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lated Factors of Pneumothorax after Percutaneous Needle Aspiration Biopsy

폐 병소의 경피적 흡인 생검 시 기흉 발생 관련 요인

  • Lee, Bo-Woo (Department of Public Health, The Graduate School of Konyang University) ;
  • Bae, Seok-Hwan (Department of Radiological Science, Konyang University) ;
  • Lee, Moo-Sik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Konyang University) ;
  • Lee, Jin-Yong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Konyang University) ;
  • Kim, Chul-Woung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Cho, Bum-Sang (Department of Radiology,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Yoo, Se-Jong (Department of Radiological Science, Konyang University) ;
  • Hwang, Ji-Hea (Department of Radiological Science, Konyang University)
  • 이보우 (건양대학교 일반대학원 보건학과) ;
  • 배석환 (건양대학교 방사선학과) ;
  • 이무식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이진용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김철웅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조범상 (충북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
  • 유세종 (건양대학교 일반대학원 보건학과) ;
  • 황지혜 (건양대학교 일반대학원 보건학과)
  • Received : 2011.07.30
  • Accepted : 2011.09.06
  • Published : 2011.09.30

Abstract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factors for affecting pneumothorax in percutaneous needle aspiration biopsy of lung lesions. This research were conducted at University Hospital in Daejeon from August 2007 to May 2008. Total 104 patients between the ages of 25~85 who had focal lung lesions were grouped in terms of the tumor location, tumor size, depth of lesion, gender, age, biopsy time, and the number of biopsies. Then, their correlations with pneumothorax were studied. The incidence of pneumothorax according to the positions showed 27.3% in the right lower lobe, 24.3% in the right upper lobe, 15% in the left lower lobe and 12% in the left upper,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incidence by lesion size showed 24.0% in 0~2.0 cm, 18.2% in 2.1~4.0 cm, above 20.0% in 4.1 cm respectively. The probabilities of pneumothorax was 6.7% at 0 cm depth of lesion, 24.2% at 0.1~2.0 cm and greater than 26.8% at 2.1 cm. By gender differences, we found that probability of incidence of pneumothrax is 21.7% for male and 17.1% for female. According to age, pneumothorax occurred in 25% in the group of less than 40-years-old, 11.7% in 41~50 years, 14.3% in 51~60 years, 24.1% in 61~70 years old and 24.1% in over 70 years. According to the time of biopsy, the incidence of pneumothorax was 3.8% from 0 to 10.0 minutes, 18.9% from 10.1 to 20.0 minutes and 40% more than 21 minutes.

본 연구는 폐 병소의 경피적 흡인 생검을 시행하는데 있어 기흉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대전광역시 일개 대학병원에서 2007년 8월부터 2008년 5월까지 국소적인 폐 병소를 보인 25~85세 사이의 10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병변의 위치, 병변의 크기, 병변의 깊이, 성별, 나이, 생검 시간, 생검횟수로 나누어 기흉 발생과의 연관성을 연구하였다. 위치에 따른 기흉 발생률은 우하엽에서 27.3%, 우상엽 24.3%, 좌하엽 15%, 좌상엽 12% 순으로 나타났다. 병변의 크기에 따른 기흉 발생률은 0~2.0 cm에서 24.0%, 2.1~4.0 cm에서 18.2%, 4.1 cm 이상에서 20.0%였다. 병변의 깊이에 따른 기흉 발생률은 0 cm에서 6.7%, 0.1~2.0 cm에서 24.2%, 2.1 cm 이상인 경우가 26.8%였다. 성별에 따른 기흉의 발생은 남성 21.7%, 여성 17.1%로 나타났다. 나이에 따른 기흉 발생은 40세 이하가 25%, 41~50세가 11.7%, 51~60세가 14.3%, 61~70세가 24.1%, 70세 이상이 24.1%로 나타났다. 생검에 걸리는 시간에 따른 기흉 발생률은 0~10.0분에서 3.8%, 10.1~20.0분에서 18.9%, 21분 이상에서 40%였다. 생검 시행 횟수에 따른 기흉 발생률은 4회 이상에서 28.6%, 2회 이하에서 20.5%, 3회에서 17.4%로 각각 나타났다. 기흉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생검에 걸리는 시간이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시간이 길수록 기흉 발생률이 증가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문찬, 이종호, 남윤철: 최신 CT영상기술학, 청구문화사, 2005
  2. 김선미, 전석철, 배오근 등: 흉부 세침흡인생검 1000 예의 진단성적 및 합병증, 대한방사선의학회지, 31, 897-900, 1994
  3. Jereb M: The usefulness of needle biopsy in chest lesions of different sizes and locations,Radiology, 134, 13-15, 1980 https://doi.org/10.1148/radiology.134.1.7350591
  4. 이수환, 최필엽, 김지양 등: 자동생검총을 이용한 CT 유도 하 흉부 경피 생검의 합병증 및 진단 성적, 대한방사선의학회지, 35, 195-200, 1996
  5. Cox JE, Chiles C, McManus CM, Aquino SL, Choplin RH: Variables affecting risk of pneumothorax in transthoracic needle aspiration biopsy, Radiology, 212, 165-168, 1999 https://doi.org/10.1148/radiology.212.1.r99jl33165
  6. 박재성, 백상현, 차장규 등: CT 유도하의 경피적 폐 생검: 임상적 의의 및 합병증에 관한 연구, 순천향의대논문집, 9(2), 147-153, 2003
  7. 이경환, 임효근, 김은아, 윤규섭, 배상훈, 신형식: 생 검총을 이용한 영상유도하의 경피 생검. 대한방사선의학회지, 31, 125-130, 1994
  8. Laurent F, Latrabe V, Vergier B, Casola G: Percutaneous CT-guided biopsy of the lung comparison between aspiration and automated cutting needle using a coaxial technique, Cardiovasc Intervent Radiol, 23, 266-272, 2000 https://doi.org/10.1007/s002700010067
  9. Takugi Y, Shigeharu L, Takharu K, Osamu T, Tsunchiko N: Combining fine-needle aspiration and Cor biopsy under CT fluoroscopy guidance: A better way to treat patients with lung nodules, A.JR, 180, 811-815, 2003
  10. Westott JL: Direct percutaneous needle aspiration of localized pulmonary lesions: Results in 422 pations, Radiology, 137, 31-35, 1980
  11. 이창호, 박경주, 박동원, 정경일, 서정호: 흉부 경피 적 세침 흡인술에서의 기흉 발생 요인: CT 폐기종 지수와 폐기능 검사의 비교, 대한방사선의학회지, 37, 845-851, 1997
  12. Fish GD, Stanley JH, Miller KS, Schabel SI: Postbiopsy pneumothorax: estimating the risk by chest radiography and pulmonary function test, AJR, 150, 71-74, 1988 https://doi.org/10.2214/ajr.150.1.71
  13. Jane P, Jo-Anne O, Elizabeth A, et al.: Factors influencing pneumothorax in emphysema, Mayo Clin Proc, 45, 481-487, 1970
  14. 최천웅: 경피폐세침흡인생검의 진단 유용성 및 합병 증 발생에 관한 연구, 경희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