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대학생들 간의 인식 및 태도 비교 -간호대학생과 비 간호계열대학생을 대상으로-

Recognition and Attitudes on Complementary & Alternative Medicine in College Students -Focused on Comparison between Nursing and Non-Nursing Department College Students-

  • 투고 : 2012.11.10
  • 심사 : 2012.12.20
  • 발행 : 2012.12.30

초록

The purpose of this descriptive research is to identify the recognition and attitude of college students towards Complementary & Alternative Medicine (CAM).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620 students of a junior college in the D metropolitan city. The data was collected from July 2 to July 31, 2012 and SPSS/WIN 18.0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From the comparison of CAM recognition between the two group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for each item of CAM recognition. For the attitude on CAM,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There needs to be more follow-up studies based on the current study in order to establish the basic data that can help find specific educational methods for the areas of CAM that lack recognition from the students.

키워드

참고문헌

  1. 최지순(2010),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간호대학생의 태도조사연구, 한양대학교 임상간호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18-28, 31-51.
  2. Warrick P.D., Irish, J.C., Morningstar,M., Gilbert, R., Brown, D., Gullane, P(1999), Use of alternative medicine among patients with head and neck cancer. Arch Otolaryngol Head Neck Surg, Vol.125(5);573-579. https://doi.org/10.1001/archotol.125.5.573
  3. Gorden, J. S.(1996), Alternative medicine and the family physician. Am Fam Physician, Vol.57(7);2205-2212.
  4. 박형숙, 이윤미(2000), 암환자의 대체요법 이용에 관한 연구. 재활간호학회지, Vol.3(2);212-227.
  5. Ernst E.(2003), The current position of complementary/alternative medicine in cancer. Eur J Cancer, Vol.39(16);2273-2277. https://doi.org/10.1016/S0959-8049(03)00604-X
  6. Spiegel W., Zidex T., Vutuc C., Maier M., Isak K., and Micksche M.(2003), Complementary therapies in cancer patients: prevalence and patients'motives. Wien Klin Wochenschr, Vol.115(19-20);705-709. https://doi.org/10.1007/BF03040886
  7. Tasaki K., Maskarinec G., Shumay D. M., Tatsummura Y., and Kakai H.(2002), Communication between physicians and cancer patients about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exploring patients's perspectives Psychooncology, Vol.11(3);212-220. https://doi.org/10.1002/pon.552
  8. 이여진, 박형숙(1999), 만성질환자의 대체요법 이용실태 조사연구. 기본간호학회지, Vol.6(1);96-113.
  9. 이상철(2008), 보완대체의학의 현황과 발전방향. Medical Postgraduates, Vol.36(2);134-138.
  10. 이미영(2005), 간호사의 대체.보완요법 인식에 관한 조사 연구, 대전대학교 보건 스포츠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3-25, 43-47.
  11. 양난영, 신경림(2003), 국내 보완․대체 치료 간 호학 논문의 연구동향 분석, 성인간호학회지, Vol,15(2);226-235.
  12. 손행미(2002), 간호사의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태도. 성인간호학회지, Vol.14(1);62-72.
  13. 윤형국, 김진하, 오상우, 윤영호, 유태우(1999), 서울지역 개원의의 대체의학에 대한 인식 및 형태, 가정의학학회지,Vol,20(1):71-78.
  14. 이명숙(2001), 당뇨병 환자의 대체요법 경험실태에 대한 조사연구, 대한간호학회지,Vol,31(1);7-19.
  15. 황성완(2011), 광고 심의 결과로 본 건강기능식품 광고 특성, 보건의료산업학회지, Vol.5(2);15-22.
  16. 김성영, 박재용(2012), 근골격계 환자의 양, 한방 외래 의료이용과 관련요인, 보건의료산업학회지, Vol.6(1);27-38.
  17. 최혜란(2002),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간호사의 인식, 한양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24-28, 31-51.
  18. 손행미(2002), 간호사의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태도. 성인간호학회지, Vol.14(1);62-72.
  19. 이정란(2004), 암 병동간호사의 보완대체요법에 관한 인식 조사연구,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pp.15-25.
  20. 허광옥 (2005), 암 병동간호사의 보완대체요법 인식과 경험에 관한 조사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14-43.
  21. 이연희(2003), 한방병원 간호사의 보완.대체요법 인식에 관한 조사연구, 대전대학교 보건스포츠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20-61.
  22. 김혜령, 손은주, 김미경, 류은순(2011), 보완대체 요법에 대한 당뇨병환자의 인식 및 이용 현황,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Vol,16(4);488-496.
  23. 김영희(2004), 간호대학생이 지각하는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태도 조사연구, 한국보건간호학회지, Vol.18(2);276-285.
  24. 김소야자, 장순복, 남경아(2006), 보건진료원의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지식정도, 사용경험, 태도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간호학회지, Vol,17(4);563-572.
  25. 강영호, 이무송, 구희조, 강위창, 임병묵, 이상일 (1999), 우리나라 개원의사와 한의사의 보완요법 사용, 지식, 태도와 건강관, 가정의학회지, Vol,20(9);1106-1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