. 2009. Joe Wilkert's Publishing 2020 Blog: E-book survey results, [cited 2011.8.31]. .

피인용 문헌

  1. 어린이 도서관 사서와 어린이 이용자의 전자책에 대한 인식 및 이용에 관한 연구 vol.29, pp.1, 2012, https://doi.org/10.3743/kosim.2012.29.1.045
  2. 교육·연구용 전자출판물 사용경험 정의 및 사용성 평가에 관한 연구 vol.49, pp.2, 2011, https://doi.org/10.4275/kslis.2015.49.2.2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