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Development of Skid Resistance Prediction Model Considering Water Film Thickness and Vehicle Speed

수막두께와 속도를 고려한 도로포장면의 미끄럼저항 예측모델 개발

  • 조신행 (경기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 이수형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경기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 유인균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 김낙석 (경기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Received : 2012.01.13
  • Accepted : 2012.03.14
  • Published : 2012.06.30

Abstract

Skid resistance is defined as the friction between pavement surfaces and vehicle tires. Lower skid resistances were observed as the vehicle speeds the water film thicknesses were increased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using computer modeling. The lift force is calculated from the analysis results and depends on vehicle speeds and the water film thickness. A modified IFI(international friction index) skid resistance prediction model was developed to reduc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IFI resistance prediction model and the actual skid resistance. The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between the IFI prediction model and the actual skid resistance revealed that the $R^2$ using the modified IFI prediction model was 0.64 whereas the $R^2$ using the conventional IFI prediction model was 0.49. This presents the modified prediction model is better than the conventional one. An improved precise prediction model is to be obtained if water film thicknesses are considered in the modified prediction model.

도로 포장면과 타이어 사이의 마찰 저항을 미끄럼 저항이라고 한다. 미끄럼 저항은 도로 안전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미끄럼 저항 측정법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컴퓨터 모델링을 이용한 해석 수행 결과, 속도가 증가하거나 수막두께가 두꺼울수록 미끄럼 저항은 감소하였다. 해석 결과를 이용해 수막두께와 속도에 따라 수막 위를 주행하는 타이어에 발생하는 양력을 계산할 수 있으며, IFI(International Friction Index) 미끄럼 저항 예측모델과 실측 미끄럼 저항과의 차이를 줄이기 위해 양력을 반영한 수정 IFI 미끄럼 저항 예측모델을 개발하였다. 예측모델과 실측 데이터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기존 IFI 예측모델의 $R^2$는 0.49로, 수정 IFI 예측모델의 $R^2$는 0.64로 나타나 수정 IFI 예측모델이 기존모델에 비해 예측 효과가 우수하였다. 포장면의 상태에 따른 수막두께를 수정 예측모델에 반영할 경우 더욱 정확한 예측모델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손정삼, 이홍우, 조진래, 우종식(2005) 차량 속도에 따른 타이어 수막현상의 특성 연구, 대한기계학회논문집, 대한기계학회, 제 29권 제10호, pp 1307-1314.
  2. 이경아(2004) 타이어 수막현상의 해석 방법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강대학교.
  3. 이수형, 유인균, 김제원(2010) 차량 주행속도에 따른 노면 미끄럼저항성의 평가, 한국도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한국도로학회, pp 277-282.
  4. 한국건설기술연구원(2010) 도시부 Green Street System 기술 개발.
  5. 技術書院(1986) 新 改訂版 路面のすべり, - 道路.滑走路 床面, 技術書院.
  6. AASHTO (2008) Guide for Pavement Friction, NCHRP 1-43.
  7. John J. Henry (2000) Evaluation of Pavement Friction Characteristics, NCHRP Synthesis 291,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8. Walter B. Horne, Robert C. Dreher (1963) Phenomena of Pneumatic Tire Hydroplaning, NASA TN D-2056,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9. Shuo Li, Samy Noureldin, Karen Zhu (2004) Upgrading the INDOT Pavement Friction Testing Program, Joint Transportation Research Program, FHWA.
  10. ASTM E 274, Standard Test Method for Skid Resistance of Paved Surface Using a Full-Scale Tier.
  11. ASTM E 501, Standard Specification for Standard Rib Tire for Pavement Skid-Resistance Tests.
  12. ASTM E 965, Standard Test Method for Measuring Pavement Macrotexture Depth Using a Volumetric Technique.
  13. ASTM E 1845, Standard Practice for Calculating Pavement Macrotexture Mean Profile Depth.
  14. ASTM E 1960, Standard Practice for Calculating International Friction Index of a Pavement Surf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