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U-City 시스템 도입에 따른 탄소배출량 저감 효과 분석

The Effect of Reducing Carbon Emissions, According to the Introduction of U-City System

  • 투고 : 2011.09.09
  • 심사 : 2012.02.11
  • 발행 : 2012.02.29

초록

기후변화의 원인 중 탄소배출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탄소배출 감소의 필요성이 전 세계적으로 제기되고 탄소배출을 감소하기 위한 국제적 움직임이 가속화되고 있다. 선진국들은 녹색산업을 신성장동력 산업으로 활용하는 전략을 추진 중이며 탄소저감형도시(low carbon city)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진행되고 있는 U-City 사업에 대하여 U-City 도입 이전 도시와 U-City 도입 도시의 탄소배출량 변화를 분석하여 이산화탄소 저감효과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U-City 도입 이전과 도입 이후의 이산화탄소 발생량을 비교, 분석하여 U-City 도입에 따른 탄소저감 효과를 정량화하고자 하였다. U-City 도입이전의 도시는 1기 신도시 중에 성남시 분당구와 고양시 일산구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U-City 도입이후의 도시로는 화성동탄 U-City를 선정하여 비교한 결과 탄소배출량이 30%정도 줄어든 것으로 결과가 도출되었다.

Since $CO_2$ emissions are recognized as the biggest contribution to climate change, the needs and international efforts for $CO_2$ emissions reduction are increasing. The developed countries are driving strategies to boost green industry as a new growth engine. Following this global trend, based on the ongoing U-City project as a new city model, it is required to analyze the changes of $CO_2$ emissions in U-City to identify its potential for reducing carbon dioxide emissions. This study aims at identifying the potential and effects on $CO_2$ reduction by analyzing the level of $CO_2$ emissions before and after introducing U-City. Bundang-Gu, Seongnam-City & Ilsan-Gu, Goyang-City among Phase I new tow ns were selected as model cities before introducing U-City and Dongtan-Dong, Hwaseong-City as a model city after introducing U-City. The result showed 30% reduction of $CO_2$ emissions in the comparison of tw o models.

키워드

참고문헌

  1. 경기개발연구원, 2008, 경기도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시스템 개발, 경기개발연구원.
  2. 경기개발연구원, 2008, 기후변화에 대한 지방자치단체의 적응방안 연구, 경기개발연구원.
  3. 경기개발연구원, 2008, 탄소중립도시 구현을 위한 계획적 접근방안, 경기개발연구원.
  4. 경기개발연구원, 2009, 도시수목의 이산화탄소 흡수량 산정 및 흡수효과 증진 방안, 경기개발연구원.
  5. 경기도, 2009, 경기통계연보. 경기도.
  6. 고양시, 2008, 고양통계연보. 고양시.
  7. 국토연구원, 2008, 기후변화에 대응한 지속가능한 국토관리 전략(1), 국토연구원.
  8. 국토연구원, 2009, 영국 저탄소형 에코타운 조성 사례와 국내 적용가능성 연구, 국토연구원.
  9. 국토연구원, 저탄소 녹색도시의 녹색성장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오스틴을 중심으로, 2009.
  10. 김복환, 구지희, 곽인영, 2009, "지속가능한 U-City 운영을 위한 선순환 U-City모델의 개발 방향 연구,"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제11권, 제1호, pp. 145-156.
  11. 김태민, 송철철, 이우균, 손요환, 배상원, 김춘식, GIS 및 RS를 이용한 소나무림 식생탄소저장능력의 공간분포 특성규명, 한국GIS학회 2007 추계학술대회, 2007.
  12. 김홍배, 김재구, 2010, "도시내 탄소발생량 산정과 저탄소도시 개발의 핵심부문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제45권 제1호, pp. 36-45.
  13. 백천현, 유종훈, 김호균, 2009, "국가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기본절차(IPCC 지침)에 대한 조사 연구", 대한산업공학학회지, vol. 22, no.4, 2009, pp. 317-328.
  14.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9, 서울시 기후변화대응 성과분석 및 비전수립, 서울시정개발연구원.
  15. 성남시, 2008, 성남통계연보. 성남시.
  16. 송병훈, 정지은, 신준호, 2009, "IT장비를 위한 스마트 탄소 미터링 기술", 한국통신학회지, 제26권 제9호, pp. 42-48.
  17. 안재호, 2011, "IPCC방법을 이용한 시화.반월 산업단지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연구", Journal of the KIEAE vol. 11, no. 2, pp. 67-74
  18. 에너지경제연구원, 2001, 국내 GHG 감축을 위한 정책포트폴리오에 대한 연구, 에너지경제연구원.
  19. 에너지경제연구원, 2002, 에너지.환경.경제 통합 계량경제 시뮬레이션 모형에 의한 온실가스 저감 수단의 평가, 에너지경제연구원.
  20. 오상학, 김애욱, 류지원, 차재규, 정응호, 2011, "지리정보시스템을 활용한 $CO_2$인벤토리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제14권, 2호, pp. 40-52.
  21. 유비쿼터스도시의 건설 등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 2011.8.4 법률 제11037호], 2010.
  22. 이재훈, 김기태, 정길섭, 유환희, 2010, 저탄소 도시관리를 위한 탄소배출과 토지이용변화 분석-전주시를 중심으로,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제18권 제1호, pp. 129-134.
  23. 장은미, 김정락, 이인희, 연속지적도와 고해상도 영상의 $CO_2$ 배출모델에의 적용,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2009 GIS 공동추계학술대회, pp. 238-241, 2009.
  24. 장희선, 조기성, 2007, "송탄 U-City의 성공적인 비즈니스모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7권, 제11호, pp. 223-231.
  25. 최현아, 이우균, 곽한빈, 최성호, 변재균, 유성진, 2009, "시.공간정보기반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제11권, 제3호, pp. 63-69.
  26. 충남발전연구원, 2010, 저탄소 에너지 절약형 도시계획 통합모델, 충남발전연구원.
  27. 통계청, 2009, 사업체 기초통계조사 보고서 2008년 기준. 통계청.
  28. 한국환경공단, 2010, 지자체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지침 2010.한국환경공단.
  29. 화성동탄, 2009, U-City Story 홍보자료. 화성동탄.

피인용 문헌

  1. 인터넷 부동산거래정보 발달에 따른 탄소저감효과 분석 vol.12, pp.2, 2012, https://doi.org/10.9716/kits.2013.12.2.0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