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행동과 음악연구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 제9권2호
- /
- Pages.19-34
- /
- 2012
- /
- 2288-2774(pISSN)
- /
- 2799-9076(eISSN)
DOI QR Code
비국악인의 판소리 감상과정에서의 경험적 요소
Experience of non-Korean Traditional Musicians in the Process of Pansori Music Listening
- 이수연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치료학과)
- Yi, Soo Yon (Dept. of Music Therapy, Graduate School of Ewha Womans University)
- 투고 : 2012.10.30
- 심사 : 2012.11.17
- 발행 : 2012.11.30
초록
본 연구는 판소리의 치료적 요소에 대해 연구하기 위해 비국악인이 판소리를 감상하는 과정에서 경험하게 되는 요소들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5명의 국악을 전공하지 않은 연구 참여자가 판소리를 듣는 동안에 경험하는 것을 심층 면접을 통해 자료로 수집하였고 이를 변형된(modified) 근거 이론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판소리를 감상하는 과정에서 판소리 창자의 창법과 목소리의 음색, 판소리 사설, 고수의 북소리, 고수의 역할 요소는 감상자로 하여금 다양한 차원의 정서, 신체 반응을 경험하고 자신이 경험한 정서와 연관된 사고를 유발하였다. 이는 개인의 내적 문제와 연관되어 자신이 평소에 알지 못했던 내면의 문제를 인식하게 하고, 내 안의 감정과 만나도록 중재되었다. 그리고 감상자가 경험한 개인의 정서와 인식은 또 다른 차원 반응을 유발하여 감상자는 판소리의 요소들을 통해 자신의 부정적 감정을 해결하는 근원을 찾고 내 안의 감정을 정리하는 과정을 경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mpirical elements of non-Korean traditional musicians in the process of Pansori music listening. 5 non-Korean traditional musicians who are not professionally trained Korean music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in depth interviews and analyzed from modified ground theory method.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elements of performer's voice, Chang-bub, contents, Gosu's buk sound and Gosu's role evoked various physical, emotional reponses and thoughts in all listeners. Through these responses the listeners awared internal issues related to inner problems and positive intervention aroused inner feelings. Also, emotional responses and awareness were reorganized their negative emotion and resolved through the different dimension of Pansori music.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