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노인의 생활전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11.12.14
  • Accepted : 2012.01.15
  • Published : 2012.01.31

Abstract

Since Korea is moving towards the aged society, increasing is the social attention on overall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factors affecting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amo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aged people, categorized satisfactions and sources of income, based on the 2008 national survey data of the actual living condition of the elderly and welfare need. We found that many factors have significant impact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such a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level of physical and mental health, the economic level.

우리나라는 이미 고령화사회를 넘어 고령사회로 향하고 있어 노인의 생활전반만족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지속적으로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보건복지가족부에서 실시한 "2008년도 노인 생활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노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삶의 영역별 만족도, 소득원 등이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결과 노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신체 및 정신건강 수준, 경제활동 및 경제수준, 여가활용, 사회적 관계 등의 요인이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선경, 박희경 (2008). 친구망과 심리적 지지가 노인들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18, 117-139.
  2. 강희숙, 이진헌 (2007). 농촌노인의 건강과 생활만족도와의 관계. <보건과 사회과학>, 21, 51-64.
  3. 권철, 남철현, 황해석, 정한태, 하순회, 민경진, 김순 (2006).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한보건연구>, 32, 66-74.
  4. 김미령 (2008). 여성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성공적 노화의 구성요소, <한국노년학>, 28, 33-48.
  5. 김영화, 공정원, 박태정, 장경은 (2005). <사회정의 실현을 위한 사회복지정책론>, 삼우사, 서울.
  6. 림금란, 김희경, 안정선 (2011). 여성독거노인의 우울과 삶의 질과의 관계: 사회적 지지, 사회적 활동의 조절효과 및 매개효과. <한국노년학>, 31, 33-47.
  7. 박군석, 한덕웅, 이주일 (2004). 한국 노인의 신체건강과 주관안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한국심리학회지>, 9, 441-470.
  8. 박일수, 한준태, 강석복, 지재훈 (2010). 데이터마이닝을 이용한 위암 예측모형 개발과 활용.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1, 1253-1261
  9. 배나래, 박충선(2009). 노년기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적 요인에 관한연구. <한국노년학>, 29, 761-779.
  10. 보건복지가족부 (2009). <2008년도 노인실태조사-전국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보건복지가족부, 서울.
  11. 석재은, 김태완 (2000). <노인의 소득실태 분석 및 소득보장체계 개선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서울.
  12. 신현구 (2007). 노동시장 은퇴자의 은퇴만족도 및 삶의만족도. <노동리뷰>, 27, 81-93.
  13. 유정이 (2006). 노인의 연령에 따른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일, 건강, 배우자 요인을 중심으로-. <복지행정연구>, 22, 241-254.
  14. 이정의 (2010). 한국노인의 교육수준별 생활만족 결정요인: 사회적 관계 및 참여, 건강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30, 709-726.
  15. 이주영, 문재우 (2011). 노인의 정신건강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보건연구>, 37, 45-57.
  16. 조장식 (2011). 학생정보를 이용한 대졸 취업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2, 849-856.
  17. 최성재 (1986). 노인의 생활만족도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논총>, 42, 233-256.
  18. 최현석, 이영선, 하정철 (2011).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취업스트레스가 취업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2, 313-322.
  19. 최현석, 하정철 (2011). 대학생의 인터넷중독 유발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2, 437-448.
  20. Havighurst, R. J. (1968). Middle age and aging,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Chicago.
  21. Rice, R. W. and Miller, M. D. (1990). Developing a model for the study of quality of life in elderly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 Use of hypertension as an example. Southern Medical Journal, 83, 941-946. https://doi.org/10.1097/00007611-199008000-00020

Cited by

  1. The influence of parents conflict on youth's anxiety and school adaptation vol.25, pp.6, 2014, https://doi.org/10.7465/jkdi.2014.25.6.1407
  2. Home hospice palliative care service in Korea: Based on focus group interview vol.25, pp.1, 2014, https://doi.org/10.7465/jkdi.2014.25.1.37
  3. A study of the factors influential on a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using complex sample design vol.25, pp.4, 2014, https://doi.org/10.7465/jkdi.2014.25.4.829
  4. The study on the relevance of life management and sub-health vol.27, pp.4, 2016, https://doi.org/10.7465/jkdi.2016.27.4.925
  5. The influence of parents' child abuse, school violence and friends attachment on mental health in childhood vol.25, pp.2, 2014, https://doi.org/10.7465/jkdi.2014.25.2.293
  6. Community Services Supporting Family Caregivers for the Elderly: Lessons from the Comparison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vol.51, pp.3, 2013, https://doi.org/10.6115/fer.2013.51.3.275
  7. 노인의 삶의 질과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vol.23, pp.3, 2012, https://doi.org/10.7465/jkdi.2012.23.3.559
  8. The Roles of Acceptance and Cognitive Reappraisa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Subjective Well-Being and Depression in Older Adults vol.22, pp.1, 2017, https://doi.org/10.17315/kjhp.2017.22.1.006
  9. 도서관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의 측정에 관한 연구 vol.50, pp.4, 2012, https://doi.org/10.16981/kliss.50.4.201912.101
  10. 노인 삶의 질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vol.20, pp.12, 2012, https://doi.org/10.5762/kais.2019.20.12.314
  11. A Study on Measu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brary and Quality of Life of Local Residents vol.70, pp.2, 2012, https://doi.org/10.1515/libri-2019-0123
  12. A Study on Measu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brary and Quality of Life of Local Residents vol.70, pp.2, 2012, https://doi.org/10.1515/libri-2019-0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