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Recognition Degree of horse therapy for Autistic Disorder's parents

승마재활 치료에 대한 자폐성 장애 아동 부모의 인식도 조사

  • Received : 2012.05.09
  • Accepted : 2012.06.18
  • Published : 2012.06.30

Abstract

This study in the treatment of autistic horse therapy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at affect the perception of parents is to some extent how well treatment for a sense of purpose and a horse therapy was to evaluate the expectations. As parents of autistic children with disabilities a questionnaire study of 100 people was used as a research tool. Analysis of the frequency analysis method, Chi-square Analysis were analyzed by taking advantage of each. Parents interested in horse therapy and children who do not have the experience of riding. In addition, Parents who have children age 10-20 riding in the response was that there would be effects Understanding mainly ride horses in the horse therapy is physical exercise. And therapy and exercise that combines specific area of expertise, as is the way to help. In addition, behavior modification, and it is used as a way to improve. Expectations in the therapeutic horse therapy should be major(occupational therapy, physical therapy, speech therapy). Horse therapy is suitable for individual therapy at least for 2-3 weeks and the Confederacy.

본 연구는 자폐성 장애 아동의 승마재활 치료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학부모의 인식은 어느 정도이며 치료효과에 대한 목적의식은 어떠한지 또한 앞으로 재활승마 치료에 대해 가지는 기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자폐성 장애 아동의 부모로 100명을 연구대상으로 설문지를 연구도구로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교차분석Chi-square Analysis)을 활용하여 각각 분석하였다. 재활승마 치료에 대한 학부모의 인지도에서 재활승마에 대한 인식이 있고, 아동이 재활승마의 경험이 없으며, 6세~10세 학부모의 응답에서 재활승마가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응답하였다. 이해도에서 재활승마는 주로 말을 타는 신체운동이고, 치료와 운동을 겸비한 전문영역으로 구체적인 도움을 주는 방법이라고 하였으며, 재활승마는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을 교정 및 개선하는 방법으로 이용되고 재활기관에서 재활승마가 필요한 것으로 이해하고 있었다. 기대도에서 재활승마 치료사가 갖추어야 할 가장 중요한 요소는 치료학(작업치료, 물리치료, 언어치료) 전공자여야 한다고 나왔고, 재활승마는 개별치료, 주 2~3회가 적당하다고 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