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valuation on Impedance to Access and Transfer for Deep Underground Railway Network

대심도 철도의 접근과 환승 저항 평가에 관한 연구

  • 박길현 (조선대학교 토목공학과) ;
  • 김현 (한국교통연구원 철도정책기술본부 철도운영기술센터)
  • Received : 2013.02.23
  • Accepted : 2012.03.25
  • Published : 2012.06.30

Abstract

Because railways themselves are not enough to provide door-to-door service, they need to be complemented by a transportation system access the stations and a convenient transfer system to access other railway lines. User friendly service policies include a faster, interconnected, and intermodal transportation system. It becomes more important to use deep subterranean space from an economical standpoint in order to promote railway construction projects. In this research, the authors dealt with construction plan for strengthening capacity of deep subterranean railways. Since deep subterranean railways are situated deeper underground than other railways, they are more difficult to access and transfer to, in addition to psychological pressure. Moreover, deep subterranean railways with high speed add access difficulties as the distance between stations increases. Therefore, the authors discuss not only systemization for uniting deep subterranean railways and other transportation facilities but also reinforcement strategies. The purpose of these strategies is so that deep subterranean railways provide mobility while established railways provide accessibility to overcome this problem.

철도는 문전 서비스가 어렵기 때문에 출발지에서 역까지 접근성과 다른 철도노선과의 환승 편의성을 혁신적으로 개선해야 한다. 이 정책의 실행대안은 속도향상과 철도간 직결운행, 인터모달리즘 등이 있다. 최근 수도권광역급행철도정책은 속도향상, 건설기간 단축, 토지보상비 최소화 등의 목표 달성을 위해 대심도 지하공간 이용이 제안되어 있다. 하지만 대심도 지하공간에 건설되는 철도는 접근 및 환승저항, 이용자의 심리적 부담이 부정적 효용으로 작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대심도 철도의 접근과 환승저항 평가와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접근저항은 차내시간의 5배로 매우 크게 영향을 미치고, 환승저항 그리고 심리적 부담에 따른 불효용이 존재하고 있었다. 즉 대심도 철도건설정책은 역까지 접근교통수단과 일체적 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제도 정비가 매우 중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김현, 김연규, 정경훈(2009) 대심도 철도건설 정책의 실행방안연구 연구총서, 한국교통연구원, 2009-17.
  2. 김혜란, 김황배, 오잭학, 최진희(2009) KTX역사 및 일반철도역사의 환승저항산정, 대한교통학회지, 대한교통학회, 제27권 제5호, pp. 189-194.
  3. 김황배, 최진희(2010) 도시철도역사의 환승저항모형 구축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30권 제1호, pp. 11-15.
  4. 대한교통학회(2009) 수도권 신개념 광역교통수단도입방안연구, 최종보고서.
  5. 이경재(2004) 환승역사의 동선체계를 고려한 환승페널티 추정-서울시 지하철 사례,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6. 한국교통연구원(2011) 수도권급행철도 타당성조사.
  7. 兵藤哲朗, 章翔(2000) Mixed Logitモデルの汎用性に着目した特性 比較分析, 土木學會論文集, No. 660, IV-49, pp. 89-99.
  8. 淸水哲夫, 屋井鐵雄, 坂井康一(1998) 鐵道經路選擇モデルにおける選擇肢間の類似性の表現方法, 土木計畵學硏究.講演集, No. 21(1), pp. 459-460.
  9. 佐藤寬之.靑山吉隆.中川 大.松中亮治.白柳博章(2002) 都市公共交通タ一ミナルにおける乘換抵抗の要因分析と低減施策に よる便益計測に關する硏究, 土木計劃學 論文集, Vol. 19, pp. 803-811.
  10. 加藤浩德.芝海 潤.林 淳.石田東生(2000) 都市鐵道驛における 乘係利便性向上施策の評價手法に關する硏究, 運輸政策硏究, Vol.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