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사서교사 자격 제도 및 직무에 대한 반성적 고찰

A Reflective Inquiry of the Qualification System and Jobs for the Teacher Librarian in Korea

  • 송기호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문헌정보교육과)
  • 투고 : 2012.11.04
  • 심사 : 2012.12.12
  • 발행 : 2012.12.30

초록

국제 학교도서관 기준에서는 사서와 교사의 자격을 갖춘 학교사서를 학교도서관에 배치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교수자로서의 역할 수행을 위하여 보조직원의 지원을 받도록 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 사서와 사서교사의 자격 요건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학교도서관에 둘 수 있는 인적자원은 교사의 자격 요건을 갖추지 않은 사서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사서교사와 사서의 직무가 명확하게 설정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도서관 기준과 학교도서관 관련법에서 정한 자격 요건이 상충하기 때문에, 사서직의 전문성과 사회적 위상을 약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학교도서관에 사서교사가 배치되어 있지 않다는 사실은 학교도서관 교육 기능의 불완전성, 교육 서비스의 불공평성을 극복해야 한다는 절심함을 안겨주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사서교사의 교육주제 전문사서로서의 정체성을 강화할 수 있도록 자격 제도를 더욱 강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학교도서관에 두는 인적자원의 유형을 사서교사와 준전문가 그리고 자원봉사자로 구분함으로써 자격에 대한 올바른 사회적 인식의 토대를 형성하여야 한다. 특히 '경영자, 교수자, 정보서비스, 리더, 협동, 파트너'의 틀 안에서 자격 유형별 직무 분석이 이루어져야 한다.

The international standard for the school library suggests that school librarians qualified for librarian and teacher should run the school library. And library assistants should support the teacher librarian to carry out a role as a teacher. Despite the difference of requirements, librarians without teachers' license are under the human resources for school library administration. Furthermore, the job description between the school librarian and librarian is not well-defined in Korea. The different requirements in the library standards and the school library related laws have led to weaken professionalism and social status of librarianship. The condition that teacher librarians are not in the school library have brought the pressure to overcome imperfect functions of the school library and unfairness of educational services.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eacher librarians' qualification system to improve their identity as educational subject specialist librarians. We ought to also build proper foundations of social recognition about librarianship through classifying the types of human resources in the school library into the teacher librarian, library paraprofessional and volunteers. Especially we should hold the job analysis based on administrator, teacher, service, leader, collaboration, and partner.

키워드

참고문헌

  1. 국가법령정보센터 [online]. [cited 2012.10.17]. .
  2. 권은경. 2004. 일본의 도서관법 개정과 사서교사제도.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8(2): 95-118.
  3. 광주광역시교육청. 2012. 2012학년도 학교도서관 진흥 시행계획(안). 광주: 광주광역시교육청.
  4. 교육과학기술부. 2010. 2010학년도 교원능력 개발평가 표준 매뉴얼.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교직발전기획과.
  5. 교육과학기술부,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6. 학교도서관 활성화 사업 평가 조사 연구.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6. 교육인적자원부. 2002. 좋은 학교도서관 만들기: 학교도서관 활성화 종합방안.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7. 교육통계연구센터 [online]. [cited 2012.10.10]. .
  8. 대통령소속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도서관발전종합계획: 2009-2013. 서울: 대통령소속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9. 문화체육관광부. 2012. 도서관발전종합계획 2011 년도 시행계획 추진실적: 중앙행정기관. 서울: 도서관정보정책기획단.
  10. 송기호. 2012. 학교도서관운영의 실제. 개정4판.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11. 셰라, J. H. 1984. 도서관학의 사회학적 기반. 윤영 옮김. 서울: 구미무역(주)출판부.
  12. 안인자 등. 2003. 학교도서관 사서교사(사서) 직무분석. 서울: 한국디지틀도서관포럼.
  13. 엄기형. 2012. 학교도서관과 교육정책: 정책의 제화의 맥락에서 학교도서관진흥법 개정 등 입법전략을 중심으로.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제7차 도서관정보정책포럼. 서울: 대통령소속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19-47.
  14. 여을환. 2012. 학교의 주체들이 공감할 수 있는 현명한 대안을 기대한다. 21세기한국교 육의 위기와 대안: 학교도서관진흥법의 문제와 개정 방안. 서울: 국회의원 이찬열의원실. 45-55.
  15. 한국도서관협회 도서관기준작성특별위원회. 2003. 한국도서관기준.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16. 홍용기. 2001. 인적자원관리. 서울: 형설출판사.
  17. Alaska Library Association(AKLA). 2008. "Library Media Specialist Job Description." Alaska School Library Handbook. [online]. [cited. 2012.10.10]. .
  18. American Association of School Librarians (AASL). 2010. Position Statement on Instructional Classification. [online]. [cited 2012.10.11]. .
  19. American Association of School Librarians (AASL) and Association for Educational Communications and Technology( AECT). 1998. Information Power: Building Partnerships for Learning. Chicago: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20. Australian Education Union(AEU SA Branch). 2004. Staffing of School Library Resource Center Policy. [online]. [cited 2012.10.10]. .
  21. Australian Library and Information Association (ALIA). 2009. Standards of professional excellence for teacher librarians. [online]. [cited 2012.10.2]. .
  22. Australian Library Information Association (ALIA) and Australian School Library Association(ASLA). 2009. Statement on teacher librarian qualification. [online]. [cited 2012.9.17]. .
  23. Australian School Library Association(ASLA). 2005. Standards of professional excellence for teacher librarians. [online]. [cited 2012.10.1]. .
  24. Australian School Library Association(ASLA). 2006. Impact of School Libraries on Student Achievement: a Review of the Research. [online]. [cited 2012.6.10]. .
  25. IFLA/UNESCO. 1998. School Library Manifesto. [online]. [cited 2012.10.1]. .
  26. IFLA/UNESCO. 2002. School Library Guidelines. [online]. [cited 2012.10.5]. .
  27.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School Librarianship (IASL) 1993. IASL POLICY STATEMENT ON SCHOOL LIBRARIES. [online]. [cited 2012.10.1]. .
  28. School Library Association of South Australia (ALASA). 2003. Teacher Librarian Role Statement. [online]. [cited 2012.10.21]. .

피인용 문헌

  1. A Study on Influence Factors of the Task Performance with Utilizing SNS by School Librarians vol.48, pp.4, 2014, https://doi.org/10.4275/KSLIS.2014.48.4.071
  2. 학교도서관 비정규직 사서의 고용실태와 처우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vol.26, pp.3, 2015, https://doi.org/10.14699/kbiblia.2015.26.3.101
  3. 학교도서관정책의 추이와 과제: 인력정책을 중심으로 vol.47, pp.3, 2012, https://doi.org/10.16981/kliss.47.201609.41
  4. 사서교사와 타 비교과 교사의 배치 비교를 통한 사서교사 배치 개선방안 연구 vol.52, pp.2, 2012, https://doi.org/10.4275/kslis.2018.52.2.027
  5. 개정 학교도서관진흥법 시행 이후 사서교사 배치 및 양성에 대한 연구 vol.50, pp.3, 2019, https://doi.org/10.16981/kliss.50.201909.2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