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에서 일주기 리듬 특성에 따른 주간 졸음과 우울감의 차이

Morningness-Eveningness Affects the Depressive Mood and Day Time Sleepiness of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Patient

  • 김성호 (을지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 주은정 (을지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 이규영 (을지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 구영진 (을지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 김의중 (을지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Kim, Seong Ho (Department of Psychiatry, Eulji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Eulji General Hospital) ;
  • Joo, Eun-Jeong (Department of Psychiatry, Eulji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Eulji General Hospital) ;
  • Lee, Kyu Young (Department of Psychiatry, Eulji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Eulji General Hospital) ;
  • Koo, Young Jin (Department of Psychiatry, Eulji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Eulji General Hospital) ;
  • Kim, Eui-Joong (Department of Psychiatry, Eulji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Eulji General Hospital)
  • 투고 : 2012.10.25
  • 심사 : 2012.12.17
  • 발행 : 2012.12.31

초록

목 적: 저녁형일수록 우울해지기 쉽다는 경향성이 일반 인구집단이 아닌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들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나는지를 알아보고, 수면다원검사를 통해 획득한 데이터와 상황별 졸음 평가지 등을 통해 얻은 자료 중 저녁형일수록 증가되는 항목과 우울할수록 증가되는 항목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08년 1월 1일부터 2011년 2월 18일까지 을지병원 수면장애 클리닉에 내원한 환자들 중 수면다원검사를 통해 OSA로 진단받은 환자 211명을 대상으로 인구학적 자료와 신체 계측 자료를 얻었으며, 상황별 졸음 평가지(ESS). 아침형-저녁형 설문지(HOQ), 한국판 기분상태척도(K-POMS), 수면다원검사를 통해 얻은 자료를 분석하였다.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통해 아침형군과 저녁형군, 중간형군 별로 인구학적 자료 및 신체계측자료, 수면다원검사 자료에 대한 평균값 비교를 시행하였다. 이후 연령과 체중을 보정하여 인구학적 자료 및 신체계측자료, 수면다원검사 자료들간의 편상관분석을 시행하였다. 또한 연령과 체중을 보정한 공분산분석을 통해 아침형군과 저녁형군, 중간형군 별로 각각의 인구학적 자료 및 신체계측자료, 수면다원검사 자료에 대한 평균값 비교를 시행하였다. 결 과: 나이와 체중을 보정한 편상관분석에서 HOQ점수에 따라 저녁형일수록 K-POMS, POMS-T, POMS-D, POMS-A, POMS-F, POMS-C 점수가 상승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반대로 아침형일수록 POMS-V, AHI, respiratory arousal index, snore time(%)이 증가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또한 우울할수록 POMS 총점과 POMS-T, POMS-A, POMS-F, POMS-C, sleep latency, stage 2 sleep(%)가 증가되는 경향성이 나타나고, 우울할수록 HOQ점수가 낮아지므로 저녁형이며, 우울할수록 stage 1 sleep(%), AHI, TAI, respiratory arousal index, 목 둘레가 감소된다고 생각할 수 있다. 공분산 분석을 통해 나이와 체중을 보정한 뒤 아침형, 중간형, 저녁형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항목은 K-POMS, POMS-T, POMS-D, POMS-F, POMS-C, spontaneous arousal index이다. 결 론: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에서도 일반인구집단에서처럼 저녁형일수록 우울한 경향성이 나타난다. 이러한 경향성은 주간 졸음 등과는 무관하며, 무호흡의 심각도와도 관련성이 적은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그러므로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를 평가할 때 무호흡의 심각도를 평가하는 것과는 별도로 아침형-저녁형의 일주기리듬을 확인하고 저녁형인 경우 환자의 우울감에 대한 추가적인 접근을 하는 것이 의미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s: Recent studies have reported a correlation between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OSA) and depression. In attempt to verify the suggestion that eveningness is related to depression, we examined the effect of morningness-eveningness on their depressive mood in patinets with OSA. Methods: The examination was based on the medical records and polysomnography reports of 211 OSA patients. Information was gathered from the patients who filled out the H$\ddot{o}$rne and Ostberg questionnaire (HOQ), profile of mood states-Korean version (K-POMS), and Epworth sleepiness scale (ESS). We compared mean values of K-POMS total, subscales of K-POMS, ESS, and OSA severity variables among the 3 morningness-eveningness groups (morningness, eveningness, and neither groups). Partial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between variables and ANCOVA was performed among the 3 groups after adjustment with age and weight.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HOQ and the followings : K-POMS total, POMS-T (tension-anxiety), POMS-D (depression-dejection), POMS-A (anger-hostility), POMS-F (fatigue-inertia), POMS-C (confusion-bewilderment), spontaneous arousal index, average O2 saturation.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HOQ and the followings : POMS-V (vigor-activity), apnea-hypopnea index, respiratory arousal index, snore time. There wer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POMS-D and the followings : HOQ, POMS-V, stage 1 sleep (%), AHI, TAI (total arousal index), oxygen desaturation index, respiratory arousal index, neck circumference, average O2 desaturation, snore time (%).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POMS-D and K-POMS total, POMS-T, POMS-A, POMS-F, POMS-C, sleep latency, stage 2 sleep (%), heart rate, spontaneous arousal index.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K-POMS total, POMS-T, POMS-D, POMS-F, POMS-C, spontaneous arousal index among the three HOQ groups in ANCOVA. Conclusion: The depressive correlates of OSA patients might be affected, not by excessive daytime sleepiness or OSA severity indexes, but by eveningness circadian characteristics. It would be important to take into account the morningness-eveningness tendency when we manage the depressive mood of OSA patient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