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Analysis of Accident Cases in Laboratories

실험실의 사고사례 분석에 관한 연구

  • Lee, Keun-Won (Center for Chemical Safety and Health, Occupational Safety & Health Research Institute, Kosha) ;
  • Lee, Jung-Suk (Center for Chemical Safety and Health, Occupational Safety & Health Research Institute, Kosha)
  • 이근원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
  • 이정석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 Received : 2012.09.05
  • Accepted : 2012.10.19
  • Published : 2012.10.31

Abstract

The loss of life and property due to accidents in the research facilities or the laboratories of the university occurs steadily and the necessity of laboratory accident prevention is proposed. Above all, the main work to laboratory accident prevention is a systematic analysis of laboratories accidents. Analyzing reports or researches on industrial accidents in Korea had been carried out but these researches or reports did not based on laboratory accidents analysis. To the establishment of the accident prevention countermeasure in laboratory, a questionnaire sheet has been developed in this study. The questionnaires to survey the accident cases were gathered by electronic mail and visit survey from the laboratories and universities. The data of accident cases from the questionnaires was analyzed and discussed on accident distribution by season, the type of accident classification, the type of occurrence, the objects that caused the accident and laboratory accident by the damage incurred etc.. Thes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the safety security and laboratory accident prevention of the laboratory worker.

대학 실험실이나 연구시설에서 실험실 사고에 의해 인적 및 물적 손실이 꾸준히 발생되고 있어서 실험실 사고예방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실험실 사고예방을 위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사고의 체계적인 분석이다. 국내에서 산업재해에 관한 분석 연구는 수행되어 왔으나, 실험실 사고 분석에 관한 연구는 수행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실 사고예방 대책 수립을 위해 설문지를 개발하였고, 설문지는 대학과 연구기관에 전자우편이나 방문조사로 사고사례를 수집하였다. 사고사례 데이터는 계절별, 사고 분류형태, 발생형태, 기인물 및 상해종류 별로 분석 고찰하였다. 이 연구결과는 실험실 종사자의 안전 확보와 사고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이근원, 최이락, "화학물질 사용 실험실의 안전관리 실태와 인식도", KIGAS, 16(2), 60-66, (2012).
  2. Lee, K. W., "An Evaluation of Safety and Health Level in Chemical Laboratories", International Journal of Safety, 6(2), 33-37, (2007).
  3. 이광원. "연구실 안전사고 대응 - 방폭실험실 사고를 중심으로", The Journal of Laboratory & Safety, 5(1), 36-45, (2010)
  4. 중대산업사고 속보 KOSHA-CCPS-201103, 건조기 폭발 화재사고,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2011)
  5. 이영순, 연구실 안전관리 실태조사를 통한 연구실 안전정책 선진화 방안에 대한 연구, 일반과제 2010-0338, 교육과학기술부, (2011)
  6. 강태웅, " 고속으로 회전하는 기계설비에 의한 사망사고", The Journal of Laboratory & Safety, 6(1), 68-72, (2012)
  7. 황수일, 연구실 안전환경 기반 구축사업, 한국엔지니어링협회, (2010)
  8. 이근원 등, 화학물질 사용 실험실의 사고사례 분석과 예방대책 연구, 2011-연구원-1398,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2011)
  9. 정부승인통계 승인번호 제38001, 업무상 사고조사,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10. 고용노동부, 2011 산업안전보건법령집,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2011)

Cited by

  1. Study fo the Characteristics Analysis of Laboratory Chemical Accidents vol.30, pp.3, 2016, https://doi.org/10.7731/KIFSE.2016.30.3.110
  2. 치과기공사의 안전교육 실태 및 상해발생 조사연구 -서울·경기 지역을 중심으로 vol.39, pp.3, 2012, https://doi.org/10.14347/kadt.2017.39.3.179
  3. 연구실 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관리 개선방안 연구 vol.24, pp.4, 2012, https://doi.org/10.7842/kigas.2020.24.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