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Relations with Motivation of Visiting and Evaluation by Location Type

장소에 따른 방문자의 방문 동기 유형 및 평가 결정요인 분석

  • 최열 (부산대학교 도시공학과) ;
  • 이재현 (부산대학교 도시공학과) ;
  • 성유정 (부산대학교 도시공학과)
  • Received : 2012.02.08
  • Accepted : 2012.04.06
  • Published : 2012.06.30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future space management. It is not a simple question that why people visit specific place. People visit a place for escape from routine, to learn from other people, spend a time with their friends or lover, to take a rest and get some fresh idea, to relieve stress, and for shopping. It is depend on a various visit motivation with complicated a psychological phenomenon. Visitor participate in choice a specific place by various motivation and purpose. Generally, visitor motivation accepted understanding visitor behavior and process of selected a place. Understanding that why people visit specific place can use a marketing and policy making of visit place so we need to study about visitor motivation. Data were collected through offline surveys from 501 people who have visited four survey place. Empirically analyzed the determinations of visitor motivation and estimate the place by using Ordinal Logit Model.

본 연구는 동기와 방문의 관련성을 해안형과 도심형으로 장소 유형을 분류하여 부산지역 특정 장소를 방문하는 방문객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그들 사이의 관계를 조사하고자 하는 것이다. 방문객들은 방문지를 선택하는 데 있어 다양한 목적과 동기를 가지고 참여하게 되며 일반적으로, 방문 동기는 방문객들의 방문 행동을 이해하거나 방문지 선택과정에 중요한 개념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방문객들이 왜 특정 장소를 선택하여 방문하는지를 이해하는 것은 방문 대상지의 정책 수립이나 마케팅에도 강력한 도구 역할을 하기 때문에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직접 설문을 통하여 이러한 동기와 방문의 관련성을 부산지역 특정 장소를 방문하는 방문객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그들 사이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장소의 방문 동기별 방문의 관련성을 방문객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관계를 직접적으로 조사 분석함으로써, 만족도 수준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특정한 속성 및 서비스의 집중과 대상지의 마케팅 계획수립의 방향을 제시하는 의미 있는 근거를 Ordinal Logit Model을 이용하여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재정.송재호.양성국(2003) 관광동기, 이미지, 재방문의도간 구조적 관련성, 관광학연구, 한국관광학회, 제26권 제4호, pp. 221-238.
  2. 박동진.손광영(2004) 관광동기, 이미지, 기대, 만족 및 충성도간의 구조적 관계 : 안동지역 방문자를 대상으로, 관광학연구, 한국관광학회 제28권 제3호, pp. 65-83.
  3. 오민재(2006) 드라마 촬영지 관광객의 이미지에 따른 관광동기 유형별 포지셔닝 연구, 박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4. 조재문(2000) 관광동기와 유인전략이 환경관광수요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동아대학교.
  5. 최열.김종성(2003). 순서형 프로빗을 이용한 주택규모선택에 관한연구, 국토계획,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제38권 제7호, pp. 69-80.
  6. 최열.최유섭.김용태(2007). 누적로짓모형을 이용한 주거지 침수 위험에 대한 지불의사분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7권 제5D호, pp. 629-637.
  7. Alan Agresti (1996) An Introduction to Categorical Data Analysis, pp. 211-212.
  8. Bansal, H. and Eiselt, H. A. (2004) Exploratory research of tourist motivation and planning, Tourism Management, Vol. 25, pp. 387-396. https://doi.org/10.1016/S0261-5177(03)00135-3
  9. Iso-Ahola, S. E. (1982) Toward a social psychological theory of tourism motivation: A rejoinder, Annals of Tourism Research, Vol. 9, No. 2, pp. 256-262. https://doi.org/10.1016/0160-7383(82)90049-4
  10. Pearce, P. L. and Lee, U. I. (2005) Developing the Travel Career Approach to Tourist Motivation, Journal of travel research, Vol. 43, No.3, pp. 226-237. https://doi.org/10.1177/0047287504272020
  11. Pindyck, R.S., and D.L. Rubinfeld (2001) Microeconomics(5th ed.), Prentice Hall.
  12. Ryan. C, Glendon. I (1998) Application of Leisure Motivation Scale to Tourism, Annals of tourism research, Vol. 25, No. 1, pp. 169-184. https://doi.org/10.1016/S0160-7383(97)0006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