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기록관리분야 직무능력표준 개발 방안 연구

Study of Development for Competency Standards in the Field of Records Management

  • 김정은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 전문대학원 기록관리 전공) ;
  • 김익한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 발행 : 2012.01.31

초록

인적자원의 질은 사회 운용의 효율을 높이는 핵심 요소이다. 세계 각국은 국가 직무능력표준을 개발하고 이를 인적자원관리에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발맞춰 기록관리분야 역시 직무능력표준을 개발하고 이를 중심에 두는 인적자원개발체제를 구축해갈 필요가 있다. 각급기관에 기록물관리전문요원이 배치되고 기록관 조직이 운용되고는 있으나 직무상 성장 발전이 요구되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기록관리 직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직무능력을 규명하고 이를 활용하는 것은 전문요원의 전문성 강화의 측면에서나 기록관 업무의 정상화의 측면에서나 의미 있는 일이다. 본 연구에서는 공공영역과 민간영역의 기록관리 전 분야에 활용가능한 직무능력표준을 개발하는 절차와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표준의 설계과정에 대한 예시를 보여줌으로써 기록관리분야의 직무능력표준 개발의 가능성과 타당성, 활용성 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기록관리분야의 직무능력모형과 각 능력 단위별 요소들을 제시하였다. 최근 이슈로 부각된 기록관리의 전문성을 입증하기 위한 방법론을 마련하고 기록관리분야의 인적자원개발시스템을 도입하는데 본 연구가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The quality of human resources is critical element which promote efficiency in the community management. Each country all of the world is developing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to exploit them on human resources management. In response to this trend, the field of records management need to develop competency standards and to build human resources. Although each agency is placing qualified record manager and operating archives organization. growth and development is needed on this field. Under these circumstances, examining requirement for records management competency and using them is a task of great significance on the side of strengthening specialist and normalizing archives operation. This study suggests procedures and methodology competency standards enable to be exploited in entire fields of records management including private sectors as well as public sectors. Furthermore, as for procedures of suggesting measures for developments, cases of procedures of stand designs are shown, effectively verifying for feasibility, validity, and usability of development of competency standards in the field of records management. In this process, models for competency standard and elements based on competency units in the field of records management are suggested. This study will be ultimately expected to contribute to an adoption of manpower development system and a systematic method via procedures of approving expertise of records management being recently highlighted as an issue from revision process of records management act.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