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Area of Reinforcement in the Cross Tunnel by Laboratory Model Test

실내모형실험을 통한 교차터널의 보강영역에 관한 연구

  • 정혁상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 홍종욱 (한양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 백승인 (한양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 천병식 (한양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Received : 2011.11.14
  • Accepted : 2012.06.18
  • Published : 2012.07.15

Abstract

With the increase in infrastructure needs and tunnel construction, more complicated geometries have come to light, especially in cross tunnel design and construction. The major factors to influence existing tunnels are spacing between tunnels, relative position, size of the new tunnel, construction techniques, topographic and geologic conditions, structure, and alternative construction. In this study, settlement from an excavation for a new tunnel near an existing tunnel, settlement from a change in position of the new tunnel relative to an existing tunnel, and the distribution of deformations of the existing tunnel as a result of excavating the cross-location are analyzed through laboratory model tests. As the results, in condition of the new tunnels go through below the existing tunnel, not only analysed through the standard of the diameter of the tunnel, so it would need to set up to strengthen the field within each side of the 1D, but also determined the part of the cross in the existing and the new tunnel, should implement the reinforcement from the part of new tunnel to the existing tunneling influence of excavation.

최근 도심지에서 터널이 인접하여 시공하는 사례가 흔해지면서 특수하게 신설터널과 기존터널이 교차되는 터널들에 관한 설계 및 시공에 관한 연구들이 속속들이 발표되고 있다. 터널이 상호 교차되어 시공될 경우 기존터널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인자로는 터널 간 이격거리, 상대적인 위치 관계, 신설터널의 크기, 신설터널의 시공방법 지형 및 지질조건, 기존터널 라이닝 구조와 건전도 등이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내모형 실험을 통하여 신설터널 굴착에 따른 기존터널의 종방향 침하 경향 분석 및 신설터널의 상 하 위치변동에 따른 기존터널의 종방향 침하 경향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교차부에서 신설터널 굴착에 따른 기존터널의 변위 분포에 관한 경향 분석 및 기존터널의 변형률 분포 경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신설터널이 기존터널 하부를 통과하는 경우 터널직경의 기준으로 좌우측 각각 1D 이내의 보강영역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고, 신설터널과 기존터널의 교차부에서는 신설터널의 굴착 영향이 기존터널에 먼저 미치는 영역부터 보강을 실시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상환(2003) 근접터널의 설계개념 및 해석기법에 대한 연구, 터널기술, 한국터널공학회, 제5권 제1호, pp. 33-42.
  2. 김상환, 이형주(2003) 상하교차터널의 상호거동에 대한 연구, 한국지반공학회 논문집, 한국지반공학회, 제19권 제5호, pp. 273-280
  3. 김우성, 유동욱, 이상은(2008) 교차터널에서의 지반거동 및 안전영역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암반공학회지, 한국암반공학회, 제18권 제6호, pp. 491-502.
  4. 오하진(2001) 대단면 교차터널 시공과 계측, 한국터널공학회 학술발표회논문집, 한국터널공학회, pp. 243-259.
  5. 유영현, 김창용, 이대영, 신휴성, 배규진, 최수일, 이찬우, 김양균 (1997) 국내 터널건설의 현황조사 및 교차터널의 설계법 개발연구 최종보고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p. 20-25.
  6.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2001) 도시철도인접굴착공사 관리실무.
  7. Addenbrooke, T. I. and Potts, D. M. (2001) Twin tunnel interaction Surface and subsurface effects,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Geomechanics, Vol. 1, No. 2, pp. 249-271. https://doi.org/10.1061/(ASCE)1532-3641(2001)1:2(249)
  8. Chen, S. L., Lee, S. C., and Gui, M. W. (2009) Effects of rock pillar width on the excavation behavior of parallel tunnels,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Technology, Vol. 24, pp. 148-154. https://doi.org/10.1016/j.tust.2008.05.006
  9. Eberhardt, E. (2001) Numerical modelling of three-dimension stress rotation ahead of an advancing tunnel face, International Journal of Rock Mechanics & Mining Sciences, Vol. 38, pp. 499-518. https://doi.org/10.1016/S1365-1609(01)00017-X
  10. Hoek, E. and Brown, E. T. (1980) Underground Excavation in Rock, Institution of Mining and Metallurgy, pp .87-102.
  11. Kim, S. H. and Lee, H. J. (2003) A Study of interactions between perpendicularly spaced tunnels, Journal of Korea Geotechnical Society, Vol. 19, No. 5. pp. 273-280.
  12. Kirsch, G. (1898) Die Theorie der Elastizitat und die Bedurfnisse der Festigkeitslehre, Zeit Verein Deutsch Ing 42 (1898), pp. 797-807.
  13. Sinha, R. S. (1989) Underground Structures Design and Instrumentation, Developement Instrumentation, 59A, Elselver. pp. 106-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