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aluating Effects of the Creation of Industrial Park on Employment and Regional Development

산업단지 조성이 고용에 미치는 영향

  • Lee, Jong-Ho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Kim, Jinsu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이종호 (경상대학교 지리교육과, EU연구소 교육.지역발전연구센터) ;
  • 김진수 (경상대학교 경영학과, 경영경제연구소)
  • Received : 2012.08.27
  • Accepted : 2012.10.10
  • Published : 2012.12.31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way in which to what extent the creation of industrial park effects on regional economy, particularly in terms of employment. We carry out empirical research with the case of industrial parks being under construction in Gimhae, Yangsan, Haman and Geochang in Gyeongnam. First of all we analyze the number of jobs and the existing location of firms, which are currently confirmed to move to industrial parks. Then we attempt to evaluate employment effects given to its focus on the relevancy of employment, the possibility of employment retention and the quality of job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It is estimated that the relevancy of employment is higher in Haman and Geochang than in Gimhae and Yangsan. On the contrary, when it comes to the possibility of employment retention, it seems to be that Gimhae and Yangsan are more favourable than Haman and Gimhae. Regarding the quality of jobs, jobs created in the period of constructing industrial park tend to be by and large temporary, but regular jobs tend to be more and more increased during the period that full-scale production activities are operated.

본 연구에서는 문헌자료 분석과 설문 및 심층 면담조사 등을 바탕으로 산업단지 조성사업이 고용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사례연구는 경남의 신규 조성 산업단지 가운데 김해, 양산 산막, 함안, 거창 산업단지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산업단지의 유치 업종과 입지적합성, 입주예정 기업의 소재지 및 종업원 수 등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산업단지 조성사업의 고용효과를 고용적합성, 고용유지성 그리고 일자리의 질 측면에서 평가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신규 고용창출 효과 측면에서 고용적합성은 함안과 거창이 양산과 김해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고용유지성은 김해와 양산이 거창과 함안에 비해 비교적 유리한 조건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일자리 질 측면에서는 산업단지 조성과정에서 창출되는 일자리는 일시적이지만, 단지 조성에 따라 제조업의 가동률이 높아질수록 안정적인 상용직 일자리의 창출 기회는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