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Spatial Crime Pattern and Place Occurrence Characteristics for Building a Safe City

안전도시 조성을 위한 범죄의 공간적 분포와 도시의 장소별 발생특성 분석

  • Heo, Sun-Young (ERI, Department of Urban Engineering,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Moon, Tae-Heon (ERI, Department of Urban Engineering,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12.10.16
  • Accepted : 2012.12.04
  • Published : 2012.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crime prevention in consideration of urban physical environment by analyzing the spati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nd pattern using actual crime occurrence data of the case city. The crime data was rebuilt by transforming them into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to analyze the spatial aspect of crime occurrence. The findings are as follows: a change from 2008 to 2011 is indicated with similar trend. But the local movements of crime hot spots are found. Moreover crimes were happening along the roads in linear pattern rather than inside of blocks in commercial area. This indicates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improvement of roads and open space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crime occurrence in a dangerous district can be reduced and prevented through the physical environment design and urban planning. The findings will contribute to promoting fundamental crime prevention as the physical environmental improvement in a city and to building a safe community as its result.

본 연구는 범죄발생 자료를 이용하여 시계열적으로 공간적 분포특성을 파악하고, 범죄발생 장소의 공간적 환경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도시공간의 물리적인 환경 개선을 통한 범죄예방 가능성을 타진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사례도시의 범죄자료는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공간데이터로 변환하여 사용하였다. 범죄발생의 공간분석을 통해 향후 범죄발생 지역의 변화를 확인하고, 환경설계나 도시계획으로 범죄를 예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2008년과 2011년 2개년 동안 범죄발생의 공간적 분포 패턴을 분석해 본 결과 국지적인 핫스팟의 이동이 발견되었다. 또한 상업지역을 중심으로 도로를 따라 선형으로 범죄 다발지역이 형성되고, 블록의 내부보다 도로변의 환경개선과 범죄예방 전략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외에도 사례지역을 위험지역과 안전지역으로 분류하고, 안전한 도시 만들기를 위해 도시계획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도 필요함을 지적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도시의 물리적 환경개선으로 근본적인 범죄예방을 도모하고 그 결과로서 안전도시를 만드는데 기여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석진, 이경훈. 2007. 도시주거지역에서의 근린관계 활성화를 통한 방범환경 조성에 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23(7):97-106.
  2. 강용길. 2006. CPTED 사례분석을 통한 효율적 도입방안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고준호. 2009. 범죄와 두려움의 공간적 특성.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김길섭. 2008. 안전한 도시를 위한 CPTED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유럽행정학회보 5(1):33-58.
  5. 김양형. 2007. 범죄예방을 위한 효과적인 CCTV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범죄심리연구 3(2):59-80.
  6. 박동균, 박성수. 2005. 범죄예방을 위한 CCTV 운용방안 연구. 한국지방자치연구 7(2):1-23.
  7. 박성수. 2011. U-IT 기술을 이용한 범죄예방 정책과 극복과제. 한국경찰학회보 27:33-60.
  8. 박창석. 2011. 범죄예방과 수사를 위한 경찰 CCTV의 필요성과 문제점. 법학논총 18(1): 197-221.
  9. 안황권, 강민완. 2005. 민간경비원과 경찰의 협력이 범죄예방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호경비학회지 10:173-188.
  10. 양문승. 2003. 효율적인 범죄예방을 위한 경찰 활동과 시민참여. 한국경찰학회보 5:81-112.
  11. 윤광구, 이시경. 2009. 지구대 범죄예방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 사회과학연구 25(1):167-189.
  12. 이성우. 2004. 서울시 범죄발생의 도시계획적 함의. 서울: 서울시정개발연구원.
  13. 이윤호. 1993. 범죄에 대한 공포 : 그 원인과 반응. 형사정책연구 13(1993):27-44.
  14. 이현희. 1994. 범죄발생율의 지역별 차이에 관한 연구: 사회해체이론과 일상 활동/ 기회이론의 통합 모델을 적용하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정경석. 2010. 공간범죄통합분석모형을 이용한 도시범죄의 시공간적 분포 특성 및 영향요인 분석. 경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조용철. 2005. 범죄예측을 통한 범죄예방활동에 관한 고찰. 한국범죄심리연구 1(1):273-294.
  17. Andersen, M.A. 2006. A spatial analysis of crime in Vancouver, British Columbia: a synthesis of social disorganization and routine activity theory. The Canadian Geographer/Le Geographe Canadien 50(4):487-502. https://doi.org/10.1111/j.1541-0064.2006.00159.x
  18. Cozens, P.M., G. Saville and D. Hillier, 2005.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CPTED). Property Management 23(5):328-356. https://doi.org/10.1108/02637470510631483
  19. Lewis, D. and M. Maxfield. 1980. Fear in the neighbourhood: an investigation of the impact of crime. Journal of Research in Crime and Delinquency 17: 160-189. https://doi.org/10.1177/002242788001700203
  20. Maslow, A. 1962. Toward a Psychology of Being. New York: Van Nostrand.
  21. Murray, T.A., I. McGuffog, S.J. Western, and P. Mullins. 2001. Exploratory spatial data analysis techniques for examining urban crime. British Journal of Criminology 41(2):309-329. https://doi.org/10.1093/bjc/41.2.309
  22. Troy, A. and J.M. Grove. 2008. Property values, parks, and crime: a hedonic analysis in Baltimore, MD.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87(3):233-245. https://doi.org/10.1016/j.landurbplan.2008.06.005
  23. 경찰청 보도자료. 2012.9.3.
  24. 두잇 서베이. http://www.dooit.co.kr.

Cited by

  1. Road Networks and Crime Occurrence Multi-Agent Simulation for Smart Safe City vol.18, pp.2, 2015, https://doi.org/10.11108/kagis.2015.18.2.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