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Subway Adjacent Area Pedestrian Networks using Weighted Accessibility based on Road Slope

구배 기반 가중 접근성을 이용한 역세권 보행 네트워크 분석에 관한 연구

  • 하은지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공간정보공학과) ;
  • 전철민 (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 Received : 2012.09.07
  • Accepted : 2012.10.30
  • Published : 2012.10.31

Abstract

Walking is the most basic personal mobility and its importance and concern is ever increasing with the highlighting of a new paradigm, such as transit oriented development, sustainable development and revitalization of green transport. The existing analytical research on pedestrian network is using a pedestrian's moving distance to a destination and integration in space syntax theory as its representative accessibility factors. However, the uniplanar network moving distance fails to reflect topographic characteristics, so the moving distance could show a similar result value in case of the regions for analysis that have a similar network structure to each other. Accordingl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new analytical methodology on pedestrian network accessibility in consideration of the grade in pedestrian sections and a pedestrian's size. this study, in its analysis of a uniplanar pedestrian network moving distance, analyzed the pedestrian network moving distance in consideration of the grade in pedestrian sections, and even the pedestrian network moving distance in consideration of a pedestrian's size, and suggested the methodology on pedestrian network accessibility analysis in consideration of a more substantive pedestrian's characteristics. It is hoped that the methodology used by this study will be used as the methodology on pedestrian network analysis which can reflect topographic characteristics in the pedestrian network analysis, and take a more substantive pedestrian's movement into account.

최근보행은 교통의 가장 기본 이동수단으로 대중교통 중심개발, 지속가능한 개발, 녹색교통 활성화 등 새로운 패러다임의 부각으로 그 중요성과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다. 기존의 보행 네트워크 분석 연구에서는 보행자의 목적지까지 이동거리와 공간구문론의 통합도를 대표적인 접근성 요소로 사용하고 있지만 단순한 평면상의 네트워크 이동거리는 지형적인 특성이 반영되지 않기 때문에 비슷한 네트워크 구조를 가진 분석 지역들의 경우 비슷한 결과 값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분석 지역의 특성에 따라 보행자들의 이동규모와 이동거리가 다름에도 불구하고 이를 반영하지 못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구배를 고려하고 보행자의 이동규모를 고려한 이동거리 분석을 통해 새로운 보행 네트워크 접근성 분석 방법론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강남구에 위치한 논현역, 역삼역, 학동역을 연구지역으로 선정하고, 미국 스포츠의학협회에서 제시하는 대사량 공식을 통해 구배 가중거리 공식을 유도하고 보행자의 이동규모를 추정하기 위해 건물 면적 비율에 따라 역 이용객 수 데이터를 활용해 건물 이용자 수를 추정한 뒤 연구 지역의 1인당 평균 이동거리를 비교하고 분석하였다. 더 나아가 역세권 200m와 500m에 위치한 건물에 대한 보행자의 이동거리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는 보다 연구지역의 특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단순 보행 네트워크 이동거리 분석에서 구배를 고려한 보행 네트워크 이동거리 분석, 더 나아가 보행자의 이동규모를 고려한 보행 네트워크 이동거리 분석을 실시하였고 보다 실질적인 보행자의 특성을 고려한 보행 네트워크 접근성 분석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이는 앞으로 보행 네트워크 분석에서 지형적 특성을 반영하고 보다 실질적인 보행자의 움직임을 고려한 보행 네트워크 분석 방법론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Clifton, K.J., 2006, "PEDS(Pedestrian Environmental Data Scan)", University of Maryland.
  2. Hillier, B., 1999, "Space is the machin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 Moudon, A.V. and Lee, C., 2003, "Walking and bicycling: an evaluation of environmental audit instruments", Americ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vol.18 no.1, pp.21-37. https://doi.org/10.4278/0890-1171-18.1.21
  4. Sugizawa, Y., 2003, "Use of gis for pedestrian space maintenance of welfare society", ESRI User Conference Technical Report
  5. 권성실, 오덕성, 2004, "환경적 지속성 측면의 도시계획요소가 거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 산본 신도시를 사례로", 한국도시설계학회지, 제5권 제3호, pp.5-21.
  6. 김영욱, 2003, "Space Syntax를 활용한 공간구조 속성과 공간사용패턴의 상호관련성 연구 : 인사동 지역의 보행자 및 차량 통행량을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제38권 제4호, pp.7-17.
  7. 박소현, 최이명, 서한림, 2008, "주거지 물리적 보행환경의 특성차이에 관한 연구 : 가회, 성산, 시흥, 상계, 개포, 행당 지역을 사례로",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24권 제2호, pp.215- 226.
  8. 신행우, 임현식, 김영욱, 2004, "서울시청광장 계획에 따른 보행네트워크의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4권, pp.286-301
  9. 오성훈, 성은영, 2009, "보행환경 다면평가 시스템 구축 연구 : 상업중심지 보행환경의 통합성을 중심으로", 건축도시공간연구소.
  10. 유승환, 강준모, 2012, "역세권 공간구조특성이 지가에 미치는 영향요인분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제32권, 제1D호, pp.61-69.
  11. 이계원, 2003, "서울시 지하철 역세권 토지의 용도 변화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 시립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2. 이병욱, 이승재, 2005, "Space Syntax를 이용한 서울시 버스개편의 접근성 효과분석", 대한교통학회지, 제23권, 제8호, pp.163-170.
  13. 임혜원, 김태호, 2012, "서울시 상업 역세권의 지역보행환경 만족도에 대한 영향인자분석", 대한토목학회지, 제60권, 제1호, pp.41-47.
  14. 전범우, 이낙운, 2010, "춘천시 공공시설의 보행접근을 위한 네트워크 구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26권 제12호, pp.245-252.
  15. 주기찬, 2004, 운동처방 : 최신 ACSM 지침에 따른 사례연구 중심, 대한미디어
  16. 주용진, 2011, "도시 철도 개통에 따른 대중교통이용 편익측정을 위한 대안적 평가모델 : 지하철 9호선을 사례로", 한국공간정보학회지, 제19권, 제4호, pp.11-20.
  17. 주용진, 하은지, 전철민, 2012, "TOD 계획 요소의 통합적 접근을 통한 친보행 환경의 평가 방안", 한국공간정보학회지, 제20권, 제3호, pp.15-25. https://doi.org/10.12672/ksis.2012.20.3.015
  18. 지우석, 구연숙, 2008, "보행환경 만족도 연구", 경기개발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