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에서의 정의적 성취 판단을 위한 기준 점수 설정 및 중2 학생들의 성취 특성

Establishment of Affective Achievement Criteria and Investigation of 8th Grade Students' Affective Characteristics in Mathematics

  • 김선희 (신라대학교 수학교육과)
  • Kim, Sun-Hee (Department of Mathematics Education, Silla University)
  • 투고 : 2011.04.14
  • 심사 : 2011.07.10
  • 발행 : 2011.08.31

초록

수학 학습에서 학생들의 정의적 성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본 연구는 준거 참조 평가의 준거인 기준 점수를 설정하였다. 타당도와 신뢰도가 확보된 표준화된 정의적 성취 검사 도구에 대하여 변형된 Angoff 방법을 적용하였고 수학교사 전문가 협의회를 통하여 합의된 점수가 설정되었다. 이 점수는 학습지향성, 자기통제, 불안, 흥미, 가치인식, 자신감의 6가지 요소에 대하여 각각 설정되었다. 학습지향성은 20점 만점에 기준 점수가 12점, 자기통제는 24점 중 14점, 불안은 16점 중 11점, 흥미는 20점 중 13점, 가치 인식은 24점 중 16점, 자신감은 16점 중 10점이었다. 우리나라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은 수학에 대한 가치 인식을 성취한 비율이 가장 높았고, 성별이나 수준별 수업 시행 여부 별로 정의적 성취 비율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This study sets the cut points of affective achievement scores based on the criteria referenced assessment. The modified Angoff method is applied to the standardized mathematics affect inventory which had validity and reliability. The cut points are set for 6 factors i.e. learning directivity, self control, anxiety, interest, cognizing value and confidence. As the results, among percentages of factor that middle school 2nd grade students in Korea achieved, the proportion of cognizing value is the highest. And there are no difference of the proportions as for gender, differentiated instruction, and reg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교육과학기술부 (2008).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 III - 수학, 과학, 기술. 가정.
  2. 교육인적자원부 (2007). 수학과 교육과정. 대한 교과서 주식회사.
  3. 김명화 (2010).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의 개념과 구성 요소.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 개선 방안 탐색 세미나.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자료 ORM 2010-58 (p. 3-20).
  4. 박 정, 김경희, 김수진, 손원숙, 송미영, 조지민 (2006).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기술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O 2006-4.
  5. 이미경, 곽영순, 민경석, 채선희, 최성연, 최미숙, 나귀수 (2004). PISA 2003 결과 분석 연구 -수학적 소양, 읽기 소양, 과학적 소양 수준 및 배경변인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04-2-1.
  6. 이종희, 김선희 (2010). 중. 고등학교 학생들의 수학 정의적 성취의 차이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14(4), 1-28.
  7. 이종희, 김선희, 김부미, 김기연, 김수진, 윤수철, 김윤민 (2011). 수학 학습에 대한 정의적 성취 검사 도구 개발 및 검증. 수학교육, 50(2), 247-261.
  8. 정구향, 조영미, 이대현, 이봉주 (2004). 2003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수학-.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04-1-4.
  9. DeBellis, V. & Goldin, G. (2006). "Affect and meta-affect i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 representational perspective."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63, 131-147. https://doi.org/10.1007/s10649-006-9026-4
  10. Hannula, M. (2004). "Introduction." PME 28th Conference, vol.1, 107-109.
  11. Lee, W. C. (2007). "Multinomial and Compound Multinomial Error Models for Tests With Complex Item Scoring."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31, 255-274. https://doi.org/10.1177/0146621606294206
  12. Malmivuori, M. L. (2004). "A dynamic viewpoint: affect in the functioning of self-system processes." PME 28th Conference, vol.1, 114-118.
  13. Malmivuori, M. L. (2006). "Affect and self-regulation."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63, 149-164. https://doi.org/10.1007/s10649-006-9022-8
  14. McLeod, D. B. (1992). "Research on affect in mathematics education: a reconceptualization." In D. A. Gouwes(ed.), Handbook of research o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Macmillan, NY, pp.575-596.
  15. Mullis, I. V. S., Martin, M. O., & Foy, P.(2008). TIMSS 2007 International Mathematics Report: Findings From IEA's Trends in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 at the Fourth and Eighth Grade. MA: Boston College.
  16. Op't Eynde, P., De Corte, E. & Verschaffel, L. (2006). "Accepting emotional complexity: A socio-constructivist perspective on the role of emotions in the mathematics classroom."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63, 193-207. https://doi.org/10.1007/s10649-006-9034-4
  17. Zieky, M. J. (2001). "So much has changed: how the setting of cutscores has evolved since the 1980s." In Cizek, G.J. (Ed.), Setting Performance Standards, pp.19-52.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