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is study is to represent the research trends of the resource organization in Korea through the analysis of 607 papers related with resource organization in 4,015 papers on journals of 6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societies from 1970 through 201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average yearly papers in the case of academic journals published 14.8 pieces. The year published the largest number of papers: 2005 and 2009. The order of the number of papers by the domain of resource organization: cataloging, classification, indexing and abstracting, metadata, subject analysis. And the research on basic principle or theory in the resource organization showed insufficient. The research on KDC classification, cataloging rule, metadata element has are usually presented for improvements. But most of the research is not empirical analysis or objective assessment but subjective judgments of the researchers.
이 연구는 우리나라 문헌정보학 분야 6개 전문 학회지의 1970~2010년간에 수록된 4,015편의 논문가운데 자료조직관련 논문 607편을 계량적으로 분석하여 자료조직 분야의 연구동향을 분석한 것이다. 분석결과, 1970~2010년간 자료조직분야 학술지 발표논문은 연평균 14.8편으로 나타났으며, 연도별로는 2005년과 2009년이 40편으로 가장 높았다. 영역별로는 목록법이 241편으로 가장 높고 이어서, 분류법 190편, 색인초록 75편, 메타데이터 65편, 주제분석 22편, 자료조직 일반 14편의 순으로 나타났다. 목록법 영역에서는 OPAC와 MARC, 분류법 영역에서는 KDC와 DDC, 자동분류, 메타데이터 영역에서는 메타데이터 요소분석과 관리 및 적용, 색인초록 영역에서는 색인과 자동색인, 주제분석 영역에서는 시소러스 등의 주제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자료조직 분야의 연구내용을 분석해 보면, 자료조직의 기본적인 원리나 이론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KDC 분류체계 개선, 메타데이터 요소분석, 목록규칙 개선 등에 관한 논문은 대체로 개선안을 제시하고 있지만 실증적인 분석이나 객관적인 평가에 의해서가 아니라 단순비교나 연구자의 주관적인 판단에 의해 개선안을 제시한 경우가 대부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