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rategies by Multipoem and Dicapoem

멀티포엠과 디카시(詩)의 전략

  • Published : 20110000

Abstract

This thesis aims at analyzing two contemporary aspects of Koreanpoems, known as multipoem and dicapoem. These two novel trendsrepresent the ways Korean poems take to surviving in the era of socalnetwork by adopting strategies of utilizing multi-media languages.Chang Kyong-ki, a leader in the multipoem society, proclaimed thefirst declaration of multipoems in August, 1996, and continued helpingthe new attempt settle and stabilize itself by holding several multipoemmovements and events, such as, Digital Manhe Festival, MultipoemAcademy, Multipoem Contests, Multipoem Exhibitions, and theMultipoem Performance Festival.However, although the multipoem movement is significant in that ithas utilized computers and calls for change, it is still hard to definemultipoem as a unique new genre because it focuses more on theoutward expansion by bringing in the image poems on the internet,flash multimedia poems, large size poems, framed poems, and porcelainware poems.On the other hand, Lee Sang-ok published the first dica (digitalcamera) poem book titled "The Way to Kosung" in 2004. He has eversince helped his development further grow and settle down by openinga net cafe, holding dica poem contests and festivals, publishing adicapoem periodical, and hosting meetings for dica poems researches.In the early 90s dica poems remained a simple subject in the minor culture, but gradually found its way in the medium of digitalenvironment. Dicapoem had a challenge to answer the general questionof compatibility between the picture images and the text, despite theundeniable characteristics lying in utilizing the digital cameras increating poems.Despite the several problems the multipoem and dicapoem have posed,it is true that they both attract the public interest in that the twosimilarly command multi-media languages, transcending the mere letters.The multipoem actively utilize the multi-media while the dicapoemaccommodate the digital camera images, a kind of basic multi-medialanguage, in conjunction with letters. In this respect, they may well beboth considered a new poetic genre in the multimedia era.There is a strong potential for both multipoem and dicapoem tonaturalize as an indispensible genre in the digital era, particularly ifmore progressive theorists participate and develop sophisticated poetics.

본 연구는 소셜네트워크 시대에 맞추어, 멀티언어를 활용한 시창작의 새로운 전략을 모색한다는 차원에서 마련되었다. 이를 위해 최근 우리 문단에 새로운 시창작 전략으로 논의되고 있는 멀티포엠과 디카시를 대상으로 삼았다. 장경기를 필두로 한 멀티포엠은 1996년 8월에 멀티포엠 제1선언문 발표를 시발로 하여 현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멀티포엠 운동으로 그 세를 넓히고 있다. 최근, 디지털만해축전에서 멀티포엠아카데미, 멀티포엠백일장, 멀티포엠 상영 전시, 멀티포엠 공연 축제 등이 그러한 세 확장의 본보기라 할 만하다. 멀티포엠의 경우, 컴퓨터라는 정보기기를 시창작과 감상의 장으로 끌어왔다는 점에서는 매우 의미 있는 작업이기도 하지만, 인터넷에서 활용되는 영상시나 플래시 멀티포엠, 액자형 대형시화, 도자기 멀티포엠 등처럼 지나치게 그 외연을 확장해 나간 점은 자칫 전통 시 갈래의 정체성을 흐릴 수 있다는 지적을 받을 만도 하다. 이는 멀티포엠이 별도의 예술 장르로 자리잡지 못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디카시는 2004년 이상옥의 디카시집『고성 가도(街道)』출간을 필두로, 카페(디카시마니아), 디카시전, 디카시 전문 잡지(『디카시』), 디카시페스티벌, 디카시문화콘텐츠 연구회 등의 다각적인 토대 위에서 꾸준히 그 내실을 다져가고 있는 중이다. 90년대 초반 하위문화의 시적 수용이 단순한 제재로서의 수용에 머물렀다면, 디카시는 디지털카메라를 시 쓰기에 활용함으로써 디지털 환경 자체를 매개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그러나 디카시 역시 디지털카메라를 도구로 하여 창작된다는 매체적 특이성을 제외한다면 사진과 시의 상호텍스트성이라는 일반적 논의와 어떻게 다른지, 그 의문을 완전히 해소하지는 못하고 있다. 이처럼 멀티포엠이나 디카시가 아직까지는 몇몇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지만, 멀티미디어를 적극적으로 활용한다는 점에서는 이 모두 멀티미디어 시대에 새로운 시적 전략으로 대중들에게 다가설 수 있을 것은 분명해 보인다. 따라서 이제부터는 멀티포엠이나 디카시 같은 미디어 창작 영역에 대한 지혜로운 이론가들의 참신하고도 다각적인 연구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이는 문학의 위기라 불리는 시대에, 디지털 매체 환경에 걸맞는 새로운 창작 방법론을 모색함으로써, 대중으로부터 멀어진 문학을 다시금 대중의 일상 속에서 재현해 내는 데 기여할 것이기 때문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