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타이틀(제목)에서 나타난 언어 의미 분석

A Language Semantic Analysis Shown at the Title

  • 임운주 (홍익대학교 애니메이션학과)
  • 투고 : 2012.10.26
  • 심사 : 2012.11.22
  • 발행 : 2012.11.30

초록

이 연구는 타이틀에서 나타난 작품의 상징성을 언어적 의미를 통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타이틀은 작가의 생각을 드러내기도 하고 작품 주제를 대변하는 하기도 한다. 또한 작품 속에서 등장인물들에 의해 구성된 그 세계를 지칭하기도 하고 더 나아가서는 무한한 의미창출의 가능성을 제시함으로 작품 전체에 대한 총체적인 의미를 부여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점들을 언어적 맥락에서 분석하여 타이틀에 나타난 상징성들을 살펴본 결과, 아담의 언어로 명명된 타이틀은 시간과 공간을 초월해서 작품 속의 등장인물의 본질을 그대로 나타내는 경우에 많이 사용되었고, 시니피앙과 시니피에의 연상 작용을 통해 드러난 타이틀 기의는 작품 내에서 일어난 사건과 인물들의 관계적인 측면을 드러내었다. 이러한 관계적인 측면은 서로 대립으로 표현되지만 결국 그들의 관계는 하나의 또 다른 지향점을 나타내기도 한다. 언어의 자의성에 의한 타이틀의 경우는 작품이 제작된 나라의 문화적 배경 속에서 나타난 것으로 실질적인 작품과는 전혀 상관없는 관습의 결과이며 어떠한 사건에 의한 경험에 의존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언의의 의미작용은 고유한 규칙들과 체계 속에서 발생하는데 이것은 개념으로 사물을 보는 것과 관련지어진다. 즉 고유명사는 사라지고 관계적인 측면에서 다시 상징성이 부여되는 것이다. 작품과 타이틀의 유사성은 작품 전체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으며, 내러티브 속의 욕망을 간결하게 나타내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This study tried to analyze symbolism of the work from the title by looking into its linguistic meaning. The title not only exposes artist's thoughts but also speaks for the work subject. Also, it designates the world composed of characters in the work, and further it can be said as endowing overall meaning on the entire work by suggesting possibility of limitless meaning invention as well.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symbolism shown at the title after analyzing such points through linguistic contexts, the title named with Adam's language was used for just expressing the essence of characters in the work by transcending time and space, and the title meaning exposed relational aspects between characters and occurred accidents through the association process on 'signifiant' and 'signifie.' These relational aspects are expressed to mutual contraposition, but their relations finally show another one orientation too. In case of the title made by the arbitrary nature of language, a fact could be known that it was results of customs completely unrelated with the practical work and depended on the experience by any accident as being appeared from cultural background of the country where the work was produced. Also, the signification of language occurred in unique regulations and systems, and it was relevant to seeing things through concepts. The proper noun was disappeared, and the symbolism was given again from relational aspects accordingly. It was turn out that similarity between the work and title contained contents of entire work, and played a role of expressing greed in the narrative briefl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