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n the Criterion of River Zones Classification

하천구역구분의 기준에 관한 연구

  • 송주일 (경기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 윤세의 (경기대학교 공과대학 토목.환경공학부)
  • Received : 2012.02.16
  • Accepted : 2012.03.06
  • Published : 2012.04.30

Abstract

River areas are classified as conservation, restoration, and recreation zones depending on engineers' opinions from their experiences at present. For conservation zones, almost all engineers have the same opinions because natural characteristics are considered for classification. However, it is difficult to decide a basis in classifying restoration and recreation zones in mixed areas by urban and rural streams. This study attempted to prove an application of a previous study (Song & Yoon, 2008) that suggested two classification techniques to classify conservation or maintenance zones, and reclassify maintenance zones into restoration or recreation zones. The suggested classification techniques of river zones were used to estimate 46 reaches of 20 urban streams, 47 reaches of 29 rural streams, and 48 reaches of 19 mountainous streams to achieve a purpose of this study. The conservation, restoration, and recreation zones were reasonably divided by results of the suggested techniques. A possibility that quantified criterion could be used to classify river zones was proven in this study.

현재의 하천구역구분은 평가자의 주관에 의해 경험적으로 보전, 복원 및 친수지구로 구분되고 있다. 보전지구를 구분할 때에는 하천의 자연성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대부분 기술자들의 결과가 일치하지만, 복원지역과 친수구역을 구분할 때에는 도시하천과 전원하천이 혼재하는 경우 그 구분의 기준을 정하기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하천구역을 구분하기 위해 우선 보전지구 정비지구로 구분하고 정비지구를 다시 복원지구와 친수지구로 구분하고자 한 기존 연구(송주일과 윤세의, 2008)의 적용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경기도지역을 중심으로 20개 도시하천의 46개 구간, 29개 전원하천의 47개 구간, 19개 산지하천의 48개 구간 등 총 141개 구간에 대하여 평가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하천구역구분에서 보전지구, 복원지구 또는 친수지구를 구분하는데 합리적임을 알 수 있었다. 정량화된 기준에 따라 하천을 보전, 복원 및 친수지구로 지정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2004) 하천정비기본계획수립 및 하천대장작성 지침, 건설교통부.
  2. 박봉진, 윤영중, 오윤근, 신종이(2005) 하천공간정비계획을 위한 하천구역구분과 기능공간배치 평가방법의 제안, 한국수자원학회지, 한국수자원학회, 제38권, 제2호, pp. 78-88.
  3. 송주일, 윤세의(2008) 하천공간관리를 위한 하천구역 구분 기법 연구, 국토연구, 국토연구원, 제59권, pp. 61-78.
  4. 한국수자원학회(2002) 하천설계기준, 한국수자원학회.
  5. 建設省 東北地方建設局(1994) 東北の自然豊かな川づくり- 近 自然化河道改修計劃檢討ニマニユアル.
  6. Collier, K.J. and McColl, R.H.S. (1992) Assessing the natural value of newzealand rivers, River Conservation Management. New York : John Wiley & Sons. pp. 195-211.
  7. Mark, P.T., Sophia, F., Amylia, F., and Peter, D. (2004) A rapid riparian assessment tool for local council urban creek assessment, Fourth Australian Stream Management Conference, Australia, pp. 1-6.
  8. National River Authority (1992) River Corridor Surveys, Bristol: NRA.
  9. Ratcliffe, D.A. (1977) A Natural Conservation Review, Vol. 1 and 2, Cambridge University
  10. Spellerberg, I.F. (1992) Evaluation and Assessment for Conservation, Champman & Hall.
  11. USDA (1999) Stream Visual Assessment Protocol, National water and climate center technical note 9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