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hroscopic Release of the Extensor Carpi Radialis Brevis Tendon for Chronic Recalcitrant Lateral Epicondylitis

만성 불응성 외 상과염에서 시행한 관절경적 단 요 수근 신건 유리술

  • Ku, Jung Hoei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Good Samsun Hospital) ;
  • Hwang, Tae Hyok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Good Samsun Hospital) ;
  • Lee, Jung Su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Good Samsun Hospital) ;
  • Cho, Hyung Lae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Good Samsun Hospital) ;
  • Kim, Jung Woo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Good Samsun Hospital)
  • 구정회 (좋은삼선병원 정형외과) ;
  • 황태혁 (좋은삼선병원 정형외과) ;
  • 이정수 (좋은삼선병원 정형외과) ;
  • 조형래 (좋은삼선병원 정형외과) ;
  • 김정우 (좋은삼선병원 정형외과)
  • Received : 2012.06.29
  • Accepted : 2012.08.10
  • Published : 2012.08.31

Abstract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clinical outcome of arthroscopic release of the extensor carpi radialis brevis (ECRB) tendon in chronic recalcitrant lateral epicondylitis and tried to determine any prognostic factors. Materials and Methods: A retrospective review of 24 patients with lateral epicondylitis treated by arthroscopic ECRB release was performed. Outcome measures included a patient self rating and visual analog scale (VAS). Functional evaluation was made with Quick-disabilities of the arm, shoulder and hand (DASH) score system to identify preoperative factors that might be associated with the outcomes. Results: Twenty one (88%) elbows received benefit from the procedure. A mean preoperative VAS pain score and the mean Quick-DASH were significantly improved at final follow up. Age, sex, dominant arm and duration of symptom, presence of capsular tear or calcification did not correlate significantly with the clinical outcome. Three of four patients without T2-weighted high signal focus of the ECRB origin on preoper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showed higher Quick-DASH score. Conclusion: Arthroscopic release of the ECRB is an effective option for chronic recalcitrant lateral epicondylitis. Lack of high signal focus on preoperative MRI i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 poor surgical outcome and a considerable factor for the proper surgical indication.

목적: 보존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만성 불응성 주관절 외 상과염에 대한 관절경적 단 요 수근 신건 유리술의 임상적 결과를 알아보고 예후에 영향을 주는 인자를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주관절 외 상과염으로 관절경적 단 요 수근 신건 유리술을 시행 받은 환자 24명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술 후 환자 자신의 평가, visual analog scale (VAS) 점수, Quick-disabilities of the arm, shoulder and hand (DASH) 점수와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술 전 인자를 평가하였다. 결과: 21예(88%)에서 술 후 결과에 만족 하였고 평균 VAS 점수와 Quick-DASH 점수는 최종 추시 상 의미 있는 호전을 보였다. 나이, 성별, 우세수 여부, 증상 이환 기간, 관절낭 파열이나 석회 침착유무는 임상적 결과와 상당한 인과 관계가 없었다. 술 전 자기 공명 영상 T2강조 영상 상 단 요 수근 신건 기시부에 고강도 신호부가 없는 4예 중 3예에서 보다 높은 Quick-DASH 점수를 보였다. 결론: 보존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만성 불응성 주관절 외 상과염에 대한 관절경적 단 요 수근 신건 유리술은 유용한 치료법 중 하나이며 술 전 자기공명영상 T2강조 영상에서 고강도 신호부가 없는 경우는 술 후 불량한 결과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수술 적응 시 고려해야 할 요소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