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공무원교육훈련정책의 상대적 중요도와 우선순위 분석: 계층의사결정방법(AHP)을 활용하여

Analysis of Relative Importance and Priority of Civil Servant's Education Training Policy: Us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Method

  • 투고 : 2012.03.07
  • 심사 : 2012.04.10
  • 발행 : 2012.04.28

초록

본 연구는 공무원 교육훈련정책의 상대적 중요도와 우선순위 분석을 통해 공무원교육훈련정책의 방향성을 모색해보고자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AHP 방법론을 적용한 실증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측정영역별 평가요소에 대한 상대적 우선순위를 보면, 교육훈련운영시스템, 교육훈련프로그램, 교육인프라, 교육훈련평가관리 중에서 교육훈련운영시스템이 가장 중요한 평가요소로 분석되었다. 둘째, 평가항목의 관점에서 보면, 교육훈련프로그램에서는 Acting Learning 교육프로그램, 교육훈련운영시스템에서는 교육훈련기관 예산확충, 교육훈련평가관리에서는 교육훈련과 인사제도 연계, 교육인프라에서는 교수요원 확보 등이 상대적으로 가장 중요한 우선순위로 평가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공무원 교육훈련정책을 경험적으로 설명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In an attempt to analyze the policy priority on civil servant's education training policy as human resource management in this study, a positive analysis with the experts using AHP method was conducted. Summarizing the outcome of the study; First, in terms of relative priority of the evaluation elements by sector, the education training operation system, among education training program, education training evaluation, and education infrastructure, was analyzed as the most important element.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riority of detail sectors of civil servant's education training, Action learning education program was proved to be the top priority project education training program aspect and education training operation system was also evaluated as the top priority project in education training agency budget expansion aspect, education training and personnel administration link was evaluated as the top priority project education training evaluation, and trainer secure was proved to be the top priority education infrastructure. Such outcome of the project is expected to make commitment for evaluating the civil servant's education training policy.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창민, "제주특별자치도 공무원 교육훈련 강화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제33권, 제1호, 2007.
  2. 강기창, "공무원 교육훈련과 인사관리의 연계강화방안", 한국행정연구, 제9권, 제3호, 2000.
  3. 고승희, 최호택, 김원겸, "지방공무원 교육훈련체계 실태 및 개선방안: 충청남도 교육훈련체계를 중심으로, 충남발전연구원.
  4. 김판석, "공무원 교육훈련의 전환: 혁신과정과 주요변화 및 향후과제", 한국인사행정학보, 제6권, 제1호, 2007.
  5. 이현영, "공무원 필요역량에 대한 중요도 및 수행 수준 인식비교를 통한 역량기반 공무원 교육훈련 방향에 대한 고찰, 한국인사행정학회보, 제9권, 제3호, 2010.
  6. 홍길표, 임효창, "공무원 교육훈련 프로그램 효과성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산학경영연구, 제19권, 제2호, 2006.
  7. Herbert. A. Simon, Administrative Behavior : A Study of Decision-Making Processes in Administrative Organization. A Division of Macmillan Publishing Co., Inc: New York, 1976.
  8. 권기혁, 이시경, 지방정부 중견관리자양성과정 교육훈련의 비교분석: 대구시와 경상북도 공무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정치․정보연구, 제11권, 제1호, 2008.
  9. 김미나, 지방공무원 교육훈련만족도 조사의 함의와 과제, 지역정책연구, 제18권, 제1호, 2007.
  10. D. A. Garvin. "Making the case," Harvard magazine, 2003.
  11. 진종순, 공무원 역량평가의 효과성 제고방안에 관한 연구, 행정논총, 제47권, 제3호, 2009.
  12. 이영재, 안광현, 공무원 교육훈련과 멘토링에 관한 연구, 한국지적정보학회지, 제11권, 제1호, 2009.
  13. 김중양, 참여정부 인사개혁의 현황과 과제, 서울: 나남출판, 2005.
  14. P. Bramley, Evaluating Training Effectiveness -Translating Theory into Practice. London: McGraw-Hill Book Company, 1991.
  15. G. M. Alliger, S. I. Tannenbaum, W. Traver Jr, H. Bennett, and A, Shotland, Analysis of the Reations Among Training Criteria, Personnel Psychology, 1997.
  16. 황윤원, 공무원 교육훈련의 이론적 고찰과 정책적 함의, 지방의회연구, 제11권, 2002.
  17. 김귀영, 송석휘, 직무능력향상을 위한 공무원교육훈련제도 개선방안,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6.
  18. M. L. Broad, and J. W. Newstrom, Transfer of training: Action-packed strategies to ensure high payoff from training investment, Reading. MA: Addison-Wesley, 1992.
  19. T. L. Saaty, "How to make a Decision: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 Research, Vol.48, 1990.

피인용 문헌

  1. Determining the Priority of Lifelong Education Promotion Policy in Gyeongsangnam-do through AHP Analysis vol.13, pp.5,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5.517
  2. Development of Indicators for Dredging Evaluation and Form on Erosion Control Dam Using the Delphi Technique and AHP Analysis vol.17, pp.6, 2014, https://doi.org/10.13087/kosert.2014.17.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