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ague-Dawley 랫드를 이용한 선폐정천탕의 단회투여독성시험

Single Dose Toxicity Study of Seonpyejeongcheon-tang in Sprague-Dawley Rats

  • 이응석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폐계내과학교실) ;
  • 한종민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폐계내과학교실) ;
  • 양수영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폐계내과학교실) ;
  • 김민희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신경생리학교실) ;
  • 김승형 (대전대학교 동서생명과학연구원) ;
  • 남궁욱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신경생리학교실) ;
  • 박양춘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폐계내과학교실)
  • Lee, Eung-Seok (Division of Respiratory System, Dep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ae-Jeon University) ;
  • Han, Jong-Min (Division of Respiratory System, Dep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ae-Jeon University) ;
  • Yang, Su-Young (Division of Respiratory System, Dep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ae-Jeon University) ;
  • Kim, Min-Hee (Dept. of Neurophysiolog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ae-Jeon University) ;
  • Kim, Seung-Hyung (Institute of Traditional Medicine and Bioscience, Dae-Jeon University) ;
  • NamGung, Uk (Dept. of Neurophysiolog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ae-Jeon University) ;
  • Park, Yang-Chun (Division of Respiratory System, Dep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ae-Jeon University)
  • 발행 : 2012.03.30

초록

Objectives :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single oral dose toxicity of Seonpyejeongcheon-tang (SJT) in male and female Sprague-Dawley rats. Methods : In this single oral toxicity study, rats were orally administrated in a single dose of 0 or 5,000 mg/kg SJT. There were 7 rats in each group. After single administration, mortality, clinical signs, body weight changes and gross pathological findings were observed for 14 days. Organ weight, clinical chemistry and hematology were tested after 14 days. Results : There was no mortality or other clinical signs for 14 days. There were also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dy weight, organ weights, hematological and serum chemical parameters between the SJT and control groups. Conclusions :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suggest that the 50% lethal dose of SJT is over 5,000 mg/kg, so this finding can be expected to provide scientific evidence for the safety of SJT.

키워드

참고문헌

  1. Irwin RS, Rosen MJ, Braman SS. Cough. A comprehensive review. Arch Intern Med 1977;137:1186-91. https://doi.org/10.1001/archinte.1977.03630210060019
  2. McGarvey LP, Heaney LG, Lawson JT, Johnston BT, Scally CM, Ennis M, et al. Evaluation and outcome of patients with chronic non-productive cough using a comprehensive diagnostic protocol. Thorax 1998;53(9):738-43. https://doi.org/10.1136/thx.53.9.738
  3. 김철우. 만성기침을 일으키는 흔한 기도질환. 대한내과학회지 2010;78(6):665-9.
  4. Matsumoto H, Niimi A, Takemura M, Ueda T, Tabuena R, Yamaguchi M, et al. Prognosis of cough variant asthma: a retrospective analysis. J Asthma 2006;43(2):131-5. https://doi.org/10.1080/02770900500498477
  5. 허준. 동의보감. 서울: 남산당; 1986, p. 480.
  6. 전국한의과대학 본초학교실. 本草學. 서울: 영림사; 1994, p. 121, 178, 198, 294, 369, 370-3, 448, 453, 460, 463, 478, 482-4, 540, 588, 622.
  7. 張時徹. 攝生衆妙方. 北京: 中醫古籍出版社; 2004, p. 113.
  8. 정승기, 이형구. 정천탕이 천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경희의학 1987;3(1):91-102.
  9. 왕중권, 정희재, 정승기, 이형구. The Effects of Jungchun-tang (定喘湯) on Respiratory Patterns and Tracheal Tissues in Allergic Asthma. The 10th ICOM 자료집. 1999:102.
  10. 김영우, 정희재, 이형구, 정승기. 정천탕과 청상보하탕이 asthma model 내의 cytokine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1;22(3):367-77.
  11. 염종훈, 정희재, 정승기, 이형구. 정천탕과 정천탕가감방이 알레르기 천식모델 흰쥐의 BALF 內 면역세포 및 혈정 IgE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의학회지 2003;24(1):169-80.
  12. 윤종만, 박양춘. Elastase매개성 폐조직 손상에 대한 宣肺定喘湯의 보호효과.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10;31(1):84-101.
  13. 박양춘. 만성기침에서 선폐정천탕의 효과에 대한 후향적 분석. 대전대학교한의학연구소논문집 2012 [Forthcoming].
  14. 식품의약품안전청. 의약품등의 독성시험기준, 식품의약품안전청고시 제2009-116호. 서울: 식품의약품안전청; 2009.
  15. 유태우, 김병익, 김진봉, 김동준, 김재우, 백순구, 등. 독성 간손상 관련 한국인의 약물복용 실태와 건강비용 조사; 독성 간손상의 진단 및 보고체계 구축을 위한 다기관 공동연구. 대한간학회지 2007;13(1):34-43.
  16. 식품의약품안전청. 의약품 임상시험계획 승인 지침, 식품의약품안전청고시 제2010-63호. 서울: 식품의약품안전청; 2010.
  17. Favreau JT, Ryu ML, Braunstein G, Orshansky G, Park SS, Coody GL, et al. Severe hepatotoxicity associated with the dietary supplement LipoKinetix. Ann Intern Med 2002;136(8) :590-5. https://doi.org/10.7326/0003-4819-136-8-200204160-00008
  18. 장문석, 심경준, 오지훈, 윤지원, 최문정, 김도림, 등. SD계 흰쥐에 대한 마황 추출물의 급성경구투여 독성 시험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8;22(4):762-5.
  19. 최동기, 심경준, 최봉재, 박수연, 장문석, 박성규. SD계 흰주에서 마황 추출물의 아급성 경구독성 시험 연구. 대한본초학회지 2008;23(4):1-7.
  20. 한충택, 장호송, 강상철, 길기현, 공광한, 김도형, 등. 금은화 (Flos lonicerae) 추출물의 Fisher 344/N 랫드를 이용한 90일간 반복 경구투여 독성시험. 대한수의학회지 2008;48(4):401-11.
  21. Zhang JW, Dou CG, Zhang M, Ma SP, Huang F. Toxicity of Radix Asteris, Flos Farfarae and their combination. Chinese Journal of Clinical Pharmacology and Therapeutics 2007;12:405-11.
  22. 심범상, 최승훈, 박재경. 행인 제제의 독성 및 항암효과와 자연살해세포 활성에 미치는 효과. 대한한방종양학회지 2000;6(1):19-28.
  23. 김정숙. 유독 한약재의 한방 임상에서 통상 투여 용량에 의한 간독성 연구. 국립독성연구원 용역연구개발사업 보고서. 2002.
  24. 장보윤, 빈두말라, 손동환, 김윤철, 김성연. 황금 및 단삼 표준화시료의 급성독성에 관한 연구. 생약학회지 2011;42(3):265-70.
  25. 박영철, 이선동, 이인선. 감초의 효능과 독성. J Toxicol Pub Health 2002;18(3):301-9.
  26. OECD. OECD guideline for testing of chemicals No. 423 Acute oral toxicity-Acute classic method.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