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stimation of Flows and Pollutant Loads from GIS Analysis using Cell-based Geospatial and Georgraphic Information Data

격자기반의 지형 및 지리정보자료와 GIS분석기법을 이용한 유역의 유출량 및 오염부하량 추정

  • 조재명 (성균관대학교 건설환경시스템공학과) ;
  • 이미란 (성균관대학교 건설환경시스템공학과) ;
  • 윤홍식 (성균관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 Received : 2011.07.12
  • Accepted : 2011.08.11
  • Published : 2011.08.30

Abstract

Pollutant loads calculated with unit factor method can not identity seasonal variations of pollutant inputs. Estimation of pollutant loads considering rainfall runoff can overcome these limits. SCS curve number method was applied to estimate runoff of each event of Koeup watershed of Koheung estuary lake. SCS curve numbers were calculated based upon land use, soil types of the catchment using GIS. Point and nonpoint source pollutant loads were summed up for total loads estimation. Those from nonpoint source were estimated by multiplying the calculated runoff and expected mean concentrations (EMC) presented by the Minister of Environment of Korea. DEM can present three dimensional views of a terrain, identity stream networks and flow accumulation. Furthermore, it can examine accumulated pollutant loads of specific point of a catchment. Therefore, cell based pollutant load estimation was attempted using DEM. ArcView was utilized to collect, store and manipulate spatial and attribute data of pollutant sources and features of the catchment. Cell-based DEM which was established by the GRID module of ARC/INFO was employed to estimate flows and pollutant loads.

본 연구는 하천 유역에 대한 수문분석의 대표적인 요소인 유출량과 오염부하량을 추정하는데 있어서 기존의 수문학적 모델링 방법과는 달리 GIS분석기법을 적용하였다. 분석을 위한 기본 자료로는 토양도, 토지이용도, 수계도, 강수량 등의 유역형태 및 기상학적 특성을 정량화한 지리정보자료와 수치표고모형과 같은 지형 자료를 이용하였다. 토양, 토지 이용 인자에 대한 기준값으로는 미국토양보존국(SCS)에서 제시하고 있는 토양 분류 기준 및 유출곡선지수(CN)와 환경부에서 제시하고 있는 토양의 기대평균농도(EMC)를 적용하였다. 고흥군 고읍천 유역의 2010년 7월~8윌의 9개 강우사상에 대하여 유출량 및 오염부하량의 추정값과 실측값을 비교한 결과, 유출량은 평균 3.86%의 차이를 갖으며, 오염부하량은 평균 5.67%의 차이를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각 강우사상별 분석결과 추정 유출량은 강우량이 적을수록 그 오차가 매우 커지며, 추정 오염부하량은 강우량 및 계절의 변화에 따라 오차량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우리나라의 토양 및 토지이용에 적합한 배수 분류기준과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기대평균농도가 제시된다면 보다 정확한 유출량 및 오염부하량의 추정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상혁 (2005), 준 분포형 모형을 이용한 비점오염원 유출 모델링 및 관리, 한국GIS학회지, 한공공간정보학회, 제13권, 제1호, pp. 43-53.
  2. 고흥군 (2010), 통계연보, 고흥군.
  3. 김경순 (2005), 토지이용의 공간적 다양성에 따른 GIS 기반 오염부하 산정에 관한 연구, 환경영향평가학회지,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제14권, 제5호, pp. 305-315.
  4. 박경옥 (2008), GIS를 이용한 낙동강 유역에서의 비점 오염원 정량화 체계구축, 박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pp. 8-9.
  5. 배덕효, 이병주, 정일원 (2004), 위성영상 피복분류에 대한 CN값 산정, 한국수자원학회지, 한국수자원학회, 제36권, 제6호, pp. 985-998.
  6. 이미란 (2001), 수치표고모형과 유출곡선지수를 이용한 유출량 및 오염부하량 추정,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pp. 29-55.
  7. 윤용남 (2007), 수문학, 청문각, pp. 526-612.
  8. 환경부(1995), 비점오염원 조사 연구 사업 보고서, 환경부.
  9. 환경부 (2006), 물환경관리기본계획, 환경부.
  10. Olivera, F. (1996), Spatial hydrology of the Urubanba river system in Peru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Center for Research in Water Resources University of Texas.
  11. Quenzer, A. M. (1998), A GIS Assessment of the Total Loads and Water Quality in the Corpus Christi Bay System, Center for Research in Water Resources.
  12. Saunders, W. K. and D. R. Maidment (1996), A GIS Assessment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in the San Antonio-Nueces Costal Basin, Center for Research in Water Resources.
  13. Soil Conservation Service (1986), Urban Hydrology for Small Watersheds, TR-55, Soil Conservation Ser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