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WOE-based Smart Learning System for Improving Written Problem Ability of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학습장애학생의 문장제 문제 해결 능력향상을 위한 WOE기반 스마트러닝 시스템의 개발 및 적용

  • Received : 2012.02.24
  • Accepted : 2012.03.23
  • Published : 2012.03.31

Abstract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need special education programs. In the traditional class, those students may not be satisfied with their studies. Thus, it is important to provide individualized class for those students. Classes using smart devices may give one of the solutions for individualized class. Unlike the typical mathematical problems, written problems require students to use various cognitive strategies, mathematical reasoning, inference ability, and so on. In this sense, written problems are good tools to develop the logical minds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In this paper, a WOE-based smart learning system is proposed to help those students develop learning abilities. The proposed system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students can learn naturally problem-solving abilities by following the work-out examples given from experts. Second, the proposed system can invoke motivation and interests of students using attractive icons and guidance rules provided with smart phone. Third, the proposed system can provide self-directed study for those students. The proposed system is applied for some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The following results are obtained. First, the individualized study can be possible since the system can provide continuous feedbacks and level-differentiated classes. Second, students can increase written problem solving abilities with natural understanding of study contents from smart phone. Finally, satisfaction, study motivation, and self-concept of students are increased through their successful experience during study processes.

문장제 문제는 단순한 수학적 수식으로 구성된 연산문제와는 달리 언어적으로 표현된 문제 안에서 수학적 내용을 찾아 그것을 수식으로 표현하는 과정을 필요로 한다. 이는 고차원적인 인지적 전략을 요구하며 학습자는 수학적 사고력과 추론능력, 이해력, 언어와 읽기 등을 고루 활용해야 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학습장애학생들은 문장제 문제를 해결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장애학생이 인지적 과부하를 적게 받으면서 인지적 전략을 학습할 수 있으며 또한 학생들에게 전문가의 예시를 단계적으로 제시하는 WOE (Work-Out Examples: WOE) 기반 스마트러닝 학습시스템을 제시한다. 본 시스템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WOE를 순차적으로 따라하면서 학습자는 인지적 부하 없이 자연스럽게 문제해결전략을 습득할 수 있다. 둘째, 학습자의 학습 동기를 높이고 흥미를 유발시킨다. 셋째, 시공간을 초월한 학습이 가능하기 때문에 학습자 스스로 학습을 조절하는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이 향상될 수 있다. 본 시스템의 적용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장애학생의 수준에 맞는 학습 단계가 제공되고 지속적인 피드백이 있기 때문에 학습자의 개별화학습이 가능하였다. 둘째, 학습자들이 학습내용을 자연스럽게 습득함으로써 문장제 문제해결능력이 향상되었다. 셋째, 학습과정에서의 성공경험으로 인하여 학습에 대한 자신감 및 학습동기가 향상되고 긍정적인 자아개념이 형성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민승(2010). 중학생들의 일차함수에 관한 문장제 해결능력과 문제점 분석. 석사학위 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 김미선(2006). 비구조화된 문제에서 완성효과를 적용한 WOE가 학습자의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 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3. 김민지(2010).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학습 지도 방안 연구. 석사학위 논문.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4. 김철호(2010). 학습 장애학생의 주의집중향상을 위한 m-ARCS 모형기반 모바일앵커프로그램 설계 및 구현. 석사학위 논문.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5. 노현옥․정은실(2005).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나오는 자연수의 사칙 연산 문장제 분석. 수학교육연구, 28, 1-19.
  6. 손영례(2011). 3학년 학생들의 곱셈과 나눗셈 문장제 종류에 따른 문제해결능력.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7. 송연주(2010). 컴퓨터를 활용한 자기주도 학습이 수학과 학습 부진아의 학습태도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 논문.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8. 이유선(2010). WOE가 제시된 교육 프로그램이 정신 지체아동의 문장제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 논문.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9. 정영식(2003). 학습전략 훈련이 시각장애 중학생의 자기효능감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10. 조미헌 외(2006). e-learning 컨텐츠 설계. 서울: 교육과학사.
  11. 허승준(2010). 효과적인 통합교육을 위한 동영상 기반 앵커드수업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2) 학습장애아동의 수학성취에 미치는 효과. 학습장애연구, 7 (3), 43-61
  12. 현대경제연구원(2011). 스마트 러닝, 학습의 개념을 바꾸다. 지식경제, 봄, 41-65.
  13. National Joint Committee on Learning Disabilities (1990). Learning Disabilities: Issues on Definition.
  14. Nesher,P.(1982). The stereotyped nature of school word problems. For the Learning of Mathematics, 1(1), 41-48.

Cited by

  1.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droid-based Open U-Learning System for Improve Learning Effect : Focusing on 2009 revised science education courses vol.19, pp.10, 2014, https://doi.org/10.9708/jksci.2014.19.10.135
  2. 초등 학습장애학생을 위한 스마트러닝 활용 연구 고찰 vol.20, pp.5, 2012, https://doi.org/10.14352/jkaie.2016.20.5.451