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references for Fashion Jewelry Depending on Consumption Value

소비가치에 따른 패션주얼리의 선호도

  • 김민호 (인덕대학교 주얼리디자인과)
  • Received : 2012.10.09
  • Accepted : 2012.11.13
  • Published : 2012.12.28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analyze preferences depending on consumption value in relation to fashion jewelry design, colors, and materials. For this, 156 female consumers participated in it as subjects, and for a research tool of consumption value, VALS (Values and Life Style) technique was employed to make an empirical analysis by dividing it into three types such as principle-oriented value, status-oriented value and behavior-oriented value. Research findings indicate that above all, there are differences in preferences depending on characteristics of fashion jewelry design depending on consumption value. It was foun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preferences depending on numbers of setting of fashion jewelry depending on consumption value, but it was found that there are no differences in preferences depending on jewelry materials. In addition, it was observed that for color characteristics of fashion jewelry, there are differences in preferences depending on consumption value. There are differences in preferences for fashion jewelry depending on consumption value, which indicates that preferences for products change depending on consumers' consumption value rather than use value. And it can be an explanation for this reas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work out a more efficient strategy through a process of setting up a target according to consumption value.

본 연구는 패션주얼리의 디자인, 색상, 재료에 대하여 소비가치에 따른 선호도 분석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위해 여성소비자 15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소비가치 조사도구는 VALS (Values and Life Style) 기법에 의하여 원리원칙 지향적 가치, 지위 지향적 가치, 행동 지향적 가치 등 세 가지의 유형으로 구분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살펴보면 먼저 소비가치에 따라 패션주얼리 디자인 특성에 따른 선호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가치에 따라 패션주얼리 보석 세팅 개수에 따라서는 선호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보석재료에 따라서는 선호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패션주얼리 색상특성에 있어서는 소비가치에 따라 선호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가치에 따른 패션주얼리 선호도에 차이가 전개되고 있는데, 이러한 원인은 사용가치 보다는 소비자의 소비가치에 의해 제품의 선호도가 변화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소비가치에 따른 타겟화 과정을 통해 보다 효율적인 전략 도출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송지은, 성인여성의 소비가치에 따른 패션명품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1 ,2008.
  2. 이철, "문화적 차이와 소비자 행동 연구의 비교 문화적 타당성", 한국소비자학회, 제3차 Doctoral Consortium, pp.1-14. 1997.
  3. 이형규, 신정혜, "20세기 코스튬 주얼리 디자인에 대한 고찰", 한국디지털디자인학연구, 제11권, 제2호, pp.33-42, 2011.
  4. 임철민, 정성환, "주얼리 디자인을 위한 소비자 감성에 관한 연구", 한국공예논총, 제11집, 제4호, pp.147-162, 2008.
  5. 임옥수, "복식에서의 장신구 역할 및 미적 가능성에 관한 연구; 현대 금속공예적 관점에서의 고대 장신구를 중심으로", 한국공예학회, 제3권, 제2호, pp.191-211, 2000.
  6. 이정훈, 주얼리 디자인 특성이 소비자 평가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7. 부정화, 패션주얼리 산업에 대한 마케팅 전략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3.
  8. 부정화, 패션주얼리 산업에 대한 마케팅 전략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6, 2003.
  9. 김민호, 한국주얼리산업의 콜레보레이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p.14, 2011.
  10. 김민호, 한국주얼리산업의 콜레보레이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1.
  11. 박은주, 하명진, "주얼리 충동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 제32권, 제3호, 통권173호, pp.385-394, 2008. https://doi.org/10.5850/JKSCT.2008.32.3.385
  12. 이기상, "주얼리의 시장분석을 통한 Semiprecious Stone 제품 개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제12권, 제4호, pp.165-173,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4.164
  13. 이정훈, 주얼리 디자인 특성이 소비자 평가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14. http://terms.naver.com/index.nhn?mobile
  15. 패션전문자료편찬위원회, "패션전문자료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7.
  16. 권미화, 청소년소비자의 소비가치와 소비행동의 합리성,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0.
  17. B. W. Becker and P. E. Connor, "Personal Values of the Heavy User of Mass Media,"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Vol.21, No.5, pp.410-425, 1981.
  18. 박성현, 소비자 가치에 따른 브랜드 개성의 선호도에 관한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15, 2008.
  19. M. Rokeach, "The narure of Human Values," Francisco Jossey-Bass, 1973.
  20. A. Mitchell, "The Nine American Lifestyles; Who We are and Where We are Going," New York; Mcmillan, 1983.
  21. L. R. Kahle, S. E. Beatty, and P. Homer, "Altenative measurement approaches to consumer values : The List of Values(LOV) and Values and Life Styles(VAL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13, No.1, pp.405-409, 1986. https://doi.org/10.1086/209079
  22. 박은희, 구양순, "대학생의 소비가치 유형에 따른 패션제품 구매행동", 한국생활과학회지, 제17권, 제4호, p.760, 2008. https://doi.org/10.5934/KJHE.2008.17.4.759
  23. 임종원, 홍성태, 이유재, 소비자행동론, 경문사, 1997.
  24. 류은정, "의복소비가치가 인터넷 의류쇼핑몰의 서비스 품질 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복식, 제52권, 제3호, 통권68호, pp.161-169, 2002.
  25. S. E. Beatty and P. Homer, "Alternative Measurement Approaches to Consumer Values: The List of Values(LOV) and Values and Life Style(VAL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13, pp.405-409, 1986(12). https://doi.org/10.1086/209079
  26. 강이주, 박명희, "생활양식과 소비패턴에 관한 연구, 한국소비자학회, 제1권, 제2호, 1990.
  27. 김란, 한국과 중국 대학생들의 광고태도에 관한 비교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28. 이정훈, 주얼리 디자인 특성이 소비자 평가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29. 조영란, 보석의 색상이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30. 오선미, 조주은,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라이프스타일과 일시적 해외 체제 시 여가 유형", 한국콘텐츠학회, 제12권, 제7호, pp.425-436,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2.12.07.425
  31. 이승희, 부정화, "패션 주얼리 소비자들의 구매 행동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학회, 제13권, 제1호, pp.121-132, 2005.

Cited by

  1. The Cosmetic Purchase Behavior of Women in Their 20s (Ⅰ) : Focused on Consumption Value vol.67, pp.3, 2017, https://doi.org/10.7233/jksc.2017.67.3.0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