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atistical analysis of actual living condition of the elderly and welfare need survey data

2008년도 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자료의 통계분석

  • Hong, C.S. (Department of Statistics, Sungkyunkwan University) ;
  • Jeong, C.H. (Department of Social Welfares, Sungkyunkwan University) ;
  • Cho, M.H. (Research Institute of Applied Statistics, Sungkyunkwan University) ;
  • Kim, H.J. (Research Institute of Applied Statistics, Sungkyunkwan University)
  • 홍종선 (성균관대학교 통계학과) ;
  • 정충현 (성균관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조민호 (성균관대학교 응용통계연구소) ;
  • 김혜정 (성균관대학교 응용통계연구소)
  • Received : 2011.10.25
  • Accepted : 2011.12.08
  • Published : 2012.01.31

Abstract

We need to recognize the overall changes in Korean society with understanding the situation of the characteristic and actual living condition of the elderly, so to prepare efficient and active policies at the moment from aging society to aged society. Based on the 2008 national survey data of the actual living condition of the elderly and welfare need, the living condition of the elderly for household and individual information is identified and the effects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se variables are statistically analyzed. Therefore, this paper might help to establish the aged social policies with realistic validity and suitability and extend the academical understanding of Korean society.

고령화 사회에서 고령사회로 급격하게 변화하는 시점에서 노인의 특성과 생활실태를 정확히 파악하여 사회전반에서 발생하는 변화의 양상을 인식하고, 이에 대하여 효과적이고도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08년도에 전국적으로 조사된 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자료를 바탕으로 가구와 개인정보에 대한 노인생활실태를 파악하고 이러한 변수가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통계자료분석을 실시하여, 현실적 타당성과 적합성을 지닌 고령사회의 사회정책수립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현미 (2006). 중소기업 경기예측을 위한 통계분석.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추계학술발표회논문집>, 153-153.
  2. 김효심 (1994). <경영상태, 사회적 활동정도, 사회적 지원에 따른 노인의 생활만족도>, 박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광주.
  3. 보건복지부 (2004). <2004년도 노인복지시설 현황>, 보건복지부, 서울.
  4. 보건복지가족부 (2009). <2008년도 노인실태조사: 전국 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대구.
  5. 석재은, 김태완 (2000). <노인 소득실태분석 및 소득보장체계 개선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서울.
  6. 유영재, 최재호, 류재열, 홍성욱 (2005). 통계 조사 및 분석방법에 관련된 특허정보 탐색.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추계학술발표회논문집>, 209-209.
  7. 이혜정, 조수현, 김재희 (2009). 한우 수소 고기 관능평가 데이터에 대한 범주형 자료 분석.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0, 819-827.
  8. 정경희, 오영희, 이윤경 (2003). <지역별 노인 복지 현황과 정책 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서울.
  9. 조광현, 박희창 (2006). 유비쿼터스에 대한 경남도민 인식 조사 및 결과 분석.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와 한국자료분석학회 공동 학술논문발표회논문집>, 87-98.
  10. 최종후, 소선하, 이동희 (2006). 국민생활시간조사를 이용한 가족구성원들의 여가시간 활용 분석.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와 한국자료분석학회 공동 학술논문발표회논문집>, 189-189.
  11. 통계청 (2010). <2010 고령자 통계>, 통계청, 대전.
  12. 한석태 (2008). 노인 삶의 질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개관적 변수와 주관적 변수의 비교. <한국행정학보>, 42, 441-461.
  13. 홍종선, 김명진 (2010). 자전거 교통사고의 통계분석 및 활용.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1, 1081-1090.

Cited by

  1. A study of the factors influential on a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using complex sample design vol.25, pp.4, 2014, https://doi.org/10.7465/jkdi.2014.25.4.829
  2. Influencing factors on health education performance of nurse in health promoting hospitals vol.26, pp.2, 2015, https://doi.org/10.7465/jkdi.2015.26.2.455
  3. Statistical analysis of life pattern and functional cosmetics awareness vol.25, pp.6, 2014, https://doi.org/10.7465/jkdi.2014.25.6.1273
  4. The study on the relevance of life management and sub-health vol.27, pp.4, 2016, https://doi.org/10.7465/jkdi.2016.27.4.925
  5. The influence of expectations regarding aging on health-promoting behaviors vol.25, pp.1, 2014, https://doi.org/10.7465/jkdi.2014.25.1.77
  6. 노인의 삶의 질과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vol.23, pp.3, 2012, https://doi.org/10.7465/jkdi.2012.23.3.5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