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한국과 몽골의 역사문화유산을 활용한 학습방안 구축

Construction of Learning Contents Using Korea and Mongolia Historical Heritage

  • 오일환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칼리지)
  • 투고 : 2012.01.30
  • 심사 : 2012.03.20
  • 발행 : 2012.03.28

초록

우리나라에는 몽골의 영향을 받은 역사문화유산과 생활민속이 다양하게 남아있다. 그러나 한 몽 간의 국제문화 이해를 위하여 역사적 시각자료를 활용한 학습방안 및 콘텐츠 구축에 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한 과제이지만 오늘날 한 몽 관계의 한계와 현실 속에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인식에서 우리나라와 몽골의 역사문화 유적을 활용한 문화사적 융복합의 학습방안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한 몽 간의 역사문화를 이해하기 위하여 7차 교육과정과 2009 개정 교육 과정의 국내 중학교와 고등학교의 역사와 사회 교과서에 나타난 몽골인식과 박물관을 비롯한 문화기관의 전시현황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국내의 몽골 역사문화유산과 생활민속 자료를 활용한 문화사적 학습방안 및 몽골지역의 문화유산과 자연환경을 활용한 몽골이해 학습방안을 구축하였다. 연구결과로 한 몽 간의 역사적 인식과 문화적 교류를 증진하기 위해 국내에 남아있는 몽골 영향의 역사문화유산에 대하여도 세계사적 시각에서 학습 자료화하여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한 몽 간의 역사문화 유산을 통한 문화사적 융복합의 학습방안은 교과 교육과정의 학생이나 일반인을 대상으로 국제문화의 특징을 이해하는 시각적 학습 뿐 아니라 양국을 이해하는 인문학적 연구의 기초로 활용할 수 있다.

In Korea, the traces of Mongolian history and culture are often found in Korean life and customs. Under these perceptions, this study has attempted to develop the learning contents using the Mongolian historical and cultural heritages in Korea. For this, the perspective on Mongolia in Korean History and Social Studies textbooks and the exhibition of Mongolian cultural materials in a museum have been analyzed. In addition, this study has researched a plan to develop learning contents for exhibition and education using the Mongolian historical & cultural heritage and folklore materials in Korea and people's perspective on Mongolia in the ancient western maps as a way of understanding the historical and cultural heritage between Korea and Mongolia. In addition, a way of taking advantage of the Mongolian historical and cultural heritage in Korea from the view of world history has been proposed to share historical views and promote cultural exchanges between the two countries. Furthermore, the development of learning contents of the museum using the historical and cultural heritage between Korea and Mongolia could be grounds for humanistic studies from the view of understanding multiculture and characteristics of international culture.

키워드

참고문헌

  1. 외교통상부 재외동포현황 재외동포(지역별 상세, 몽골) http://www.mofat.go.kr/travel/overseascitizen (2012.1.20)
  2. 권충훈, 김훈희,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경험 선정아이디어",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8 권, 제8호, pp.293-302, 2008.
  3. 아리온사나, 재한몽골인 아동과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4. 김윤선, 몽골음악을 중심으로 한 다문화교육 :초등학교 저학년 대상으로,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5. 박환영, "다문화 속의 에스니시티와 유목성 고찰: 재한 몽골인을 중심으로", 비교문화연구, 제15권, 제1호, 서울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pp.97-128, 2009.
  6. 김인회, 박물관을 이용한 다문화이해 교육프로그램, 한국박물관교육학회 박물관교육총서3, 2009.
  7. 국사편찬위원회, 중학교 국사 교사용 지도서, 교육인적지원부, pp.266-270, 2005.
  8. 조회룡, 중학교 사회1 교사용 지도서, (주)금성출판사, pp.326-328, 2009.
  9. 수랭오트공바야르, 다문화가정 교육 실태와 개선 방안 연구 :한.몽골인의 인식도 차이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51-61, 2008.
  10. 국사편찬위원회 국정도서편찬위원회, 고등학교 국사 교사용 지도서, 교육인적지원부, pp.216-219, 2009.
  11. 교육과학기술부,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 교육과정 적용을 위한 중학교 역사교과서 집필기준, 2011.11.9.
  12. (사)한국검정교과서 http://www.ktbook.com
  13. 교육과학기술부,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 교육과정 적용을 위한 고등학교 역사교과서 집필기준, 2011 .12.30.
  14. 법률 제10367호 '박물관 및 미술관진흥법'제2조 (정의)
  15. http://www.naver.com, http://www.daum.net
  16. 경희대학교 혜정박물관 http://oldmaps.khu.ac.kr
  17. 국립중앙박물관, 2009국립중앙박물관 교육프로 그램 자료집, pp.99-108, 2010.
  18. 국립민속박물관, 박물관교육의 이해, 2007교육백서, pp.131-141, 2007.
  19. 심효윤,"도시의 다문화축제 연구: 재한몽골인 나담(naadam)축제를 통해서", 인문사회연구, 제6호, pp.259-277, 2010.
  20. 김태연, 박옥미, "한국박물관에서의 타문화 전시현황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6, No.3,pp.108-119, 2010.
  21. 손기인, 타문화 전시 연계 다문화 역량 강화 교육프로그램 방안 : 국립중앙박물관.국립민속박물관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22. 오일환, "한․중 경계지역 문화유산을 이용한 박물관 전시 구축의 교육적 활용",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1호, pp.184-192, 2011.
  23. 오일환, "박물관의 서양고지도를 이용한 전시학습콘텐츠 개발과 활용에 관한 연구-전시콘텐츠의 탐구와 체험학습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6, No.3, pp.310-320, 2010.
  24. 國立故宮博物院,"經緯天下:飯塚-敎授捐贈古地圖展", pp.19-22, 民國94.
  25. 유네스코와 유산, 세계유산 목록(몽골) http://www.unesco.or.kr/heritage/mow/list(2012.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