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인애. 우리시대의 구성주의. 서울 : 문음사, 2003.
- 강인애 등. 구성주의 교육학. 서울 : 교육과학사, 2002.
- 노명완. "읽기의 개념과 읽기 지도의 문제점." 교육한글 3 (1990).
- 노명완. "독서: 그 개념과 교육의 중요 이슈들."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 2011.
- 도서관법. 법률 제11310호, 일부개정 2012. 02. 17.
- 문화체육관광부. 2011년 국민독서실태조사.
- 박수자. "구성주의 이론의 국어교육학적 의의." 독서연구, 제18집(2007), pp.1-26.
- 박수자. 읽기지도의 이해. 서울 :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1.
- 박찬흥. "사회구성주의 작문이론의 비판적 재검토." 한국작문학회 연구발표자료집 19집(2010), pp.34-35.
- 변우열. 독서교육의 이해. 고양시 : 조은글터, 2010.
- 서진원. "교육방법으로서의 구성주의와 구조주의의 비교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40권, 제4호(2009. 12), pp.81-92.
- 서진원. "구성주의 교육방법의 구현요소로서의 학교도서관 활용수업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42권, 제2호(2011. 6), pp.215-236.
- 이병기. "학교도서관 중심의 독서교육을 위한 독서전략 범주화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39권, 제3호(2008. 9), pp.139-159.
- 이상구. "구성주의 문학협동학습 방안 탐색." 독서연구, 제10집(2003), pp.163-204
- 이상구. "국어교육: 구성주의적 독서교육 방안탐색-급진적 구성주의를 중심으로-." 새국어교육, 제70집(2005), pp.101-145.
- 이성영. "구성주의적 읽기교육의 방향." 한국초등국어교육, 제18집(2001), pp.57-80.
- 이재기. "사회구성주의 관점에서의 독자." 독서연구, 제16집(2006), pp.77-109.
- 임경순. "구성주의적 관점에서 문학텍스트 읽기." 독서연구, 제18집(2007), pp.71-95
- 임천택. "독서교육에서 구성주의 관점의 수용." 새국어교육, Vol.59, No.1(2000), pp.171-195.
- 임형연. "독서교육프로그램에 대한 구성주의 관점에서의 해석." 한국일본어문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05, No.7(2004), pp.703-706.
- 전성연 편. 교수-학습의 이론적 탐색. 서울 : 원미사, 2001.
- 정승원. 구성주의 문학교육의 이론과 실재: 조세희, 윤홍길 작품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 주해영. 성장소설의 구성주의적 교육방안 연구: 김소진의 [자전거 도둑]을 중심으로.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 최자은. 읽기와 연계한 동화감상문 쓰기 교수-학습에 관한 연구: 구성주의 관점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 학교도서관진흥법. 법률 제11310호(도서관법) 일부개정 2012. 2. 17.
- 한국도서관협회. 한국도서관기준. 서울 : 한국도서관협회, 2003.
- 한국어문교육연구소, 국어과교수학습연구소 편. 독서교육사전. 서울 : 교학사, 2006.
- Alberto Manguel. 독서의 역사. 정명진 역. 서울 : 세종서적. 2000.
- Bimmel, Peter. "Effects of Reading Strategy Instruction in Secondary Education - A Review of Intervention Studies." L1 - Educational Studies in Language and Literature 1. Kluwer Academic Publishers in the Netherlands, 2001, pp.273-298.
- Bransford, J. D. & M. K. Johnson, "Contextual prerequisites for understanding." Journal of Verbal Learning and Verbal Behavior,17(1972).
- Cook, Doris M. ed. A Guide to Curriculum Planning in Reading. Madison WI : Wisconsin Department of Public Instruction, 1986.
- Durant, Will. 철학이야기. 황문수 역. 서울 : 고려대학교출판부. 1984.
- Eisenberg, Michael B. & Robert E. Berkowitz. Curriculum Initiative: an Agenda and Strategy for Library Media Programs. New Jersey : Ablex Publishing Co., 1988.
- Flippo, Rona F., "Points of agreement: a display of professional unity in our field", The Reading Teacher, Vol.52. No.1(september 1998), pp.30-40.
- Hinson, Bess ed. New Directions in Reading Instruction revised ed. International Reading Association, 2000.
- Kneller, George F. Movements of Thought in Modern Education. New York : John Wiley & Sons Inc., 1984.
- Leslie P. Steffe & Jerry Gale ed. 교육과 구성주의. 이명근 역. 서울 : 학지사, 2005.
- Paris, Scott G. et al. "Becoming a Strategic Reader."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8 (1983), pp.293-316. https://doi.org/10.1016/0361-476X(83)90018-8
- Ponce, Héctor R. et al.. "Instructional effectiveness of a computer-supported program for teaching reading comprehension strategies." computers & education, 59(2012), pp.1170-1183. http://dx.doi.org/10.1016/j.compedu.2012.05.013
- Smith, Richard J. & Thomas C. Barrett ed., Teaching reading in the middle grades. Massachusetts : Addison-Wesley Pub. Co., 1979.
- Spivey, 구성주의와 읽기.쓰기. 신헌재 등 역. 서울 : 박이정, 2004.
- Vygotsky, L. S. Mind in Society. Cambridge, Mass. : Harvard Univ. Press., 1978.
- Westhoff, Gerard J. "Increasing the Effectiveness of Foreign Language Reading Instruction: part 1." ADFL-Bulletin, Vol.22, No.2(Winter 1991), pp.29-36.
- Westhoff, Gerard J. "Increasing the Effectiveness of Foreign Language Reading Instruction: part 2." ADFL Bulletin, Vol.22, No.3(Spring 1991), pp.28-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