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is study reviews the meaning and the usefulness of academic studies on acquisition and cataloging service(technical service), reveals problems and seeks solutions in terms of the librarian working in field, university library. The problems were found from the side of library and librarian, and from that of academic area, along with the lack of linking role of government agency. As solutions to enhance the usefulness of academic studies, this study suggests three points; the opportunities of communication of both sides, research based approach of librarians in the field and continuous field based verification from academic side. Currently librarians get limited help from the academic studies however, it is necessary to interact, correlate each other as subjects for mutual prosperity.
이 연구는 현장 사서의 입장에서 대학도서관 수서정리 업무에 관한 학술연구가 도서관 현장에 어떤 의미와 유용성을 가지는지 살펴보고, 그에 대한 문제점과 해결방안을 모색한 것이다. 문제의 원인을 도서관과 사서의 측면, 학계의 측면으로 나누어 분석하고 이 둘을 링크해야 하는 국가기관의 역할 부족에 대하여 생각해 보았다. 또한 학술연구가 현장에 유용성을 가지기 위해 필요한 것으로 학계와 현장 간 커뮤니케이션의 장, 사서의 현장연구적 자세, 학계의 현장에 대한 직접적 검증 행위의 반복 등을 제안하였다. 현재 사서들은 학술연구로부터 업무에 직접적인 도움을 받기 어려운 면이 많다고 하였으나, 도서관 현장과 학계는 상호간의 교류를 통해 도움을 주고 받으며 공존해 가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