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학대 피해 자녀를 둔 어머니의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Study on Mothers with Sexually Abused Children

  • 이경은 (경북대학교 보건복지학부) ;
  • 김미정 (경성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Lee, Keung Eun (School of Health and Welfar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im, Mi Jung (Dept. of Social Welfare, Kyungsung University)
  • 투고 : 2011.08.15
  • 심사 : 2011.10.18
  • 발행 : 2011.11.30

초록

본 연구는 자녀의 성학대 피해 이후 어머니의 경험에 대해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통해 참여자의 경험 본질을 탐색하고 실천적 함의를 제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아동과 관련한 사회복지 시설과 기관을 통해 성학대 피해아동의 어머니 5명을 추천받아 2회 이상의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자는 선이해를 드러냄으로써 연구자의 선견과 편견을 괄호치기 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참여자는 자녀의 성학대 경험을 통해 '나락 아래로 영혼마저 사라짐'과 같은 절망감을 느끼며, 자녀의 성학대 사건 이후 '망가짐, 벼랑끝, 아이와 가족이 같이 무너짐' 같은 고통을 겪었다. 게다가 참여자는 '처절함, 내 아이를 지키기 위해 몸부림 침' 속에서 '한줄기 빛, 버틸 수 있는 힘을 얻음'으로 삶을 포기하지 않고 살아간다. '하지만 절망, 외면, 아이의 상처까지 마음속에 벽으로 쌓아두고 살아감'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성학대 피해아동의 어머니에 대한 사회복지 실천은 동반자적 입장으로 사건발생 10여 일 전후로 개입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This study is aimed to examine the emotional experiences of parents with children who have been sexually abused by others. Five mothers whose child was sexually abused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were first recruited through recommendations made by social welfare agencies that provided services to these children. We conducted two or more in-depth interviews for each mother to collect the data. The mothers' emotional experiences were analyzed using phenomenology. Mothers expressed that they felt like the whole world came crashing down around them, felt "totally lost", and felt deep pain together with their children, such that "my family and I were so devastated". Nevertheless, they gradually came to believe that they could overcome this tragedy by continuously making efforts to protect their children from the dangers outside. Despite their efforts, however, they kept the feeling of "hopelessness, neglect, and their children's wounds", deep inside them. The results indicate that it is necessary to have an intervention for mothers whose child has been sexually abused from a companions' perspective within 10 days after the sexual abuse incident.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한국학술진흥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