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이상기후변화가 낙동강 유역의 수문·수질요소에 미치는 영향

Hydrologic and Water Quality Responses to Precipitation Extremes in Nakdong River Basin

  • 장재호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정책연구본부 물환경연구실) ;
  • 안종호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정책연구본부 물환경연구실)
  • Jang, Jae Ho (Div. of Water Environment, Korean Environment Institute) ;
  • Ahn, Jong Ho (Div. of Water Environment, Korean Environment Institute)
  • 투고 : 2012.02.06
  • 심사 : 2012.07.23
  • 발행 : 2012.11.30

초록

가뭄, 홍수와 같은 이상기후에 따른 낙동강 유역의 수문과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강우 시나리오기반의 장기유출 유역모의를 통해 지표유출과 오염부하량 발생 특성을 살펴보았다. 전반적으로가뭄년도에서는지표유출량감소에 따라 오염부하량 감소현상을, 홍수년도에는 강우유출 증가에 따른 부하량 증가를 나타냈으나, 상류유역의 댐 직 하류와 같은 특정유역에서는 가뭄 시 댐 운영으로 인한 방류효과와 토양수분량의 변화 등의 물리적 요인들로 인해 SS부하량의 증가현상이 나타났다. 가뭄에 따른 SS의 농도변화는 유량변화에 따라 민감하게 반응하여 가뭄년도의 평수량 및 갈수량 시기에 높은 농도분포를 나타내었고 T-P는 상대적으로 본류구간보다는 유량이 비교적 적은 지류구간에서 높은 농도범위를 나타내었다. 반면, 홍수년도의 경우SS와T-P 모두 기준년도와 유사한농도범위에서 완만한형태의 변화를보였다. 또한, 유출량이 적은 건기 시에는 SS 부하량 유출도 감소하지만 유출량이 증가할수록 부하량이 급격히 증가하는 반면, T-P의 경우 건기 시에 부하량 유출이 크고 강우 시에는 오히려 감소하여 건기일수와 강우패턴에 지배적으로 각기 다른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된다.

SWAT model is applied to simulate rainfall-runoff and pollutant loadings in the Nakdong River basin as the condition for extreme droughts and floods. The year 1994 and 2002 are chosen as the drought and flood year, respectively, through the analysis of past rainfall data for 30 years. The simulation results show decreases in both runoff and pollutant loadings for the drought year but increases for the flood year. However, the pollutant loadings on some upper sub-basins increase for drought year due to highly-regulated dam discharge and soil moisture change. Collectively, extreme droughts and floods have negative impacts on water quality, showing elevated SS loadings during wet season and concentrated T-P concentrations during low flow season. The extent of these impacts is highly influenced by antecedent dry days and precipitation patterns.

키워드

참고문헌

  1. 기상청 (2009). 한반도 기후변화 추세분석.
  2. 박종윤, 박민지, 안소라, 김성준 (2009). "기후변화가 충주댐 유역의 하천수질에 미치는 영향평가를 위한 유역 모델링."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2권, 제10호, pp. 877-889. https://doi.org/10.3741/JKWRA.2009.42.10.877
  3. 유승환 (2009). 기후변화에 따른 미래 농업가뭄 특성 분석, 서울대학교 박사논문.
  4. 이아연, 김상단 (2011). "낙동강 유역 환경유량에 대한 기후변화의 영향 분석." 한국물환경학회지, 한국물환경학회, 제27권, 제3호, pp. 273-285.
  5. 이정호, 전성우, 이명진, 홍현정 (2010). 기후변화 연동 4대강 유역 지하수 함양량 예측 및 이용 가능량 산정 II. 경제.인문사회연구회 녹색성장종합연구총서 10-02-97(5),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0-18.
  6. 장재호, 안종호 (2012). "낙동강 유역의 수질관리를 위한 유역모델링 적용 연구." 한국물환경학회지, 한국물환경학회, 제28권, 제3호, pp. 409-417.
  7. 정일원, 이병주, 전태현, 배덕효 (2008). "유출모형이 기후 변화 수자원 영향평가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1권, 제9호, pp. 907-917.
  8. 최대규, 김문성, 김남원, 김상단 (2009). "CGCM 미래기후 정보를 이용한 기후변화가 병성천 유역 수문 및 수질반응에 미치는 영향분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2권, 제11호, pp. 921-931.
  9. 한국수자원공사 (2006). 가뭄관리정보체계 수립 보고서.
  10. 한수희, 유가영, 김상단 (2009). "식생 물 부족지수의 추계학적 거동과 기후변화가 그에 미치는 영향." 한국물환경학회지, 한국물환경학회, 제25권, 제4호, pp. 507-514.
  11. 환경부 (2008a). 2007년 상수도 통계연보. pp. 305-395.
  12. 환경부 (2008b). 2007년 전국오염원 기초조사자료.
  13. Bouraoui, F., Galibiati, L., and Bidoglio, G. (2002). "Climate change impacts on nutrients loads in the Yorkshire ouse catchment (UK)." Hydrology and Earth System Sciences, Vol. 6, No. 2, pp. 197-209. https://doi.org/10.5194/hess-6-197-2002
  14. Bouraoui, F., Grizzetti, B., Granlund, K., Rekolainen, S., and Bidoglio, G. (2004). "Impact of climate change on the water cycle and nutrient losses in a Finnish catchment." Climate Change, Vol. 66, pp. 109-126. https://doi.org/10.1023/B:CLIM.0000043147.09365.e3
  15. Donigian, Jr., A.S. (2000). HSPF Training Workshop Handbook and CD. Lecture #19. Calibration and Verification Issues, Slide #L19-22, EPA Headquarters, Washington Information Center, 10-14 January, 2000, Presented and prepared for U.S. EPA, Office of Water, Office of Science and Technology, Washington, DC.
  16.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2007). The Physical Science Basis, IPCC Contribution ofWorking Group I to the Third Assessment Report of the IPCC.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nited Kingdom and New York, NY, USA.
  17. Komatsu, E., Fukushima, T., and Harasawa, H. (2007). "A modeling approach to forecast the effect of longterm climate change on lake water quality." Ecological Modeling, Vol. 209, pp. 351-366. https://doi.org/10.1016/j.ecolmodel.2007.07.021
  18. Michael, A., Schmidt, J., Enke, W., Deutschlander, T., and Malitz, G. (2005). "Impact of expected increase in precipitation intensities on soil loss results of comparative model simulations." Catena, Vol. 61, pp. 155-164. https://doi.org/10.1016/j.catena.2005.03.002
  19. Nearing, M.A., Jetten, V., Baffaut, C., Cerdan, O., Couturier, A., Hernandez, M., Le Bissonnais, Y., Nichols, M.H., Nunes, J.P., and Renschler, C.S. (2005). "Modeling response of soil erosion and runoff to changes in precipitation and cover." Catena, Vol. 61, pp. 131-154. https://doi.org/10.1016/j.catena.2005.03.007
  20. Neitsch, S.L., Arnold, J.G., Kiniry, J.R., and Williams, J.R. (2005).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Theoretical Documentation. USDA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and Texas.
  21. Toy, T.J., Foster, G.R., and Renard, K.G. (2002). Soil erosion: processes, prediction, measurement, and control. John Wiley & Sons. Inc.
  22. Tung, C.P., Lee, T.Y., and Yang, Y.C. (2006). "Modelling climate-change impacts on stream temperature of Formosan landlocked salmon habitat." Hydrological Processes, Vol. 20, pp. 1629-1649. https://doi.org/10.1002/hyp.5959
  23. Varanou, E., Gkouvatsou, E., Baltas, E., and Mimikou, M. (2002). "Quantity and Quality Integrated Catchment Modeling under Climate Change with use of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Model." Hydrologic Engineering, Vol. 7, No. 3, pp. 228-244. https://doi.org/10.1061/(ASCE)1084-0699(2002)7:3(228)

피인용 문헌

  1. Non-Parametric Low-Flow Frequency Analysis Using RCPs Scenario Data : A Case Study of the Gwangdong Storage Reservoir, Korea vol.34, pp.4, 2014, https://doi.org/10.12652/Ksce.2014.34.4.1125
  2. Eco-river Restoration and River Management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vol.34, pp.1, 2014, https://doi.org/10.12652/Ksce.2014.34.1.01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