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ase Study on the Effective Liquid Manure Treatment System in Pig Farms

양돈농가의 돈분뇨 액비화 처리 우수사례 실태조사

  • 김수량 (상지대학교 이공과대학 환경공학과) ;
  • 전상준 (상지대학교 이공과대학 환경공학과) ;
  • 홍인기 (상지대학교 이공과대학 환경공학과) ;
  • 김동균 (상지대학교 동물생명자원학과) ;
  • 이명규 (상지대학교 이공과대학 환경공학과)
  • Received : 2012.05.21
  • Accepted : 2012.08.23
  • Published : 2012.08.30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ollect basis data for to establish standard administrative processes of liquid fertilizer treatment. From this survey we could make out the key point of each step through a case of effective liquid manure treatment system in pig house. It is divided into six step; 1. piggery slurry management step, 2. Solid-liquid separation step, 3. liquid fertilizer treatment (aeration) step, 4. liquid fertilizer treatment (microorganism, recirculation and internal return) step, 5. liquid fertilizer treatment (completion) step, 6. land application step. From now on, standardization process of liquid manure treatment technologies need to be develop based on the six steps process.

본 연구에서 조사된 일부 선도적인 양돈농가에서는 설치 운영하는 호기적 액상발효 공정은 대부분의 농가가 공정별 설계인자 및 물리 화학적인 성분변화의 특성보다는 경험적인 운영을 토대로 액비를 생산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김 등의 조사연구에 따르면 가축분뇨의 발생단계인 분뇨수거방식은 현재 국내 돈사의 70% 이상이 슬러리 형태로 분뇨가 배출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양돈분뇨의 수거방식과 배출형태가 대부분 슬러리라는 사실은 양돈분뇨의 적정처리에 의한 환경오염 차단과 자원화 이용과정에 적용될 각종 공법 및 시스템 적용이 돈사 슬러리부터 집중 관리해야 함을 시사한다. 이처럼 가축분뇨 액비화의 적정처리에 있어서는 발생단계 뿐만 아니라 액비가 토양에 환원되기 직전까지의 모든 과정이 전반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 농가의 가축분뇨 액비화 운영에 있어서 핵심적으로 구분 할 수 있는 단계를 주요사항 별로 구분하여 Table 8에 나타내었다. 가축분뇨 액비화 처리에 있어서 고액분리 단계의 경우 고액분리 방식과 효율에 따라 BOD (생물학적산소요구량), COD (화학적산소요구량), VFA (휘발성지방산) 등의 제거율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이는 후단공정 즉 주발효조에서의 공기주입량의 산정, 공기공급방식, 발효기간 및 2차 발효 등 운영방식 결정에 주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액비가 생산되어 토양에 환원되기까지의 과정은 각각의 주요한 요소들이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있으며, 농가 현장을 방문조사하고, 생산되는 액비를 비교 분석한 결과 액비화 공정에 있어서 필수적인 핵심적 단계를 도출 할 수 있었다. 이에 대한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1. 돈사 슬러리 관리 단계 돈사 슬러리는 혐기부패를 최대한 방지하며, 주요 악취물질인 $H_2S$, $NH_4$, VFAs의 생성을 억제하여야 한다. 돈사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서는 부숙이 완전히 완료되어 유용미생물이 활성화된 액비를 돈사 세척수로 이용하거나, 슬러리 피트에 일부 투입하여 단순 저장일수를 처리일수로의 개념적 전환이 필요하다. 2. 고액분리 단계 일반적으로 BOD의 주요원인인 고농도의 유기물질은 대부분 분뇨의 고형성분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물리적 처리공정인 고액분리 단계에서 최대한으로 제거하여 후단공정인 주발효조의 부하를 최소화 시킨다. 3. 발효처리-공기공급 단계 축산농가 마다 사료의 종류나 관리방법 등이 각기 다르므로 배출되는 슬러리의 성상을 파악하여 물질수지와 처리일수에 기초한 발효조 용량과 공기주입량의 산정이 필요하다. 또한 공기확산 및 막힘현상을 고려한 자동제어 장치나 발효조의 상태를 감시 제어하기 위한 인자로서 pH 및 산화환원전위 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는 것이 중요하다. 4. 발효처리-미생물, 반송 단계 일반점검 (온도, pH, 용존산소, 산화환원전위, 전기전도도 등)과 정밀점검 (BOD, COD, VFAs, SS, N, P 등)의 주기적인 점검을 통하여 미생물 생장에 알맞은 유입농도와 반송량을 결정하고 농가환경에 맞는 발효조 운전방식을 확립 할 필요가 있다. 5. 후숙처리-최종액비 단계 후숙조에서는 공기과잉 투입으로 인한 질소성분의 손실을 방지하고, 유용미생물을 이용하여 토양환원에 적합한 액비를 제조한다. 가스발생에 의한 작물생육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액비 안정화 운전기술을 확립하고, 살포시기를 대응하여 액비의 유 출입을 집중적으로 관리한다. 6. 액비유통센터 연계-농지환원 단계 제조된 액비는 액비유통센터에 위탁하여 살포하는 체계를 확립하고, 악취 민원의 발생을 최대한 억제한다. 액비유통센터는 철저한 년 중 살포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원활한 살포조직 체제를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축산농가에서 가축분뇨 관리방법은 축사의 입지, 주변 환경 및 각종 환경규제 등 여러가지 여건에 따라 각기 다르며, 다수의 축산농가가 특정한 처리방법을 동일하게 적용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분석된 각 농가의 액비 성상 등은 여러 가지 환경적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조사농가 중 일부는 발효과정 중에 있는 액비를 채취하였으므로, 분석결과를 해석하여 가축분뇨 운영관리를 총체적으로 판단하는 것은 다소 무리가 있다. 추후에는 각 공정에 대해 유입되는 슬러리원수에서부터 처리가 완료되는 단계까지의 과정을 일괄적으로 분석하여, 유입 유출농도, 수리학적 체류시간 등 공학적 요소 및 이에 따른 경제성 평가 등을 세밀하게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 이밖에도 가축분뇨의 중요한 관리부분인 병원성미생물과 관련된 위해성 분분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가축분뇨에는 인간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Escherichia coli, Campylobacter, salmonella, Listeria 등 다양한 병원성 세균이 발견된다. 최근 전국적으로 발생된 구제역 사태는 우리나라 축산업 자체에 큰 타격을 주었을 뿐만 아니라, 사회 경제적으로도 막대한 손실을 가져왔다. 이 사건을 계기로 국내 축산기반의 전면적 재정비가 불가피하게 되었음은 물론 가축 분뇨에서 유래한 병원성 미생물 및 바이러스 등의 근원적 대처방법 개선과 가축분뇨의 위생적 처리에 대한 안전관리가 시급한 현안이 되었다. 따라서 안전한 경축순환의 액비유통 관리 체계 구축을 위해서는 병원성 미생물, 바이러스 등과 같은 위해요소를 억제 할 수 있는 액비화 처리기술의 표준화 공정 개발 또한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두환, 신중근, 한정철. 2010. 경남지역의 양돈분뇨 자원화 이용과 개선방안에 관한 실태조사. 한국축산시설환경. 16(1): 1-12.
  2. 김원용, 정재현, 라창식. 2004. 생물학적 축산폐수 처리공정의 자동제어 방법 및 제어 인자의 안정성. J. Anim. & Technol. 46(2):251-206. https://doi.org/10.5187/JAST.2004.46.2.251
  3. 농림수산식품부. 2011. 가축분뇨 자원화 촉진 및 퇴액비 품질 향상을 위한 워크샵. 발표자료.
  4. 농림수산식품부. 2010. 가축분뇨 자원화 추진 대책. 2010양돈정책세미나 발표자료.
  5. 농촌진흥청. 2003. 농축산폐기물을 이용한 광합성세균의 생산기술개발. 연구보고서.
  6. 농촌진흥청. 2007. 가축분뇨 자원화 기술 연구성과.
  7. 농촌진흥청. 2010. 가축분뇨 퇴․액비 이용기술 매뉴얼.
  8. 이명규, 고현준, 김명중, 신경섭, 양진모. 1997. 공기주입량에 따른 양돈분뇨중 악취제거 특성연구. 한국축산시설환경. 3(2): 155-123.
  9. 이명규, 권오중, 정진영, 태민호, 허재숙. 1998. 광합성세균을 이용한 양돈폐수의 무취화관리 방안에 대한 연구. 한국축산시설환경. 4(2):137-147.
  10. 정광용, 조남준, 정이근. 1998. 가축분뇨 슬러리 액비 부숙 조건별 특성비교. 한국환경농학회지. 17(4):301-305.
  11. 정귀택, 박석환, 박재희, 임은태, 방성훈, 박돈희. 2009. 폐수처리에 있어 질산화공정 인자의 영향. 한국생물공학회지. 24(3): 296-302.
  12. 허미영. 2010. 돈분뇨 Slurry의 폭기에 따른 분뇨성상 및 미생물 분포변화. 전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3. (사)한국축산경제연구원. 2008. 액비살포에 필요한 농경지 완화 등 규제개선에 관한 연구.
  14. APHA, AWWA, WPCF. 1989.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15. J. ZHU, PIUS M, NDEGWA, A, LUO. 2001. Effect of Solid-Liquid Separation on BOD and VFA in Swine Manure. Environmental Technology. 22(3):1237-1243. https://doi.org/10.1080/09593332208618209
  16. Tat Yee Guan, Richard A, Holley. 2003. Pathogen Survival in Swine Manure Environments and Transmission of Human Enteric Illness-A Review. Published in J. Environ. Qual. 32(2):383-392. https://doi.org/10.2134/jeq2003.3830
  17. Water Environment Federation. 2009. Manure Pathogens; Manure Management, Regulations, and Water Quality Protection. Mc Graw Hi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