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In the digital environment where the Internet and IT change rapidly, researchers have utilized scientific information by relying on more complex and various media than before. This study performed a group interview with thirteen questions derived from five categories in order to understand information needs and information seeking behaviors of Korean doctoral researchers in this information environment. The five categories are (1) identifying information resource usage pattern, (2) attitude towards information resources and reasons for use, (3) IT skills and information literacy, (4) physical library use vs electronic access, and (5) attitudes toward the digital library.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d on analyzing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wo groups of researchers selected equally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and in science and technology by doing the interview. The research showed that there are no differences in the goal of using scientific information, information literacy, the ratio of using written materials to electronic resources, and routes of acquiring research ideas or knowledge, but there are differences in materials used for studies or researches and in favorite scientific portal sites.
인터넷과 정보통신기술이 급변하는 디지털 환경에서 학술연구자들은 종전보다 더 복잡하고, 다양한 매체를 통해 학술정보를 활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달라진 정보환경에서 국내 박사과정 학술연구자들의 정보요구와 정보추구행태를 알아보기 위해 5개의 범주내에서 13개의 질문 항목을 도출하고 이를 통해 집단 면접조사를 하였다. 5가지 범주는 (1) 일반적인 학술정보 활용 패턴 (2) 학술정보 활용 이유(태도), (3) IT Skill과 정보활용능력, (4) 물리적 도서관 이용 대비 전자정보 접근, (5) 전자정보 활용과 관련된 전반적인 견해 등이다. 특히, 인문사회분야 학술연구자들과 과학기술분야 학술연구자들을 균등하게 선발하여 면접조사를 함으로써 두 집단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는데 연구의 주안점을 두었다. 연구결과 학술정보 활용 목적, 정보활용능력, 인쇄자료 대비 전자자료 활용 비율, 연구 아이디어나 지식을 얻는 경로 분야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며, 학업이나 연구와 관련하여 주로 활용하는 자료, 즐겨찾는 학술 포털사이트 분야에서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