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실금 예방 치료기 제품 개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n urinary incontinence-preventive equipment

  • 박노국 (상지대학교 경영정보학과)
  • Park, Roh Gook (Dept.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in Sangji University)
  • 투고 : 2012.11.16
  • 심사 : 2012.12.05
  • 발행 : 2012.12.30

초록

기업들이 제품을 개발하는데 가치공학을 적용하여 실시할 때 느끼는 공통적인 어려움은 기능을 어떻게 정확하게 정의하느냐가 관건인 것으로 나타났다. 기능이라는 추상적인 개념을 어떻게 수치화하느냐에 따라 가치공학의 효과가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 가치공학의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가치의 향상이 요구되어지는데 가치공학을 실시하고 있는 대부분의 기업들은 원가절감에 목적을 두고 이 방법을 추진하고 있다. 제품 개발의 연구결과 기능은 충족하면서 본체, 노트북, 부루투스 프로브가 제품에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원가절감을 위해서는 안정된 품질이 요구되는 것과 맞추어 구매에서의 원가 절감노력이 필요하다고 사료되며 구매업체의 다변화를 통한 가격다운 절감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 연구되었다.

The problem of common difficulties for the implemented business that imposing the Value Engineering(VE) is crucial. Because of the difference in effect of VE by how an abstract concept as function digitize. Furthermore, to improve achievement of VE,, the advancement of VE is demanded. The most of business conducting the VE is pushing this method with the purpose of cost reduction. As explaining this product, the cost occupies the desktop of F1 and the component of product 54% with the result of analyzing the coefficient of functional requirement. Then the functional cost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fact that the desktop, the bluetooth, the probe occupy the most of products with satisfying the function is able to confirm. An effort for cost reduction in purchasing through adjusting a stable quality demanded for the cost reduction is needed. Also, another effort of proper price reduction by diversification of buyer business is needed also.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